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이 환자 회복에 좋고 의료진 업무량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바,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더불어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려면 한국형 가이드라인을 비롯해 Audit(관리) 프로그램’과 표준화된 다학제 관리 패키지도 중요하며, 시범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명확한 근거와 함께 성과 지표·평가 방안 등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들도 쏟아졌다. 국민의힘 한지아 국회의원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공동 주최하는 ‘2024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원탁회의’가 ‘국내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RAS) 도입·활성화 방안은?’ 주제로 11월 27일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 한양홀에서 개최됐다. 이날 이인규 가톨릭의대 교수는 수술 후 치료 개념이 예전에는 충분한 휴식과 영양 공급을 통해 회복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면 현재는 수술 후 신체적 기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많은 활동을 통해 회복을 촉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안내했다. 수술 전에 약간 영양 상태를 올림으로써 회복 과정은 똑같지만, 신체적 기능 등이 나빠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전통적인 수술 후 영양 치료라면 최근에는
최근 대한마취통증의학회와 대한외과학회가 보건 당국에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 시범사업을 제안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대한마취통증의학회와 대한외과학회 두 학회 모두가 ERAS 도입이 수술 환자에 대한 의료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 궁극적으로 전체 의료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두 학회는 공동으로 보건 당국에 이를 제안하기로 결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필수의료 관련 대정부 정책 제안에 있어서도 협조하기로 두 학회 모두 합의한 상황. 이에 메디포뉴스는 홍상현 대한마취통증의학회 보험이사(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와 만나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이 어떤 프로그램이고, 이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이며, 도입 시 어떤 이점이 있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Q. 최근 보건당국에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RAS)’ 시범사업 제안이 이뤄졌습니다. 이 같은 결정이 이뤄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수술후 회복 향상 프로그램(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은 수술 자극에 대한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을 줄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