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제약사들 매출의 절반 가까이가 매출원가인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2024년 상반기 매출 상위 30위를 기록한 제약사들의 반기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이들 제약사의 매출원가는 약 5조 1248억원 규모로 매출의 49.4%였다. 전년 동기인 2023년 상반기 매출원가는 4조 7307억원으로 매출의 48.5%였다. 해당 수치에 따르면 매출원가 증가율은 8.3%, 매출원가율 증가율은 1.9%p로 나타난다. 상위 5개사 중에서는 광동제약의 매출원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유한양행의 매출원가는 2024년 상반기 매출의 69%인 6710억원, 2023년 상반기 매출의 69.3%인 6503억원이었다. 이에 따라 매출원가는 3.2% 증가했지만 매출원가율은 0.4%p 감소한 모습이다. 광동제약은 2024년 상반기 매출의 81.2%인 6704억원이 매출원가였다. 2023년 상반기에는 매출의 79.5%인 5821억원이 매출원가로, 매출원가는 15.2% 증가했으며 매출원가율은 2.2%p 증가했다. 한미약품의 매출원가는 2024년 상반기 매출의 44.6%인 3486억원, 2023년 상반기 매출의 45%인 3166억원이었다. 매출원가는 10.1% 증가한 반면 매출원가율은 0.
주요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 감사보고서, 잠정실적 등을 분석한 결과 2023년 50개 제약사 중 41개 제약사들의 매출이 2022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2023년 기준 매출 상위 50위를 기록한 제약사들은 23조 5679억원 규모의 매출을 달성함으로써 2022년 22조 2761억원 대비 규모를 5.8% 확장시켰다. 상위 5개 제약사 중에서는 녹십자를 제외한 주요 제약사들의 매출이 모두 확대됐다. 유한양행의 매출이 2022년 1조 7558억원에서 2023년 1조 8589억원으로 4.7% 증가한 가운데, 영업이익은 360억원에서 567억원으로 57.5%, 당기순이익은 905억원에서 1340억원으로 48% 증가했다. 종근당은 2022년 1조 4883억원에서 1조 6694억원으로 매출이 12.2% 확대됨에 따라 상위 5개 제약사 중에서는 가장 매출 확대 규모가 컸다. 이어 영업이익은 1099억원에서 2465억원으로 124.4%, 당기순이익은 799억원에서 2136억원으로 167.1% 증가했다. 반면 녹십자는 2022년 1조 7113억원에서 2023년 1조 6266억원으로 매출이 4.9%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812억원에서 34억원으로 57.6% 줄어들었고
매출 상위 50개 제약사들 중 37개 제약사들의 2023년 3분기 매출이 상승했다. 전자공시에 등록된 주요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3분기 상위 50위 제약사들의 매출액은 총 17조 2761억원으로 2022년 3분기 16조 5598억원보다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영업이익은 2022년 3분기 1조 1155억원에서 2023년 3분기 1조 1820억원으로 6%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2022년 3분기 545억원에서 2023년 3분기 8146억원으로 1393.7% 확대됐다. 상위 5개사 1위를 달리는 유한양행의 매출은 2022년 3분기 1조 3253억원에서 2023년 3분기 1조 4218억원으로 7.3%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185억원에서 508억원으로 17.46% 증가했지만, 당기순이익은 545억원에서 498억원으로 8.5% 줄어들었다. 녹십자는 상위 5개사 중 유일하게 매출이 감소한 제약사로, 2022년 3분기 1조 2998억원을 기록했지만 2023년 3분기 1조 2216억원으로 6% 감소하며 아쉬운 결과를 냈다. 영업이익은 1036억원에서 428억원으로 58.7% 하락했으며 당기순이익은 713억원에서 -11억원
2023년 상반기 매출 상위 30위 이내 국내 제약사들의 매출원가율이 2022년 상반기 대비 줄어들었다. 제약사별로 따져보더라도 30개 제약사 중 18개 제약사가 매출원가율 감소를 맞았다. 전자공시를 통해 각 제약사들의 매출원가 확인 결과 2023년 상반기 매출원가는 총 5조 6998억원으로 매출의 58.8%로 확인됐다. 이어 2022년 상반기에는 매출의 59.2%인 5조 4823억원이 매출원가로 확인되며 전년 상반기 대비 이번 상반기 매출원가는 4% 증가했지만 매출원가율은 1.2%p 감소했다. 매출원가율의 감소는 상위 5개사 중 녹십자를 제외한 모두에서 나타났다. 유한양행의 2022년 상반기 매출원가는 매출의 70.8%인 6325억원이었지만 2023년 상반기에는 매출의 69.3%로 6503억원으로 2.8% 증가한 반면 매출원가율은 2.1%p 감소했다. 녹십자는 2022년 상반기 매출원가가 5529억원, 매출원가율은 65.8%였으며 2023년은 매출원가가 5420억원, 매출원가율은 63.2%로 확인돼 매출원가율은 2% 감소했지만 매출원가율은 5.3%p 확대됐다. 종근당은 매출원가율을 63.2~63.3%p로 유지 중이다. 매출원가는 2022년 상반기 4475억
상위 30개 제약사가 판매비 및 관리비 (이하 판관비) 지출을 늘리는 모습이다. 금융감독원을 통해 확인된 상위 50개 제약사들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50개 제약사들은 이번 2023년 상반기 판관비로 매출의 30.6%인 3조 4937억원을 지출하면서, 지난 2022년 상반기 판관비 3조 2386억원보다 7.9% 증가했다. 특히 지난 해 상반기 매출 대비 판관비의 비중은 29.9%에 그쳤지만 이번 상반기 들어 매출의 30% 이상 지출했다. 상위 5개 제약사에서는 매출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유한양행과 녹십자의 판관비가 나란히 감소한 가운데 한미약품의 판관비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한양행은 판관비와 판관비 비중이 함께 감소한 제약사다. 2022년 상반기 1879억원으로 매출의 21%를 차지했던 판관비는 2023년 상반기 1811억원으로 3.6% 감소하며 매출의 19.3%를 판관비로 지출했다. 반대로 녹십자는 판관비가 소폭 줄어들었으나 비중은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2022년 상반기 녹십자는 판관비로 매출의 27.7%인 2323억원을 사용했다. 이어 2023년 상반기에는 매출의 29.4%인 2301억원을 지출하며 판관비가 0.9% 하락했다
신풍제약이 주요 국내 제약사 중 이번 상반기 연구개발비 투자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상위 30위 제약사의 연구개발비는 총 9393억원 규모로 2022년 대비 50.8%, 2021년 대비 57.7%가 연구개발비를 달성했다. 유한양행은 연구개발비 투자가 줄어드는 추세다. 2021년에는 매출의 10.6%, 2022년에는 매출의10.1%를 연구개발비로 사용했으며 이번 2023년 상반기는 연구개발비로 868억원을 투자하면서 비중이 9.3%로 줄어들었다. 녹십자는 연구개발비로 매출의 13.6%인 1061억원을 투자하며 상위 5개사 중 가장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2.5%, 2021년 연간 연구개발비는 11.2%로 연구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보이고 있다. 종근당의 상반기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은 매출의 9.6%인 73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과 2021년 연간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은 12.2%였다. 광동제약은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이 2%로 상위 50개사 중 두번째로 낮았다. 또 한미약품의 연구개발비 투자액은은 912억원으로 매출의 13%를 달성했다. 한미약품의 2022년, 2023년 연간 연구개
상위 50개 제약사 중 39개 제약사가 매출 확대에서 성공하며 전반적인 제약 시장 규모가 커졌다. 주요 제약사들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해 공시한 바에 따르면 주요 제약사들 중 상위 50위의 제약사들은 2023년 상반기 총 11조 4398억원을 달성하며 2022년 상반기 10조 8329억원보다 5.6% 증가했다. 또 영업이익은 2022년 상반기 7082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7330억원으로 3.5%, 당기순이익은 2022년 상반기 5456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5779억원으로 5.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TOP5 제약사 상위 5개사 중에서는 녹십자를 제외한 모든 제약사들의 매출이 증가했다. 유한양행의 매출은 2022년 상반기 8938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9387억원으로 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022년 상반기 230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499억원으로 116.7% 증가, 당기순이익은 2023년 상반기 489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308억원으로 37% 줄어들었다. 2위 제약사인 녹십자는 매출이 2022년 상반기 8401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7823억원으로 매출이 6.9% 감소했으며 영업이익도 이와 함께 2022년 상반기 5
무역수지 적자가 이어지는 가운데에서도, 인바디의 지난해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25% 상승, 전 매출 중 무려 76%가 해외 매출일 만큼 해외 사업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해외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해외 현지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교육 및 국내 본사 사업 사례 적용 등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인바디는 해외 법인 및 파트너사 임직원들과 본사와의 화합을 통해 해외 사업의 기반을 더욱 견고히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인바디(각자대표 차기철, 이라미)가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닷새간 인바디 해외 법인 및 해외 파트너사 임직원을 본사로 초청하는 ‘인바디 파트너스위크 2023(InBody Partners’ Week 2023)’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인바디는 창업 4년 만인 2000년에 미국 및 일본에 법인을 설립하고 일찌감치 해외 진출에 나선 글로벌 기업이다. 현재 미국, 일본을 비롯해 유럽(네덜란드), 아시아(말레이시아), 중국, 인도, 멕시코 등 해외 9개 법인으로 기반으로 110여 개 국 이상에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지 해외 법인에는 420여 명 이상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인바디 파트너스
주요 제약사들의 매출의 0.25%를 접대비로 사용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이와 함께 접대비 비중이 높았던 제약사들이 2022년 들어 접대비 비중을 줄여나가고 있는 점이 확인됐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통한 주요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매출 상위 50개 제약사 중 35개 제약사들의 접대비 지출 현황이 확보됐다. 35개사들의 접대비 총 합은 316억원으로, 직전년도인 2021년 285억원 대비 10.8% 증가한 규모를 접대비로 지출했지만 매출 대비 비중은 0.25%로 유지됐다. 가장 매출이 높은 제약사인 유한양행의 접대비는 매출의 0.04%인 6억원 규모를 유지했지만 약 4900만원인 7.7%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광동제약의 접대비는 그 비중이 0.06%에서 0.07% 규모로 확대됐는데, 접대비 자체도 8억원이었다가 2022년 10억원대로 21% 이상 상승했다. 2021년과 2022년 같은 접대비 비중을 유지하고 있는 대웅제약도 접대비 상승폭이 높았는데, 4억원대에서 5억원대로 늘어나며 2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동국제약에서도 나타났는데, 동국제약은 접대비 비중이 매출의 0.05%에서 0.06%로 증가했으며 접대비도
예년 대비 상위 제약사들의 매출 대비 판매관리비 비중이 줄어드는 대신 판매관리비 자체는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시를 통해 매출 상위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를 살펴본 결과 매출 상위 30개사 중 24개사의 사업보고서가 확인됐는데, 이들 제약사들의 판매관리비 합은 4조 3617억원으로 매출액인 17조 5040억원 대비 24.9%를 차지했다.전년인 2021년에 매출 15조 8194억원의 25%인 3조 9560억원에 비하면 비용이 10.3% 증가했다. 매출 1위인 유한양행은 TOP5 제약사들 중에서는 판관비 비중이 높은 제약사에 속한다. 2021년 판관비는 3693억원, 2022년 판관비는 3750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비중은 21.9%에서 21.1%로 소폭 줄어든 모습이지만, 판관비 비중은 1.5% 확대됐다. 이와 반대로 녹십자는 판관비 비중이 11.2%로 낮은 제약사다. 특히 이마저도 2021년 9.5%에 비하면 늘어난 비중이다. 판관비 자체는 1460억원에서 1913억원으로 31% 늘어났다는 모습을 감안하면 매출에 비해 판관비에 큰 투자를 하지 않는 제약사라는 점을 잘 나타내고 있다. 종근당은 17% 이상의 판관비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