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 이진근)는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비소세포폐암의 신규 치료 타깃인 ‘GBC-11004’를 처음으로 공개하고, 이를 포함한 자사의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을 총 3건의 포스터를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현장에서 개별 부스를 운영하며 업계 최대 규모의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 뱅킹과 AI 기반 타깃 발굴 플랫폼을 선보이고,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들과의 협력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먼저 포스터 발표를 통해 새롭게 공개하는 ‘GBC-11004’는 EGFR 치료제 내성 비소세포폐암에서 과발현되는 신규 키나아제로, 크리스퍼(CRISPR) 기반의 유전자 편집과 PDO기반 약물평가를 통해 치료 타깃으로서의 유효성을 입증했다. 앞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자체 구축한 PDO 빅데이터와 AI 기반 타깃 발굴 플랫폼을 활용해, 기존의 차세대 염기서열(NGS) 분석만으로는 식별이 어려웠던 EGFR저해제 내성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도출한 바 있다. 회사는 이번 연구가 비소세포폐암 치료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 이진근)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소 기업 큐어버스(대표 조성진)와 뇌질환 및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와 항암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는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의 환자 유래 뇌 오가노이드와 종양 오가노이드 플랫폼을 활용해 큐어버스가 개발하는 신약에 적합한 약효평가 방법을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는 큐어버스의 후속 신약 후보물질 도출 및 효능 평가, 작용 기전 분석 등에 적용될 예정이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AI를 활용해 방대한 오가노이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혁신적인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오가노이드 기반 타깃 발굴 선도 기업이다. 자체 개발한 정교한 오가노이드 약물 평가 플랫폼과 다양한 환자로부터 확보한 800여 종의 오가노이드를 바탕으로 신약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큐어버스는 뇌질환에 특화된 저분자 후보 약물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특정 단백질(NRF2)을 활성화하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CV-01’과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1(S1P1)를 저해하는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CV-02’를 보유하고
그래디언트의 자회사인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 이진근)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바이오 유럽(BIO-EUROPE) 2024’에 참가해 150 건 이상의 파트너링을 진행하는 등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개별 부스 운영을 통해 자체적으로 구축한 세계 최대의 환자유래 오가노이드(PDO) 뱅킹을 활용한 ▲AI 기반의 신약 타깃 발굴 플랫폼 ▲뇌 오가노이드 플랫폼 ▲암 오가노이드 플랫폼을 소개했다. 특히 회사는 iPSC 기반의 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약효 및 독성평가와 같은 통상적인 스크리닝뿐 아니라, 퇴행성 뇌질환 관련 염증 모델 및 뇌혈관장벽(Blood Brain Barrier, BBB) 모델을 통한 약물 전달 등 다양한 형태의 공동 연구 논의도 진행했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관계자는 “저분자 화합물(small molecule)부터 면역항암제,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까지 다양한 모달리티를 가진 약물 평가에 대한 협업 논의가 이어졌으며, 후속 논의가 계획된 기업들과 신속하게 공동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AI 기
그래디언트의 자회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 이진근)는 다음달 4일부터 6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바이오 유럽(BIO-EUROPE) 2024’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바이오 유럽’은 전 세계 제약 바이오 기업 및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최신 바이오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기술 제휴와 연구 협력, 투자 유치 등을 논의하는 유럽 최대의 바이오 파트너링 행사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개별 부스를 운영하며, 자체 개발한 AI 기술을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와 빅데이터에 적용한 혁신적인 신약 타깃 및 비반응성 바이오마커 발굴 플랫폼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환자 임상정보와 유전체 정보(NGS)가 매칭된 약 800종의 아시아 최대 규모 PDO 뱅킹 시스템을 선보이며, 글로벌 제약 바이오 업계와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글로벌 스텐다드 프로토콜에 기반해 각 장기별로 특화한 오가노이드 배양기술을 개발하고, 오가노이드의 계대 배양 능력 및 암 순도(Cancer Purity) 측면에서 엄격한 기준을 마련해 PDO 뱅킹을 구축했다. 회사는 이러한 기술과 기준을 토대로 다양한 암종에서 수립한
테라펙스(대표이사 이구)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이하 ‘사업단’)의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테라펙스는 향후 1년 6개월간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기존의 혈액암 치료제에 불응하거나 약물 반응성이 낮은 재발 및 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용 표적단백질분해제(TPD) 기반의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도출을 최종 목표로 과제를 수행한다. 테라펙스는 이를 위해 ADC 전문 바이오텍인 피노바이오와 함께 ADC 최적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테라펙스는 지난 4월 피노바이오와 TPD 기반의 ADC 항암제 연구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ADC는 세포독성물질을 페이로드(Payload)로 활용한 반면, 테라펙스는 TPD를 페이로드로 사용함으로써 정상 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확보해 독성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테라펙스 이구 대표는 “이번 신약개발 지원 사업 선정은 자사의 TPD 페이로드로 만든 ADC 선도물질의 차별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ADC
그래디언트의 자회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이사 이진근)가 지난 13일부터 17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24 유럽종양학회(이하 ESMO 2024) 참가를 성료했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이번 학회에서 자체 AI 기술을 적용한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 기반의 혁신신약 타깃 발굴 및 비반응성 바이오마커 발굴 플랫폼을 소개하고, 각 PDO 별로 환자 임상정보를 비롯한 약물반응성과 유전체 정보(NGS)가 매칭된 세계 최고 수준의 PDO 뱅킹 시스템을 선보였다. 또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빅데이터화한 PDO 뱅킹 정보와 생물학적 정보 처리에 특화된 AI 모델을 적용한 신규 타깃 발굴 및 바이오마커 발굴 기술을 선보이며 글로벌 제약 바이오 관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고 전했다. 최근 업계에서는 신약개발의 효율성과 임상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플랫폼을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 선보인 솔루션이 파트너사들의 니즈를 충족하는 옵션으로 자리매김한 것으로 보인다고 회사는 분석했다. 특히, 각 단계의 임상 계획 수립에 앞서 최적의 환자군 선별을 돕는 솔루션으로 소개된 비반응성 바이오마커 발굴 기술은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
그래디언트의 자회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이사 이진근)가 오는 13일부터 17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2024 유럽종양학회(이하 ESMO 2024)에 참가한다. 유럽종양학회(ESMO)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미국암연구학회(AACR)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로 꼽히며, 전 세계 종양학 전문가와 제약 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암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개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이번 학회에서 개별 부스 운영을 통해 약 800종의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가 축적된 아시아 최대 규모의 PDO 뱅킹 시스템과 자체 AI 모델을 적용한 바이오마커 발굴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외 파트너사들과 만나 관련 사업화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의 PDO 뱅킹 시스템은 다양한 암환자의 암조직 및 정상조직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 페어 세트(Pair set)를 포함해 자가 유래 면역세포 및 암 연관 섬유아세포를 함께 구축함으로써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공배양 적용이 가능한 플랫폼을 갖추고 있다. 또한 각 PDO는 환자의 임상정보를 비롯한 유전체 정보(NGS)와 약물반응성 데이터가 매칭돼
그래디언트의 자회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이사 이진근)는 오는 1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4(BIOPLUS-INTERPHEX KOREA 2024, 이하 BIX 2024)에 참가한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하는 BIX 2024는 국내 최대의 바이오산업 종합 컨벤션으로, 올해에는 15개국 250여 개 기업이 참여해 최신 바이오 트렌드를 제시하고 비즈니스의 기회를 모색한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이번 참가를 통해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와 유전체분석(NGS) 데이터 기반의 오가노이드 뱅킹 시스템을 비롯해 3D 장기유사체 배양에 필요한 성장인자를 소개한다. 다양한 암환자의 암조직 및 정상조직을 바탕으로 구축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의 PDO 뱅킹은 글로벌 수준의 높은 임상 재현도를 보일 뿐 아니라, NGS 분석이 완료된 800여 종의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이러한 오가노이드 뱅킹 시스템과 자체 AI 알고리즘이 적용된 타깃 발굴 플랫폼을 통해 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신규 타깃 유전자를 발굴하고, 발굴한 타깃은 PDO 기반의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 시스템을 이용
그래디언트의 자회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이사 이진근)는 비임상 CRO(임상시험수탁기관)인 HLB바이오스텝(대표이사 문정환)과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마우스 이식 모델(Patient-derived Organoid Xenograft, 이하 PDOX) 공동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HLB바이오스텝과 함께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atient-derived Organoid, 이하 PDO)를 마우스에 이식하는 주문형(on-demand) PDOX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환자 조직 마우스 이식 모델(PDX)의 한계점을 궁극적으로 극복한 약물동역학(Pharmacodynamics) 평가 모델을 전 세계 신약 개발사에 제공할 계획이다. PDX 모델은 제작 성공률이 30% 미만에 불과하고 단회(one-time) 사용만 가능한 반면, PDOX는 암종에 따라 최대 90% 수준의 수립 성공률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PDO가 수 세대의 계대 배양 후에도 유전적 다양성이 유지되어, 면역결핍 마우스에 이식 시 대량 및 반복 생산이 용이한 표준화된 약물동역학 동물 모델 제작이 가능하
그래디언트의 자회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대표이사 이진근)는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바이오 전시회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개별 부스를 운영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자체 AI 기술을 적용한 암환자 유래 오가노이드(PDO) 기반의 혁신신약 타깃 발굴 플랫폼과 환자 임상정보 및 유전체 정보(NGS)를 포함한 세계 최고 수준의 PDO 뱅킹 시스템을 소개했으며, 파트너링을 통해 다수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체들과 심도 있는 공동 사업화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부스에 방문한 잠재적 파트너사들은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의 합성치사 및 항암제 내성 회피를 타깃으로 하는 AI 기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플랫폼과 자체 수립한 오가노이드 약물평가 플랫폼 기술 및 다양한 오가노이드 레퍼토리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현장에서 다수의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후속 논의 요청을 이끌어 냈다고 회사는 전했다. 또한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는 역분화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유래 오가노이드 구축 및 희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