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염승 굿모닝서울가정의학과의원 원장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 법제이사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민사, 가사 조정위원의료사고 및 분쟁의 증가 추세의료사고가 얼마나 발생하는 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다. 2001년 발표된 울산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상일 교수의 논문‘의료의 질과 위험관리’에서 해마다 의료과실로 숨지는 환자가 4,500∼10,000명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한국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되는 의료서비스 불만관련 상담 및 피해구제요청은 매년 10,000건이 넘는 상담실적을 보이고 있다. 의료사고 관련 소송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의료사고, 의료분쟁, 의료과오 의료사고는 의사나 병원에 의해 의료행위가 개시되어 종료될 때까지의 전 과정에서 일어난 사고(즉 예상 밖의 사건)를 가리킨다고 말할 수 있다. 의료사고가 분쟁으로 발전하는 것은 대부분 환자 측에서 의사의 잘못이 있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즉, 의사가 의료행위에서 업무상 요구되는 주의 의무를 게을리 하여 그 결과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거나 사망하게 하였다고 의료과오를 주장하는 것이다.의료행위에 관한 과실(의료과오)은 당연히 임무상의 과실이다. 따라서 그 과실은 평균적 의사가 갖추어야 할 의학적 전문지식과 기
양염승 굿모닝서울가정의학과의원 원장
의료사고 발생시 유의사항
의료사고가 발생할 경우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자신들의 부정확한 기억에 근거하여 사고경위를 확대, 과장하게 된다. 이에 부천종합법률사무소 이동훈, 이양원 변호사(전화: 032-323-2204)의 자문을 얻어 우리 의사들이 유의하셔야 할 부분을 제시해 본다.
(1)성급하게 도의적인 책임을 인정하는 것은 금물이다.
의료사고에 대해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부정확한 기억에만 근거하여 사고를 사실 그대로 보지 않고, 확대, 과장하게 된다. 따라서 소송으로 나아갈 경우 실제로 입증할 수 없는 주장이나 사실을 나열함으로써 소송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피해자인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진행되도록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소송과는 달리
양염승 굿모닝서울가정의학과의원 원장
최근 의료판례의 경향
(1)특징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의료분쟁의 해결방법에 대하여 소송보다는 소송외적 해결, 농성이나 폭력 등의 일탈행동을 통한 해결, 형사고소 등의 경향이 강하다.
(2)대법원 판례의 경향
1)2중의 기준에 의한 과실판단
대법원은 의료소송에 있어서 2중의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첫째 의료행위가 의학적으로나 의술적으로 평가하여 잘못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순 기술적인 판단과 둘째 설명의무위반의 유무인바, 후자의 책임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은 설명의무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하여는 인과관계 입증정도에 따라 전손해배상과 위자료배상을 구별하여 의사들의 부담을 줄이고 있는데 이는 우리 의료현실을 고려한 듯하다(대법원 1994. 4. 15.선고 93다6095
양염승 굿모닝서울가정의학과의원 원장
의료사고의 증가추세
의료사고가 얼마나 발생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다. 2001년 발표된 울산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상일 교수의 논문 ‘의료의 질과 위험관리’에서 해마다 의료과실로 숨지는 환자가 4,500∼10,000명에 이를 것이라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한국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되는 의료서비스 불만관련 상담 및 피해구제요청(괄호안은 피해구제요청 건수임)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2000년 9776(450), 2001년 12,139(559), 2002년 11,296(727), 2003년 12,822(661)건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피해구제업무를 시작한 첫해인 1999년(4∼12월 상담 5670건, 피해구제요청 273건)을 제외하면, 매년 10,000건 안팎의 상담실적을 보이고 있다.
의료사고 관련소송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사법연감에 따르면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