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빈소 서울아산병원, *발인 8월8일, *(02)3010-2000
*빈소 연세대학교 원주장례식장 1호실, *발인 8월 9일
국립교통재활병원 교통재활연구소 정윤화 연구교수가 지난 7월 10일, 서울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에서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매년 창의적인 연구 성과로 뛰어난 논문을 발표한 과학기술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국내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상으로 평가받는다. 정윤화 연구교수는 「의사 인력의 수급 현황과 추세에 따른 적정 조정」 논문으로 이번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이 논문은 보건행정학회지에 게재됐으며, 의사 인력의 분포와 수급 현황을 분석하고 적정 규모의 인력을 살펴보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교통재활연구소는 국토교통부가 설립하고 서울대학교병원이 위탁 운영하는 국립교통재활병원 산하 연구소로, 자동차 사고로 인한 손상과 장애의 재활치료 효과를 높이고 의료 전달체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단 재활치료 임상연구와 자동차보험 수가체계 관련 정책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6일, *빈소 분당서울대병원, *발인 8월8일, *(031)787-1500
*국립보건연구원 재생의료안전관리과장△보건연구관 정지원 (前 연구기획과장)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가 최근 미국 내분비학회(Endocrine Society) 산하 골대사 위원회(Bone and Mineral Special Interest Group)의 Steering Committee 위원으로 위촉됐다고 전했다. 해당 위원회는 세계 골대사 분야의 주요 연구 방향을 논의하고, 학술 교류와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핵심 조직이다. UCSF의 돌로레스 쇼백 교수, 스탠포드대의 조이 우 교수를 비롯한 미국과 유럽의 석학들이 참여하고 있다. 아시아 출신으로는 유일하게 위원으로 활동하게 된 하정훈 교수는 아시아 지역 대표로서 다양한 임상 경험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교육 프로그램 기획, 공동연구 기회 발굴 등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하정훈 교수는 그동안 골다공증과 골대사 질환을 주제로 다양한 임상 및 중개연구를 수행하며 국내외에서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왔다. 특히 조혈계 지표와 골대사 간의 연관성, 알코올에 의한 골질 저하, 근육-골 간 상호작용(muscle-bone crosstalk) 등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토대로 관련 논문들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발표해왔다. 최근에는 Stanford Un
*5일, *빈소 한일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 8월 7일
고려대 의대 의학통계학교실안형진교수가 제14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장에 임명됐다. 임기는 2025년 8월 1일부터 2027년 7월 31일까지 2년이다. 신임 안형진 원장은 의학통계학 분야의 저명한 전문가로, 의학·보건학·통계학의 융합연구를 선도해왔다. 고려대 안암병원 IRB 위원장, 의학통계학교실 주임교수, 보건대학원 부원장 등 교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치며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안 원장은 2004년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2007년부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및 보건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제27대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경제성 평가위원, 질병관리청 자문위원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130여 편의 SCI(E)급 논문을 발표하며 결측자료 분석, 임상시험 통계, 인과성 추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성과를 쌓아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7월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받기도 했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이언숙 교수가 국가 금연정책 발전과 담배폐해 예방에 기여한 공로로 질병관리청장 표창을 받았다. 표창은 지난 7월 25일 서울에서 열린 ‘2025년 담배폐해 전문가 심포지엄’에서 수여됐다. 이언숙 교수는 20여 년간 금연클리닉을 운영하며 흡연자 치료와 흡연 예방 활동, 금연 정책 및 연구에 힘써왔다. 대한금연학회 간행이사, 대한가정의학회 간행위원 등 학회 활동을 통해 국내 금연사업의 기반 강화에도 기여했다. 또한, 질병관리청 담배폐해 조사·연구 사업에 참여, 과학적 근거 기반의 금연정책 수립과 담배로 인한 건강피해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한국 청소년의 다중 담배제품 사용과 금연 시도와의 관계 ▲마음챙김 수준에 따른 장기 금연 성공률 ▲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한국형 금연진료지침 개발 ▲여성의 흡연 및 금연 ▲청소년 대상 흡연 중재 효과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 실태 및 지속 요인 ▲국내 금연지원 프로그램 인지도 및 효과 분석 ▲금연치료지원사업 평가 등이 있다. 이언숙 교수는 “흡연은 단순한 개인 습관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건강 문제”라며 “앞으로도 연구와 진료, 교육을 통해 금연문화 확산에
*4일, *빈소 삼성서울병원, *발인 8월6일, *(02)3410-6919
*3일, *빈소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30호, *발인 8월 5일, *02-3010-2000
*일시 2025년 9월 7일 (일) 15시, *더링크호텔 2층 링크홀
*1일, *빈소 안산 사랑의병원 장례식장 특실, *발인 8월 4일, *031-437-4000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은 오는 8월 9일(토) 오후 2시 25분부터 병원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지역 개원의와 관련 의료진을 대상으로 ‘ 일산백병원 2025 신경과 연수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연수강좌는 실제 진료 현장에서 자주 접하는 신경과 주요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 접근법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수면장애와 뇌졸중, 경동맥 질환, 이상운동질환, 치매, 감각이상, 두통 등 신경과 핵심 진료 주제를 망라한 강연을 통해 지역 사회의 의료 서비스 질 향상과 진료 연계 강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연수강좌는 일산백병원 신경과 교수진을 중심으로 총 9개 세션으로 구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실제 임상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진단과 치료 전략을 공유한다. 강의 주제는 ▲렘수면행동장애의 진단과 치료(배희원 교수, 일산백병원) ▲혈전용해제: tPA vs 테넥테플라제(조용진 교수, 일산백병원) ▲경동맥 협착(홍근식 교수, 일산백병원) ▲흔히 만나는 이상운동질환의 감별진단(정수진 교수, 일산백병원) ▲진료실에서 만나는 잠들기 어려운 환자들(송파멜라 교수, 일산백병원)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치료의 최근 발전(이영건 교수, 일산백병원) ▲감각이상의 감별과 치료(조중양 교수, 일산백병원)
*빈소칠곡경북대병원 VIP 201호, *발인 8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