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은 서울 마포구 라이즈 호텔에서 ‘2025 D.G.I.T 심포지엄(Daewoong Global Innovation in Technology Symposium)’을 열고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체험 라운지’를 운영했다고 13일 밝혔다. D.G.I.T 심포지엄은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가 추가된 체험형 심포지엄으로, 최신 디지털 기술을 한 자리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험 라운지를 별도로 마련했다. 의료진들이 실제로 기기를 사용해보며 기술의 임상 실효성과 사용 편의성, 데이터 정확성 등을 직접 평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했다. 체험 라운지에는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WISKY)’ 및 안저카메라 ‘옵티나 제네시스(OPTiNA Genesis)’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mobiCARE)’ ▲반지형 연속혈압 측정기 ‘카트비피 프로(CART BP pro)’ ▲연속혈당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2(Freestyle Libre 2)’ ▲신경근육계 디지털 바이오마커(MFI) 기반 근감소증 위험도 평가 솔루션 ‘엑소메드-딥사크(EXOMED-DeepSARC)’ ▲스마
서울바이오허브는 서울시에서 조성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려대학교가 공동 운영하는 ‘홍릉 바이오·의료 R&D 앵커시설’에 2025년 제1차 입주기업을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신청 접수는 5월 20일까지 진행되며, 선정된 기업은 서울바이오허브, 서울 바이오 혁신커뮤니티센터, BT-IT 융합센터에 입주한다. 서울바이오허브와 혁신커뮤니티센터에는 창업 5년 미만 기업, 예비 창업자, 기업 부설 연구소 중 의약,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레드바이오 분야에서 우수한 아이디어나 기술을 보유한 곳이 지원할 수 있다. BT-IT 융합센터는 디지털 헬스케어 특화 분야를 대상으로 한다. 입주 기간은 기본 1년이며, 연장 심사를 거쳐 최대 3년까지 1년 단위로 연장할 수 있다. 입주 기업에는 △입주 공간 및 공용 시설 지원 △서울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 기업 혜택 △투자유치 및 기업 홍보 지원 △서울시 스타트업 지원 서비스 우선 제공 △공용 연구시설 및 장비 이용 △학·연 혁신네트워크 기관과 연계 및 협업 기회 제공 △레드바이오 분야 특화 교육 △병원 기반 의료데이터 활용 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서울바이오허브 관계자는 “홍릉 일대는 국내 대표 바이오 혁
고령 당뇨병 환자에게는 혈당강하 뿐만 아니라 저혈당 등 여러 고려 사항들이 많은데, 이 때 DPP-4 억제제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전문가의 제언이 나왔다. 그 중에서도 제미글립틴(제품명 제미글로)가 65세 이상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를 통해 우수한 혈당조절 효과와 양호한 내약성이 확인돼 많은 의료진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지난 5월 8일부터 10일까지 경주 화백컨벤션에서 개최된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영남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성 교수가 ‘DPP-4 inhibitor for elderly diabetes: real-world insights from Korean patients’를 주제로 한 강연을 진행했다. 문 교수에 따르면 전체 당뇨병 환자 중 60세 이상이 절반에 달해 고령 환자에 대한 관리 방법이 주목되고 있따. 문 교수는 “고령 환자에서는 삶의 질,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해야 하며, 영양 지원 등의 접근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보다 복합적이고 전인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고혈당 조절의 목표도 개별화돼야 한다는 점이 강하게 강조되고 있다”면서 “약제 선택 시 효과뿐 아니라 저혈당 위험 등 부작용
대한소화기학회가 지난 4월 19일부터 20일까지 스위스 그랜드 호텔 서울에서 개최한 Seoul International Digestive Disease Symposium (SIDDS) 2025 및 춘계학술대회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소화기학 분야의 최신 연구와 혁신을 선도하는 국제적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참가자들에게 풍부한 인사이트 제공과 폭넓은 네트워킹 기회를 마련했다. SIDDS 2025 및 춘계학술대회는 ‘Frontiers in Digestive Research and Practice’를 주제로, 8개국에서 초청된 196명의 국내외 석학들이 소화기학 전반에 걸친 기초연구, 중개연구, 임상연구를 다뤘다. 두 학술대회의 통합 운영을 통해 더욱 포괄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됐으며,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주요 심포지엄에서는 헬리코박터, 장 염증질환, 위장관 운동질환, 만성 간염, 담도 협착, 위장관암, 간췌담도암 등의 핵심 소화기질환을 비롯해 면역항암제, 단일세포 유전자 분석 등 다양한 최신 주제를 다뤘다. 이외에도 소화기질환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논의하는 세션과 일본소화기학회와의 공동 심포지엄이 마련돼 학술적 교류가 활발히
보건의료노조(위원장 최희선)는 제54회 국제간호사의 날을 맞아 5월 12일(월)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국민 건강의 열쇠, 간호사 - 간호노동 현장을 말한다’는 제목으로 현장 증언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증언대회는 간호사들이 직접 자신의 노동현장을 증언하고, 간호정책 개선과 의료개혁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송금희 보건의료노조 수석부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오선영 보건의료노조 정책국장이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로 보는 간호노동 실태’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 백혜성(한림대성심병원), 윤은정(국립암센터), 이성진(인제대해운대백병원), 박진아(인하대병원) 간호사들이 현장 증언자로 나섰고, 이정희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원, 장숙랑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학장, 최복준 보건의료노조 정책실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최희선 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지난해 우리는 간호법을 제정하는 결실을 이뤘지만, 여전히 현장의 간호사들은 공짜노동과 의사 업무 대행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간호법 시행령이 오는 6월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이 법이 실제 간호사의 권익 보호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또 하나의 명목뿐인 법에 그칠 것”이라며, “간호사들
입셀(대표 주지현)이 Thermo Fisher Scientific과 ‘iPSC 유래 세포치료제 폐쇄식·자동화 제조 플랫폼’ Cell and Gene Therapy Vision Center (이하 CGT Vision Center) 연구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옴니버스파크 입셀 사무실에서 현판식을 열고 연구에 착수한다. 입셀은 지난 4월 17일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과 함께 국내 최초로 iPSC 유래 치료물질을 환자에게 투여하며 세계 최초 주사형 3D iPSC 연골스페로이드(MIUChon) 임상에 성공한 바 있다. 이번 연구협업은 해당 임상 경험에서 얻은 공정·품질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인공혈액·차세대 조직 재건 등 다양한 iPSC 파이프라인을 자동화·무균 시스템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이와 관련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코리아(대표 석수진)는 서울 강남구 수서동에 CGT Vision Center를 25일 개소했다. CGT Vision Center는 첨단 바이오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세포·유전자치료제의 연구 및 공정 개발에 수준 높은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됐다. 세포·유전자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자사의 ‘피로회복 비타민’ 아로나민 씨플러스의 새 얼굴로 모델 겸 방송인 이현이를 발탁하고 TV-CM 방영 등 신규 캠페인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아로나민 씨플러스는 비타민 B군 8종(비타민 B1 · B2 · B3 · B5 · B6 · B7 · B9 · B12)과 항산화 성분(비타민 C · E, 셀레늄) 외에 아연, 철분 등의 미네랄이 함유된 일반의약품 비타민 영양제이다. 이 제품에는 특히, 육체 피로와 신경통 및 근육통, 어깨 결림 등을 개선하는 비타민 B1이 활성형 형태(푸르설티아민)로 들어 있으며, 기미 · 주근깨 등 피부 색소 침착을 완화하는 비타민 C가 600mg(1정 기준) 함유돼 있다. 새 광고는 가정과 회사 등에서 프로페셔널한 모습으로 다양한 역할을 소화하는 사람들에게 피로 관리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데에 중점을 뒀다. 특히, 실제 두 아이를 둔 워킹맘으로서 왕성하게 활동 중인 이현이를 모델로 등장시켜 공감도를 높이는 한편, 집 - 회사 - 약국으로 이어지는 장면 전환을 통해 피로를 풀 수 있는 최종 목적지가 약국임을 직관적으로 나타냈다. 또한, 광고 말미에 이현이가 약국을 배경으로 “피로도 풀고 항산화 관리까지,
메디톡스(대표 정현호)는 12일 실적 공시를 통해 1분기(연결기준) 매출 640억원, 영업이익 55억원, 당기순이익 33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7% 성장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역대 1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한 이번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국내에서 26%, 해외에서 12% 성장하며 고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브라질 등 아메리카 지역이 88%의 고성장을 기록하며 주요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메디톡신’, ‘이노톡스’, ‘코어톡스’ 등 메디톡스가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 제제와 새롭게 가세한 ‘뉴럭스’까지 4종의 차별화된 라인업을 갖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매출이 국내와 해외에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9%, 16% 성장하며 호실적을 견인했다. 메디톡스는 오송 3공장이 생산량을 확대하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해외 수출 물량의 출하를 본격 시작한만큼 ‘뉴럭스’의 해외 허가가 늘어날수록 매출 증가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다수의 톡신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메디톡스만의 차별화된 강점이 브랜드 인지도 제고 활동과 시너지를 내며 역대 최대 1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클래시스(대표이사 백승한)가 전년 동기 대비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며 분기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클래시스는 12일 2025년 1분기 매출액이 7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8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비수기임에도 연간 목표로 제시한 매출증가율 44%를 훌쩍 넘어섰고, 영업이익률은 50%를 상회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높은 수익성이 유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회사는 2024년부터 분기 연속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을 이어가며 견고한 성장세를 숫자로 증명해 보이고 있다. 구 이루다와의 합병 이후 통합 작업이 조기에 완료되면서, 본격적인 시너지 효과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점도 실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클래시스 관계자는 “클래시스는 글로벌 80여 개국의 탄탄한 대리점 네트워크와 1만8000개 이상의 의료진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미용의료기기 리더”라며 “구 이루다와의 합병을 통해 확보한 경쟁력 있는 브랜드 리팟을 기존 채널을 통해 빠르게 확산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반기에 차세대 마이크로니들 신제품을 출시하게 되면, 클래시스 대표 제품
디오가 임플란트 건보 적용 확대정책 수혜 등으로 인해 성장성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하는 리포트를 12일 발간했다. 아이엠증권의 이상헌 연구원은 “이번 대선에서 치과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확대정책이 가시화 되고 있고,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 하는 등 디오의 수혜 강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특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발표한 어르신 정책 공약에는 치과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연령 하향 및 개수 확대에 대한 정책이 포함돼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65세 이상 부분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1인 2개에 한해 치과 임플란트 급여가 적용되고 있다. 지난 2022년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임플란트 적용연령을 현행 65세에서 60세로 단계적으로 하향하고, 65세 이상에 대해서는 추가로 2개를 더 지원해 총 4개까지 건강보험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이 연구원은 올해 디오의 실적을 연결기준으로 매출액 1,735억원(+45.1% YoY), 영업이익 263억원(흑자전환)으로 수익성 개선이 가속화 될 것으로 분석했다. 실적 성장과 관련해서는 국내 매출의 경우 일회성 요인으로 인한 기저효과로 전년 대비 큰 폭의 상승이 예상되며, 중
원텍㈜(대표 김종원·김정현)이 2025년 1분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원텍은 12일 공시를 통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74억원(전년 동기 대비 65.8% 증가), 영업이익 145억원(119.3% 증가), 당기순이익 118억원(100.9% 증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4년 4분기의 어닝 서프라이즈를 뛰어넘는 수치로, 회사 창립 이후 가장 높은 분기 실적이다. 이번 실적의 핵심 요인은 수출 비중의 확대다. 1분기 전체 매출 중 수출 비중은 69.2%로, 전년 동기 55.6%를 크게 웃돌았다. 특히 주력 제품군인 모노폴라 고주파(Monopolar RF) 및 HIFU(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비 매출 비중은 42.5%로 상승하며, 소모품 판매로 이어지는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출 성과는 특히 태국과 브라질 시장에서 두드러졌다. 원텍은 지난해 3월 태국 현지 법인을 설립한 이후 불과 1년 만에 태국을 자사 최대 수출국으로 키워냈다. 현지화 전략도 성과를 내고 있다. 태국 현지 인기 배우들을 브랜드 앰버서더로 발탁하는 등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강화하며 시장을 넓혔다. 브라질 역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한국릴리(대표: 존 비클, John Bickel)는 자사의 GIP/GLP-1 수용체 이중효능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와 GLP-1 수용체 작용제 ‘세마글루티드’의 임상적 효과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평가한 SURMOUNT-5 3b상 오픈라벨 임상연구의 상세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연구는 성인 비만(체질량지수(이하 BMI, Body Max Index) 30 kg/m2 이상) 또는 당뇨병을 제외한 한 가지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질환이 있는 과체중(27kg/m2이상 30 kg/m2미만)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마운자로는 72주차 기준 1차 평가변수 및 다섯 가지 주요 2차 평가변수를 모두 충족하며 세마글루티드 대비 우월성을 확인했다. 이번 결과는 2025년 제32차 유럽비만학회(ECO, European Congress on Obesity) 및 국제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서 동시 발표됐다. 대한비만학회 김민선 교수(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는 “비만은 개인 차원에서는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200여가지의 합병증 및 조기 사망 위험을 증가시켜 건강에 악영향을
국내 마그네슘 영양제 1위 유한양행의 ‘마그비’가 새롭게 광고를 시작한다.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마그네슘 영양제 ‘마그비’의 액상 제제인 ‘마그비스피드’의 2025년 버전을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신규 광고는 TV 및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광고는 “마그비스피드가 필요할 때”와 “약으로 싹 빠르게”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다양한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그네슘 결핍으로 인한 근육 경련 ▲육체 피로 ▲체력 저하 등의 상황에서, 액상 형태의 일반의약품 마그비스피드가 빠른 효능을 발휘함을 전달한다. 모델은 다양한 작품과 예능에서 활약 중인 배우 ‘곽시양’이 선정됐다. 운동 및 일상생활에서 마그비스피드가 필요한 상황을 곽시양 배우 특유의 다채롭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표현했다. 일반의약품 영양제 마그비스피드에는 다양한 종류의 마그네슘 중 글리세로인산마그네슘 1200mg이 들어갔다. 글리세로인산마그네슘은 의약품에만 함유 가능하며, 마그네슘에 흔히 있는 설사 부작용을 가장 최소화한 성분이다. 또한, 액상 형태라 빠르게 흡수가 가능하여 보다 빠르게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정제나 캡슐 복용이 어려운 경우에도 섭취가 용이하다. 마그비스피드는
목암생명과학연구소(소장 신현진, 이하 목암연구소)는 지난 9일 서울 서초동에 위치한 연구소에서 창립 41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바이오 신약개발의 산실로 오랜 명성을 유지해 온 목암연구소는 지난 2022년 인공지능(AI) 기반의 신약개발 연구소로 탈바꿈했다. 이후, mRNA 치료제 개발을 위한 AI 플랫폼 연구를 필두로 서울대병원 등 다수의 기관과 함께 난치성 희귀질환의 진단 및 분석용 AI 모델 개발, 치료용 화합물의 특성 예측 및 디자인, 단백질 또는 항체의 기능 향상을 위한 최적화 AI 모델 개발 등 다방면으로 연구분야를 확장해 왔다. 신현진 소장은 이날 창립기념사를 통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조직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며, “좋은 약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디자인하고 개발할 수 있는 AI, 질병과 약의 작동원리를 정확하게 파악해 신약개발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AI를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김호철 책임연구원이 10년 장기근속 표창을 수상했다. 한편, 목암연구소는 지난해 7월부터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K-MELLODDY)에 참여해 체내 약물의 동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한의약진흥원(원장 직무대행 이화동)은 5월 12일(월) ‘한의약 해외진출 지원사업’ 참여기관으로 해외진출 의료기관 3개소(경희부부한의원(2단계, 미국), 반포뉴본한의원(1단계, 미국), 제통한의원(2단계, 캐나다))와 중국 환자 유치 참여 의료기관 4개소(두나한의원(서울), 명동시원한의원(서울), 본라인한의원(서울), 슬림핏한의원(부산))를 신규로 선정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한의약진흥원은 ‘한의약의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통해 지난해부터 필리핀, 베트남 등 한의 의료기관의 해외 현지 개원·정착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는 미국, 캐나다 등 북미지역으로 진출 국가를 넓혀나갈 계획이다. 이번에 새롭게 선정된 미국(2개소)과 캐나다(1개소) 진출 의료기관은 영주권과 침구사 면허, 진출 현황, 시장조사 등 사전 준비를 마치고 단계별 진출을 앞두고 있다. 이들 의료기관에는 총 9천만원이 지원되며, 개원 법률, 제약·의료기기 수출 인·허가 자문 등이 지원된다. 지난해 국내 한의 의료기관을 찾은 외국인 환자 수는 3만 3000여명으로 전년보다 약 85% 증가했다. 외국인 환자 유치를 본격화한 2009년 이후 최대 규모다. 이에 따라 동남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