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향후 7년간 신종플루 사태와 같은 혼란 우려

김희국 의원, 주요백신 중 국내생산은 단 8종 불과


국내에서 생산 가능한 백신은 28개 주요백신 중 단 8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희국 의원이 식약처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 백신 중 필수예방접종백신 15종 중 8개종이 생산 불가하며, 기타예방접종백신 9개는 모두 생산되지 않으며, 대유행 및 대테러 예방백신 4종 중 3개가 각각 생산이 불가능했다.

우리나라는 2020년이 돼서야 필수백신 93%, 기타백신 55%, 대유행 및 대테러 백신 100%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되더라도 2013년부터 향후 7년간은 우리 국민의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고, 2020년이란 기간도 식약처의 백신개발 지원계획서 상 목표일 뿐, 실제 백신 개발 상황에 따라 더 길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그간 백신 자급화의 중요성은 누구나 공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자급률이 높지 않은 요인은 기술과 돈이다. 초기 투자비용이 크고,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는데 반해 국내 업체는 상대적으로 영세한 규모이다.

이 때문에 현재 해외 5개 글로벌 거대 제약사가 전세계 백신시장의 86%를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의 백신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원천기술과 자본부족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김희국 의원은 “지난 2009년 신종플루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했을 때의 백신 품귀현상을 기억해야 한다. 당시 국내에서 생산되는 백신이 없고, 거의 수입에 의존함에 따라 초기 백신 확보가 불투명해 접종시기 지연 등 혼란이 초래되어 국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모든 질병은 사후 치료보다 예방이 우선이므로 국민의 안전을 책임질 ▲필수예방접종백신 ▲대유행 및 대테러 백신 ▲기타예방접종 백신의 자급화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만큼 시급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