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해외뉴스

거대 제약회사 R&D 투자 수익률 반토막으로 압박

10년전 비해 수익률 급감해 주주들 투자 투명성 요구 높아져

세계 거대 제약회사들이 주주들의 배당 저조 우려와 함께 연구개발 투자 수익 감소에 엄청난 압박을 받고 있다.

제약산업 분석회사 KPMG 유럽 책임자 스틸링(Chris Stirling) 씨의 의견에 따르면 제약회사의 연구개발 투자수익이 1990-2010년 사이에 반토막이 났다고 밝혔다.

GSK만이 R&D 수익 목표가 달성됐을 뿐 다른 회사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 따라서 주주로부터 연구개발 투자에 투명성을 요구받고 있으며, R&D 투자에 대한 적절한 수익창출도 요구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세계 최대 제약회사들은 특허 만료로 가격 하락 압박을 받고 있으며, 투자자들의 R&D 지출에 대한 신뢰 결여가 주요 디레마로 나타나고 있다.

1990년 세계 50대 제약회사들은 R&D 투자의 약 17% 상당의 평균 세후 수익을 창출했으나 작년 투자 수익률은 10% 이하로 반토막이 났다는 사실을 볼 때, 투자자들의 우려는 충분한 이유가 있음을 지적했다.

또 다른 조사 보고에서는 작년 12월에 최고 12개 제약회사들이 최종 단계 신약 파이프라인의 8-18%의 수익을 냈으나 이는 가중 평균치로 7%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사노피 사장 비바쳐(Chris Viehbacher) 씨는 대부분 제약회사의 최고 경영자들이 이를 잘 숙지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이 R&D에서의 투자 가치를 불신하고 있다는 인식 또한 감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부분 제약회사들이 투자자들에게 제품 파이프라인이 강하고, 광범위하며 혁신적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각 개발 계획에 대한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은 없어, 주주들은 회사의 이러한 계획에 대한 투자가 회사 자본 비용보다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