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뇌신경활동 실시간·고해상도로 기록가능

서울대병원, MEG 국내 첫 도입

검사장비 MEG의 도입으로 뇌종양을 비롯한 각종 뇌 질환 수술 시, 뇌 중요 기능 손상으로 겪는 수술 후 휴우증·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됐다.
 
서울대병원은 감각운동, 청각, 시각, 기억, 언어 인지 등의 뇌 기능이 발생되는 뇌 부위를 정확하게 진단해냄으로써 선진 외국에서는 뇌수술 전 필수검사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MEG(magnetoencephalography, 뇌자도’를 도입,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신경외과 정천기 교수는 "MEG 도입은 국내 뇌기능영상시대를 알리는 시발점"이라며 “뇌종양, 간질 등의 신경외과 수술과 감마나이프 등의 방사선 수술에 이용해 보다 향상되고 안전한 수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하고 “특히 기존의 뇌기능영상 검사들과 서로 보완한다면 환자진료 및 신경과학 연구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MEG는 지난 1980년대 중반 개발됐으며, 일본의 경우 현재 30여대가 있으며,1990년대 중반 들어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상용화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10여년간 뇌기능영상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뇌기능매핑’(Human  Brain Mapping)이라는 분야가 생겨, 정상인의 정서, 의식, 사회적 판단을 위한 뇌영역을 해석하게 되었고, 질병이 있는 환자에서는 뇌기능이 정상인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는 단계까지 발전했다.
 
이러한 성과는 PET(양성자단층촬영)과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연구성과로, PET로는 시각, 청각 또는 시청각과 같은 단순 지각과 관련된 뇌 부위 진단이 가능하며, fMRI로는 한가지 뇌기능 작동 이벤트와 관련된 뇌부위를 영상화 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이들 검사는 1~5mm 정도의 매우 작은 부위도 영상화할 수 있을 정도로 공간적 해상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는 반면, 뇌신경세포의 활동시간은 1/1000초 보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데 반해, 전기적 활동을 실시간으로 기록하지 못하고 수초에서 수분 동안에 발생하는 뇌활동을 정지된 한 장의 사진으로 밖에 얻지 못하는 시간적 한계가 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로 인해 보고자 하는 (피질)영역 이외 스캔시간 동안 활동한 모든 신경영역이 표현되어 복잡한 해석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인해 신경의 활동경로 파악이 힘들었으며 fMRI의 경우 검사시간이 30분 정도로 길어 피검자가 장시간 자기장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서울대병원측은 “기존 검사들의 단점을 보완한 MEG는 뇌신경의 전기적 활동을 실시간으로 기록해 고해상도의 동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장으로 인한 문제도 없는 등의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에 서울대병원이 도입한 장비는 핀랜드의 엘렉타 뉴로맥(Elekta Neuromag)사 제품으로, 뇌기능영상과 뇌파를 동시에 측정 가능하다. 이 제품의 가격은 20억원 상당이며, 검사비용은 50만원에서 3백만원으로, 사전준비까지 포함해 한명 검사에 30분에서 1시간이 소요된다.
 
 
 
위정은 기자(jewee@medifonews.com)
200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