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무지외반증 5년사이 77% 급증…여성 유병률 높아!

공단, 여성 40~60대 환자 최다…급여비도 3.7배 증가


엄지발가락이 휘어지는 무지외반증 환자가 여성 40~60대에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최근 5년 동안(2005~2009년) '(후천성) 무지외반증(M20.1)'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된 결과에 따르면 '(후천성) 무지외반증(M20.1)' 진료환자가 2005년 2만 4천명에서 2009년 4만 2천명으로 77% 증가했으며, 2009년 기준 여성이 3만 6천명으로 남성(5천명)보다 7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10만명당 성별ㆍ연령별 진료환자 추이를 보면 남성의 경우 최근 5년간 모든 연령대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여성의 경우 30대 이하와 70대 이상에서는 완만하게 증가했으나 40~60대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전체 진료환자 중 40~60대 여성 진료환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2009년 기준 40~60대 여성이 인구 10만명당 842명으로 여성 전체 진료환자(1,251명)의 67.3%를 차지했다.

환자가 늘어난 만큼 진료비 역시 큰 폭으로 늘어났다. 무지외반증과 관련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도 해마다 증가해 2005년 56억 원에서 2009년 208억 원으로 3.7배 증가했으며, 2009년 기준 급여비는 154억 원으로 총진료비의 74%를 수준이다.

성별 총진료비 추이를 보면 남성의 경우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여성의 경우 2005년 51억원에서 2009년 191억 5천만원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09년 기준 남성의 16억 7천만원 보다 11.5배 많았다.

연령별 총진료비 추이를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40~60대의 총진료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50대의 총진료비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남성의 경우 2005년 9천만원에서 2009년 4억 5천만원으로 4.8배, 여성의 경우 2005년 18억원에서 2009년 77억원으로 4.3배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