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민간 병의원 회계자료로 정책 활용은 문제 많아

중소 병의원 회계기준엔 원장 수익부문 빠져 있어 부정확

의료기관의 회계자료를 공식 정책자료로 활용하기엔 미흡한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산업팀 이윤태 전문위원은 ‘의료기관의 회계기준 적용 현황’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현재 정책자료로 활용하고 있는 대상은 2009년 회계연도말 기준 313개 기관(상급종합병원 44개, 종합병원 269개)으로 이는 전체 병원의 총 13%에 불과한 수준이다. 그러나 진료비 수입은 77%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의료기관의 회계 투명성 지표와 관련해 이윤태 전문위원은 “의료기관 회계기준의 투명화 정도는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개선할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회계기준 적용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재무제표와 부속명세서 간의 결산금액 불일치 ▲부속명세서 작성 미흡 ▲기업회계기준양식에 따라 작성된 점 등을 들고 있다.

무엇보다도 기업회계기준양식에 따라 작성함으로 인해 정확한 의료기관의 경영현황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회계기준 적용의 주요 문제점은 100병상 이상 200병상 미만의 민간개인병원 자료 산출이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다. 이윤태 전문위원은 “이들의 경우 원장 인건비가 제외돼 수익ㆍ비용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 국공립 및 민간법인은 외부감사를 받는 비율이 약 69%로 높지만 민간개인은 외부감사를 거의 받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나는 주요원인은 의료기관의 회계시스템 및 회계담당인력 부족과 세무대리인의 의료기관 회계기준에 대한 경험 부족, 회계자료에 대한 경영자의 인식 부족 등에 있다.

의료기관 회계자료의 경우는 ▲의료수가 수준 산정 ▲병원 경영실태, 의료수익구조 변화 ▲지역별 의료자원 분포ㆍ이동 ▲의료기관의 투자규모 변동 사항 ▲계절별ㆍ월별 환자수 변화ㆍ수익변화 등을 파악하고 의료정책결정의 중요 자료이다.

이와 관련 이현태 전문위원은 “현재의 의료기관 회계자료를 정책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미흡하다”면서 “의료기관 경영자들의 인식 전환과 의료기관 직원 교육을 확대해 회계자료 결산 능력을 함양, 회계 시스템 개발ㆍ보급을 통해 세무사나 회계사의 의존도를 낮추어야 한다. 또, 국제회계기준에 맞는 의료기관 회계기준 규칙을 개정ㆍ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자료에 따르면 회계기준 적용 대상 기관의 전체 의료기관당 평균 자산규모는 652억원 정도로 매년 평균 8.5%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