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영업사원 출금-D사 등 검찰조사로 “사면초가”

제약계, 조사대상 확대와 출입금지 사태 겹쳐 ‘속수무책’

전국적인 검찰 리베이트 조사와 일부 병의원 영업사원 출입금지 사태까지 전방위 리베이트 압박이 가해지면서 제약계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1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구로구의사회, 경남도의사회, 김해시의사회까지 영업사원 출입금지 움직임이 포착되자 전국적으로 확산될까 우려스럽다는 반응이다.

그간 제약사들은 일부 지역적 문제로만 치부해왔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료계의 추이를 지켜보자는 분위기가 강했다.

그러나 서울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속속 영업사원에 대한 출입금지 조치가 내려지고, 검찰의 잇따른 리베이트 조사가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제약사들은 의사와 정부 모두에게 곱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13일에는 대구지검 특수부가 전국 의료기관에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D제약사의 전 대표 조모씨와 경영지원본부장 최모씨 등을 불구속기소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전국 병원, 약국 등 1만6000여곳에 자사의 약을 사용해준 댓가로 리베이트 814억원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법인세 111억원을 포탈한 혐의도 받고 있다.

올해 들어 공정위, 국세청 조사로 바람잘날 없었던 제약계에 검찰 등이 전국적으로 리베이트 조사까지 벌이자 제약사들은 조사대상에 이름이 오를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쌍벌제가 국회를 통과하고 올하반기 저가구매제가 시행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개원가에서 리베이트 오명을 벗기 위해 영업사원 출입금지까지 행하자 제약계는 말그대로 진퇴양난에 빠져있다.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데도 제약업계는 특별한 대책이 없는 상황. 그간의 리베이트 관행을 개선하는데는 어느정도 시간과 희생이 필요하며 또 쌍벌제에 대해서는 제약사간 입장차가 엇갈리고 있어 적극적인 입장을 밝히기 힘들기 때문에 서로 눈치만 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A제약사 관계자는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것으로 생각하고 지금까지는 거부감이 있는 병의원에는 영업사원 출입을 자제시켰었다”며 “지금까지는 일부 분위기였지만 출금 분위기가 확산되는것은 걱정된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영업사원 출금은 쌍벌제를 반대하고 리베이트 의혹을 해소시키기 위한 의료계의 의견 표출 수단일뿐”이라며 “음성적 리베이트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쌍벌제는 필요하다. 서로 안주고 안받으면 되는것 아니냐. 굳이 반대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의견을 밝혔다.

한 영업사원은 "솔직히 대학병원에서는 별로 영향이 없다"며 "지역 또는 의사회마다 다른것 같다. 영업사원 출입금지 분위기에 대해 아직 모르고 있는 의사들도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