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병 나으려다 되레 병 옮는다”

구급차 감염관리 '심각'. 관리사각지대

구급차 오염이 예상보다 심각한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이애주 의원(한나라당)은 서울대병원 연구팀과 함께 서울시내 10개 소방센터에서 13개 구급차에서 각 33곳씩 총 429개의 검체를 채취해 배양·분석한 결과 이중 병원성균은 4곳, 환경오염균은 210곳에서 검출돼 전체검체의 50%가 세균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의 점막에 직접 닿아 감염위험도가 가장 높은 구급장비인 기도유지장치와 호흡유지장치에서도 병원성균인 Klebsiella pneumoniae가 검출돼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폐렴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이들 장비 중 완전멸균이 이뤄져야 하는 기도유지장비의 위험물품 15.4%와 준위험물품 28.8%(15/52개)에서 환경오염균이 검출됐으며, 호흡유지장치의 준위험물품 45.2%(47/104개)도 환경오염균이 검출돼 구급차 내 주요 장비조차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의 심각성을 더했다.

항생제내성바이러스인 MRSA와 MRCoNS도 운전석 손잡이와 카트슬라이드 바에서 검출됐는데, 이는 구급차를 매개로 환자와 보호자·구급대원이 해당질환에 감염돼 또 다른 이에게 전파시킬 우려가 있음을 뜻한다.

이외에도 많은 비위험물품에서 다양한 종류의 환경오염균이 검출됐디.
책임연구자인 서울대병원 신상도 교수(응급의학과)는 “이들 균은 건강한 일반인에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침습적인 감염을 일으킬 소지가 있어 환경오염균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교수는 또 “구급차 내에서 토양이나 물에서 자라는 Acinetibacter나 Pseudomonas가 검출된 것은 가장 기본적인 세척조차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번 연구조사에서는 서울대병원 응급실 이용환자 중 직접내원자와 119구급차 이송환자, 사설 구급차 이용환자를 구분하여 결핵균 및 항생제 내성바이러스인 MRSA와 VRE 보균 현황 역시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직접 내원한 환자에 비해 119구급차와 사설구급차를 이용해 내원한 환자에서 보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설구급차는 119 구급차에 비해 2~3배 이상 높은 위험도를 보여 이송수단과 감염율 간에 일정정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암시했다.

직접 내원환자를 1로 보았을 때 △결핵균은 119 구급차 이용자 1.23배, 사설구급차 이용자 2.58배, △MRSA는 119구급차 이용자가 2.41배, 사설구급차 이용자가 6.50배 △VRE는 각각 2.74배와 10.29배 이상의 높은 보균율을 나타냈다.

이애주 의원은 지난 2007년도 영국에서 위생상태가 불량한 엠블란스를 통해 MRSA가 무차별적으로 전파된 사례를 예로 들면서 “우리나라 역시 대규모 감염사고에서 예외지역일 수 없다”고 우려했다.

그는 구급차를 통한 감염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급차 내 감염관리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는 한편 복지부와 소방방재청 등 관련기관의 공동조사 및 관리감독시스템 구축, 필요한 예산지원을 통해 소독·관리에 필요한 설비와 인력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