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의과와 치대 및 한의대에서 돈을 받고 학위를 팔다 적발된 것과 관련, 교육인적자원부는 전국의 모든 의·치·한의대의 학위수여 실태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4일 의과대학을 비롯해 치대·한의대의 대학원 교육과정 운영 및 학위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 비리혐의가 포착된 대학에 대해서는 자체감사팀을 구성, 대학원 교육과정 운영전반에 대해 강도 높은 감사를 실시하고 비리가 확인될 경우 행정·재정적 지원을 제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최근 전주지방검찰청 수사에서 금품수수 사실이 드러난 교수들에 대해서는 파면·해임 등 중징계를 해당 대학에 요구하고, 돈을 주고 박사학위를 받은 의사들에 대해서는 학위를 취소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또 '대학원 학위제도 운영개선 추진팀'을 구성, 학위 부정수여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근본적인 예방책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또 대한의사협회와 치·한의사협회, 의과대학장협의회 등에 자정노력을 촉구할 것을 요구키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에 발생한 박사학위 관련 비리는 의사 및 교수들의 도덕성에 상처를 줄 뿐만 아니라 대학전체에 대해 불신을 초래하는 중대한 사건"이라며 "부정학위 수여 관련교수에 대해서는 교수징계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부정한 방법으로 학위를 취한 의사들에 대해서는 학위수여를 취소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전주지검은 지난달 말 의·치·한의대 석박사 학위를 매매한 혐의로 교수 5명을 구속, 23명을 불구속했으며, 이들 교수에게 돈을 건넨 개원의 198명을 불구속했다.
이창환 기자 (chlee@medifonews.com)
200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