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 간병인 중 절반 가량이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병간호를 위해 그동안의 저축액 마저 소진하는 등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 윤영호 삶의질 향상 연구과장은 지난 2003년 6~12월 국내 5개 호스피스완화의료관에서 말기 암환자를 돌보던 가족 간병인 18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가족 간병인들은 `간병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거나 생활에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자가 50%에 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의 71.1%는 `간병 중 도움이 필요했다'고 답하고 `간병 중 다른 가족이 아프거나 정상적인 가족생활이 어려웠다'는 응답도 27%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저축금의 전부 혹은 대부분 사용(54%), *가족의 주요 수입원 상실(34%), *더 싼 집으로 이사(18%), *다른 가족의 중요한 치료를 미룸(12%), *가족의 교육 계획을 미룸(13%) 등으로 응답했다.
이에 연구팀은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데 드는 비용은 환자와 가족의 가정형편이나 질병의 종류,간병장소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의료기관에서 돌보는 경우에는 평상시(환자가 없는 경우)의 2.7배, 환자가 간암일 때는 3.6배, 가족의 경제력이 낮을 때는 2.97배, 주(主)간병인이 배우자인 경우는 3.9배 가량 저축액을 소진률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간암환자를 돌보는 데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은 간암환자의 70~80% 가량이 만성간염이나 간경화 등으로 투병생활을 하다가 간암으로 진행되면서 전체적인 치료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데 드는 비용은 중년기나 노년기보다 `가족형성기'인 경우에 3.57배 가량 더 들었으며 `출산기 또는 학령기'인 경우에는 8.3배, `청소년기 또는 출가 전'인 경우는 10.6배 등으로 조사돼 말기 암환자 가족의 경제적인 상실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국립암센터 윤영호 연구과장에 따르면 "말기 암환자를 간병하는데 드는 고비용은 사회경제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지니며, 이는 그 자체 비용 외에도 불필요한 입원이나 안락사, 자살 등 또다른 사회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 연구과장은 "말기 암환자 가족의 간병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인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린 것으로 밝혔다. (www.mediofnews.com)
·
박지은 기자 (medifojieun@paran.com)
200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