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한적십자사의 헌혈증 제도 폐지 계획에 대해 시민단체가 헌혈율을 떨어뜨리고 수혈을 받아야 할 환자들이 피해를 입게 된다며 반대 입장을 밝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건강세상네트워크는 8일 ‘헌혈증 폐지는 대안을 먼저 수립한 이후에 추진해야 할 일’이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장기적으로 헌혈증서 제도의 폐지를 주장하지만 몇 가지 전제를 마련하고 시행되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헌혈율은 떨어지고 수혈을 받아야 할 환자들은 큰 피해를 당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적십자사는 최근 ‘헌혈증은 제 3자가 이용해도 수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서 헌혈정신에 부합하지 않는 제도’라는 이유로 대한적십자사가 2009년까지 현재 운영하고 있는 헌혈증 제도를 폐지할 방침을 세우고 있다.
건강세상네트워크는 이에 대해 “우리도 현재의 헌혈증서 제도는 일종의 ‘혈액보관증서’처럼 운영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래의 헌혈 정신에 위배된다고 본다”며 “그러나 이것은 몇 가지 전제를 마련하고 시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헌혈율은 떨어지고 수혈을 받아야 할 환자들은 큰 피해를 당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수혈비용에 대한 공공적 책임 강화(수혈비용의 전액면제) *헌혈자에 대한 사회적 배려 제도화 등의 대안이 제시됐다.
건강세상네트워크는 “헌혈증 발급을 개인카드제로 대체한다고 해도 헌혈증 발급은 줄어들고 이는 당연히 수혈자들의 피해로 돌아갈 것이고 그동안 ‘봉사’의 의미에서 헌혈을 하고 헌혈증을 증여해온 사람들의 행복을 빼앗아 헌혈율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라고 의견을 피력했다.
또 “정부와 적십자사는 혈액사업 존재의 근원인 헌혈자들의 안전과 권리가 무엇이었는지를 재정립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며 “헌혈자인 국민들과 환자의 처지에서 한번 더 생각하는 정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창환 기자(chlee@medifonews.com)
200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