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주관하고 있는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직원이 국회 한·미 FTA 특위 소속 한 위원에게 제보 전화를 건 것으로 알려지면서 외교부가 사실 확인작업에 들어갔다.통상교섭본부 관계자는 25일 “최재천 의원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특위 회의에서 ‘통상교섭본부 내부에 한·미 FTA 협상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는 제보자가 있다’고 밝힌 내용이 사실인지를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최 의원에게 제보한 직원이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며 “최 의원의 발언이 사실일 경우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대외비 문건 유출보다 더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앞서 국회 특위에서 최 의원은 “재미난 얘기를 하겠다”며 당일 아침에 받은 제보전화 내용을 공개했다. 최 의원은 “제보자가 통상교섭본부 공무원인데 감찰이 심해 다른 의원실로 전화를 해 나를 바꿔달라고 했다”며 “공식 협상은 기술적인 측면의 협상이고 99%는 고위급에서 결정되는 만큼 고위급 회담 회의록을 받아보라고 했다”고 말했다.이어 최 의원은 “제보자는 또 청와대와 국회 보고 내용이 따로 따로라고 알려줬다”며 “고위급 회담 회의록을 열람하게 해주고 청와대 보고와 국회 보고를 비교해달라”고 김종훈 한·미 FTA 한국 협상단 수석대표에게 주문했다.한편 내부 제보자 논란이 불거지면서 한·미 FTA 대외비 문건 유출도 국회가 아닌 정부 등 다른 곳에서 일어났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메디포뉴스 제휴사-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찬희 기자(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