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는 지난 9월 9일 ㈜코스코인터케어(대표이사 박성재)와 위·대장암 수술에 활용되는 ‘형광 수술 표지자’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립암센터가 보유한 첨단 연구성과를 국내 의료기기 전문기업에 이전하여, 의료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에 이전된 기술은 국립암센터 최용두 박사(융합진단치료기술연구과) 연구팀이 개발한 형광 수술 표지자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복강경 수술 중 종양의 위치와 경계를 형광 신호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술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절개를 줄여 수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복강경 수술은 절개 방식을 최소화해 환자의 통증과 합병증을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대장처럼 장기 내부에 자리 잡은 암은 외부에서 직접 관찰하거나 손으로 만져 확인하기 어려워 정확한 위치 파악이 쉽지 않다. 지금까지는 인디아 잉크나 인도시아닌그린(ICG) 형광염료를 주입하여 종양 주변을 표시했으나, 번짐 현상이나 빠른 흡수로 인해 명확하게 경계를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기술이전 된 형광 수술 표지자는 이러한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여 주입된 염료가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최소 70일 이상 강력한 형광 신호를 발현해 종양의 위치와 경계를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국립암센터는 동물실험을 통해 이 기술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했으며, 수술의 정확성 향상과 수술 시간을 단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국립암센터와 ㈜코스코인터케어는 지난 5년간 범부처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클립형 형광 수술 표지자의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고 다기관 임상시험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다. 또한, 겔 형태의 표지자는 미국식품의약국(FDA)에 인허가 신청을 마쳤으며 국내 임상시험을 추진 중이다. 이는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진출 가능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이번 위·대장암 수술에 활용되는 형광 수술 표지자 기술은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도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상용화된 사례가 없었다”며 “국내 연구진과 기업이 정부의 지원 아래 협력하여 세계 최초로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게 된 것은 매우 큰 성과”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