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중국 원정 장기이식수술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윤호중 의원(열린우리당)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국립의료원, 보건산업진흥원 국정감사에서 “장기 수급 불균형으로 중국 원정 이식수술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부작용 발생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대한이식학회의 2006년도 조사자료에 따르면 2001~2005년간 중국에서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는 총 927명(신장이식 433명, 간장 494명)이며 2004년 이식자 225명 가운데 76.9%에 해당하는 173명이 이식 후 부작용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윤호중 의원은 “스페인의 경우 100만명당 23명이라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장기기증률을 보이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100만명당 1.4명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윤 의원은 “스페인과 우리나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벤치마킹 해 장기기증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박재완 의원(한나라당)도 이날 “중국 원정수술 알선 카페 15개 활동 중이며 회원은 2024명에 달한다”며 “중국 원정 장기이식수술에 대한 종합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에 따르면 장기이식수술을 받으러 중국에 갔다가 브로커에게 사기를 당한 사례가 많으며 장기제공의 신원 및 건강상태가 불투명하고 의사소통의 어려움, 의료환경 차이 등으로 부작용에 시다리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박 의원은 “보건당국은 중국 원정 이식수술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환자들의 피해를 예방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상훈 기자(south4@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