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동아에스티 2024년 매출 7407억원 달성

ETC 부문 및 해외사업 부문이 견인


동아에스티가 2024년 매출이 2023년 대비 5.9% 증가한 6052억원이라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2023년 대비 0.8% 감소한 325억원에 그쳤는데, 이 실적들에 대해 회사측은 ETC 부문과 해외사업 부문이 성장하며 매출이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판관비 증가로 감소했다고 전했다.

제품별로 보면 ETC(전문의약품) 부문의 2024년 매출은 그로트로핀, 모티리톤 등이 성장과 신규 품목 타나민, 자큐보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해외사업 부문의 2024년 매출은 캔박카스 판매 증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로 전년 대비 8.3%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R&D 투자 및 마케팅 비용 증가로 0.8% 감소했다.

R&D 부문에서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가 2024년 10월 미국 FDA 품목허가를 획득해 2025년 5월 미국 발매를 앞두고 있다. 2024년 12월 유럽 EC 품목허가도 획득했으며 2025년 1월 독일 이뮬도사 발매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발매 예정이다.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를 통해 MASH(대사이상 지방간염)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 DA-1241 글로벌 임상 2상이 진행 중이며. 비만 치료제 DA-1726 글로벌 임상 1상 파트2도 진행되고 있다. 

DA-1241은 전임상에서 지방간 및 간 섬유화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Semaglutide(세마글루타이드)와 병용 시 간 섬유화 개선 시너지를 확인한 한편 24년 12월 발표된 글로벌 임상 2상 탑라인 데이터에서 ALT(간 손상 선별지표), CAP(지방간 지표), FAST(간섬유화 비침습적 평가지표), HbA1C(당화혈색소 지표) 등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기도 했다. 글로벌 임상 2상 최종 결과는 오는 2분기 발표 예정이다.  

DA-1726은 전임상 결과 Tirzepatide(티르제파타이드) 성분의 비만 치료제 대비 유사한 체중감소 효과 및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성분의 비만치료제 대비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했고, 글로벌 임상 1상 파트1에서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글로벌 임상 1상 파트2 결과는 25년 1분기 발표된다.

치매치료제 DA-7503은 국내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알츠하이머병 및 일차 타우병증의 주요 원인인 타우 응집과 과인산화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전임상에서 타우병증과 인지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면역항암제 DA-4505는 국내 임상 1상 진행 중이다. 글로벌제약사가 개발 중인 AhR 길항제와 전임상 비교시 더 뛰어난 종양 억제 효과를 확인했으며 DA-4505와 항 PD-1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 시 종양 억제 시너지 효과를 확인했다. 

ADC 전문 기업 앱티스 인수를 통한 차세대 모달리티 신약개발도 확대하고 있다. 앱티스는 위치 선택적으로 약물을 접합시킬 수 있는 3세대 ADC 링커 기술 앱클릭을 개발했다. 앱클릭 기반의 위암, 췌장암 타겟인 클라우딘(Claudin)18.2 ADC 후보물질 DA-3501(AT-211) 전임상 완료 후 임상 1상을 위한 독성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부문별로 보면 전문의약품은 2023년 4232억원에서 4.8% 증가한 4435억원을 달성했다. 

주요제품 중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이 949억원에서 25.3% 증가한 1189억원을, 기능성소화불량치료제 모티리톤이 318억원에서 13.0% 증가한 360억원, 당뇨병치료제 슈가논이 전년 대비 5.2% 감소한 252억원을, 위염치료제 스티렌이 전녀대비 13.4% 감소한 171억원을 달성했다.

또 손발톱무좀치료제 주블리아가 290억원에서 12.7% 감소한 253억원을, 요부척추관협착증치료제 오팔몬이 268억원에서 1.1% 감소한 265억원을, 소화성궤양치료제 가스터가 218억원에서 7.9% 감소한 201억원을, 고혈압치료제 이달비가 118억원에서 0.6% 감소한 117억원을 달성했다.

해외사업 부문은 전년 1394억원 대비 8.3% 증가한 1511억원을 달성했는데, 박카스가 710억원에서 17.7% 증가한 836억원, 빈혈약 다베포에틴알파BS가 2023년 206억원 대비 19.8% 감소한 165억원을,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이 44억원 대비 30.4% 증가한 58억원을, 결핵약 크로세린이 97억원에서 6.7% 감소한 91억원을 달성했고,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이뮬도사가 75억원을 기록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