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동아에스티, 3분기 매출 1984억원 달성…10.5% 증가

ETC 주요품목 및 신규품목 성장으로 분기 최대매출 달성


동아에스티가 2025년 3분기 매출은 ETC 부문의 주요품목과 신규품목의 성장으로 분기 최대 매출 달성, 영업이익은 기저효과로 전년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24년도 R&D 비용 상반기 조기 집행으로 인한 24년 3분기 기저효과로 전년동기 대비 15.4% 감소했는데, 작년 3분기 R&D 비용은 203억원, 올해 3분기 비용은 264억원으로 알려졌다. 

회사측에 따르면 동아에스티의 매출은 2024년 3분기 1795억원에서 10.5% 증가한 1984억원, 영업이익은 198억원에서 15.4% 감소한 168억원으로 나타났다.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그로트로핀, 모티리톤이 성장했으며 자큐보, 디페렐린 등 신규 품목 매출이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20.6% 증가했다. 해외사업 부문은 박카스 매출의 소폭 감소와 이뮬도사의 상반기 재고 영향에 따른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11.0% 감소했다.

R&D 부문에서는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를 통해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 DA-1241 글로벌 임상 2a상을 완료했다. 비만 치료제 DA-1726은 글로벌 임상 1a상을 진행 중이다.

DA-1241은 24년 12월 발표된 글로벌 임상 2a상 탑라인 데이터에서 ALT(간 손상 선별지표), CAP(지방간 지표), FAST(간섬유화 비침습적 평가지표), HbA1C(당화혈색소 지표) 등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했으며, 2025년 11월 미국간학회(AASLD) 임상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DA-1726은 글로벌 임상 1a상 파트1에서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 확인. 글로벌 임상 1a상 파트2에서 우수한 체중 감량 효과,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최대 내약 용량 탐색 추가 글로벌 임상 1a상 실시, 2025년 12월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며, 25년 11월 미국비만학회(Obestyweek) 임상 및 전임상 데이터가 발표될 예정이다.

치매치료제 DA-7503은 국내 임상 1a상이 진행 중이다. 알츠하이머병 및 일차 타우병증의 주요 원인인 타우 응집과 과인산화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전임상에서 타우병증과 인지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2025년 4분기 임상 1a상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면역항암제 DA-4505는 국내 임상 1a상을 진행 중이다. 글로벌제약사가 개발 중인 AhR 길항제와 전임상 비교시 더 뛰어난 종양 억제 효과를 확인했고, DA-4505와 항 PD-1 면역관문억제제 병용투여 시 종양 억제 시너지를 확인했다.

한편 전문의약품 부문은 전년 동기 1205억원 대비 20.6% 증가한 1453억원을 달성했다. 

그로트로핀(인성장호르몬제)는 338억원에서 6.6% 증가한 360억원, 모티리톤(기능성소화불량치료제)은 93억원에서 4.5% 증가한 97억원, 슈가논(당뇨병치료제)은 66억원에서 3.6% 감소한 64억원을 달성했다.

또 자큐보(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는 7억원에서 2014% 증가한 143억원, 디페렐린(전립선암/성조숙증치료제)은 80억원, 타나민(말초순환개선제)은 27억원에서 증가한 34억원을 기록했다.

해외사업 부문은 2024년 3분기 460억원에서 11% 감소한 409억원을 달성했다.

캔박카스는 222억원에서 1.3% 감소한 219억원, 이뮬도사(자가면역치료제)는 75억원에서 33.5% 감소한 50억원, 다베포에틴알파BS(빈혈치료제)는 43억원, 에보글립틴(당뇨병치료제)은 19억원에서 108.2% 증가한 40억원, 에코윈(친환경 생물농약) 2억원을 기록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