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구의사회 임익강 회장이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최대집 회장이 고군분투한다면서 회원들이 힘을 모아 줘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광진구의사회 정기총회가 27일 더 클래식 500 아젤리아홀에서 개최된 가운데 인사말을 한 임익강 회장이 이같이 말했다.

임 회장은 “최대집 회장이 삭발하면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하지만 회원 참여가 없으면 아무 의미 없다.”면서 “오늘 (광진구의사회) 총회인데 왜 하나? 회원들의 기본 권리를 주장하는 시간이다. 회장 임원들은 회원의 권익을 위해, 회장은 회무를 위임받아, 회장이나 임원들이 일한다. 잘하나 못하나 1년간 평가 감시해서 질타하고 지적하고 새로운 한 해를 어떻게 해주기 바란다고 얘기한다.”고 언급했다.
임 회장은 “법 앞에 졸고 있는 자는 권리를 보장받지 못한다.”면서 “회원들은 자기 발등의 불이나 자기 지갑이 얇아지면 민감하다. 그러나 평상시 의사단체의 조직, 의료 제도와 시스템을 갖추는 거는 굉장히 무관심하다. 굉장히 이기적이다. 굉장히 개인적 사고다.”라고 지적했다.
의협 중앙 대의원 카톡방에서 최대집 회장 파면 얘기가 나오는 것을 경계했다.
임 회장은 “중앙 대의원 단톡방에서 카톡 내용을 보면 최대집 회장 파면 얘기가 나온다."면서 "(하지만) 집행부를 비판하기보다는 어떻게 하면 한뜻으로 뭉칠 것인가? 오늘날 5천만 국민과 13만 의사를 위해 어떻게 하면 될 것인가를 고민하고, 브레인스토밍과 아이디어 제안은 없고, 서로 자기주장만 가득하다.”고 지적했다.
의협을 비판만 하지 말고 힘을 모아야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임 회장은 “그러면 회원으로서 의협을 비판만 하고 갈 건가?”라며 “어릴 때 읽은 동화책이 생각난다. 부모가 돌아가시면서 유언 교훈을 주는 얘기다. 나뭇가지 여러 개를 가져오라고 하고, 하나씩 끊어보라 해서 쉽게 끊었다. 그런데 나뭇가지를 모두 모아놓고는 아무도 못 끊었다.”고 언급했다.
“보건복지부 현지실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현지 조사로 개원의사 개개인이 통제를 받는다. 시스템을 갖추고 조직화 되면 (유리한) 법률을 만들 수 있는 거다. 의사회에 회원들이 더 참여하고 조직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지역에서도 어떤 회원은 폐업 근처까지 가는 현지 조사를 받아 억압받고 위축됐다. 현재 면허정지 상태인 회원도 있다. 내일 모래 면허정지 받는 회원도 있다. 모두 부당한 처분일 수도 있지만, 뭉치지 않고 힘이 없기 때문이라는 아쉬움이 있다.”고 했다.
중앙회인 의협을 중심으로 뭉칠 것을 거듭 강조했다.
임 회장은 “최대집 회장이 삭발하면서 저수가 등 왜곡된 의료를 바로 잡겠다는 의지를 회원에게 전달했다. (최 회장의 삭발은) ‘이제는 의협을 중심으로 뭉칠 때가 됐다.’는 것을 회원들에게 심어 주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