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스트레스 누적-악화” 메커니즘 규명

김경태 교수 “스트레스 극복방법 없어” 발표


외부 환경의 변화나 자극에 인체가 면역력을 갖거나 단련되는 것과는 달리 스트레스는 계속 누적돼 상태가 악화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규명돼 관심을 끌고있다.
 
포스텍(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김경태 교수팀은 “신체의 스트레스 호르몬(카테콜라민: Catechcholamine) 분비가 증가하는데 있어 반복적 자극에 의한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증가 현상인 ‘자극 의존성 분비 증가’(Activity-Dependent Potentiation: 이하 ADP 현상) 메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조절기관인 부신(Ardenal Gland) 조직의 크로마핀 세포(Chromaffin Cells)를 통해 혈액 내에 스트레스 호르몬인 카테콜라민(아드레날린, 도파민 등)이 분비돼 신체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매커니즘’은 반복 작용을 할 경우 해당 호르몬 분비가 일정하거나 낮아지는 신체의 다른 작용과는 달리 오히려 증가하게 되는 ADP 현상이 발생, 학계에서는 풀리지 않는 난제로 남아 있었다.
 
 
김 교수팀은 내분비 세포내 소포(小胞: Vesicle)의 양이 반복적인 자극을 받으면 꾸준히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
 
또한 내분비 세포가 외부 자극을 받으면 세포 내 칼슘이 세포 신호전달 단백질인 ‘MAPK’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되면서 세포 구조를 이루는 액틴필라멘트(Actin Filament)의 조직 변화를 유도해 ADP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을 명확히 밝혀냈다.
 
이번 김 교수팀의 발표로 스트레스는 면역이 생기거나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강도가 심해지면 심해질수록 그대로 누적되기 때문에 건강을 위해서는 무조건 피해야 한다는 것이 입증됐다.
 
한편 김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미국에서 발행되는 세계적 의학전문지인 ‘엔도크리놀로지(Endocrinology)’ 3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김도환 기자(dhkim@medifonews.com)
2006-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