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질병본부, 2014년 감염병 감시연보 발간

한해 신고된 법정감염병 발생현황 분석·정리

2014년도 감염병 감시연보가 발간됐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는 지난 한 해 동안 국가 감염병 감시 시스템(National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System, NIDSS)을 통해 신고된 법정감염병 발생현황을 분석․정리해 ‘2014년도 감염병 감시연보’를 발간했다.

이 연보에는, ‘감염병예방및관리에관한법률’에 명시된 78종의 법정감염병 발생 통계 자료가 수록되어 있으며, 지난해는 54종의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중 36종에서 감염병 발생이 보고되었다.

2014년에는 여행객에 의한 해외유입 감염병이 다소 감소된 반면, 지역에서의 소규모 감염병 유행과 국내유입 바이러스에 의한 2차 전파 및 확산으로 감염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티푸스와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지역적 유행, 유입바이러스에 의한 국내 2차전파 및 확산으로 홍역의 유행, 감수성자에 의한 유행성이하선염과 수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감염병 군별 발생현황을 보면, 제1군감염병은 지역사회 내에서의 소규모 유행이 보고됐다.

장티푸스는 2013년 156건에 비해 251건으로 다소 증가했고, 특히 경남지역의 발생이 크게 증가했으며 전 연령층에서 발생한 것이 특징이다.

세균성이질은 2013년 중국산 수입식품과 관련이 있는 유행으로 발생이 증가했던 반면 올해는 다소 감소했고, 전체 35%가 해외유입사례다. (’13년 294건 → ‘14년 110건)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대구 지역 유치원에서의 유행으로 발생이 증가했고 (‘13년 61건 → ’14년 111건), 10세 미만 연령이 전체 발생의 60% 차지했다.

제2군감염병은 해외유입사례에 의한 국내 2차전파, 감수성자에 의한 청소년 및 성인연령층의 발생과 신고율의 꾸준한 향상으로 전년에 비해 증가했다.

홍역은 해외유입사례에 의한 국내 2차전파로 면역력이 없는 소아, 집단생활 청소년, 대학생까지 확산됐다. (‘13년 107건 → ’14년 442건)

유행성이하선염은 중․고등학교에서의 유행이 지속되고 있고 (‘13년 17,024건 → ’14년 25,286건), 10대 연령이 전체 발생의 62% 차치했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 빨간집 모기 밀도가 증가하는 8월말~9월에 대부분 발생(85%)이 보고되었고 40세 이상 연령이 전체 발생의 88% 차지했다. (‘13년 14건 → ’14년 26건)

제3군감염병 중 말라리아는 2012년 이후 퇴치단계수준으로 감소되어 유지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관련된 감염병들은 매해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말라리아는 2007년 이후로 꾸준히 감소추세이나 ‘14년에는 국외유입사례와 국내 민간인 발생이 전년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13년 445건 → ‘14년 638건)

성홍열은 역학적 특성과 검사현황을 반영한 진단・신고기준이 확대됨에 따른 신고건은 지속 증가추세다. (‘13년 3,678건 → ’14년 5,809건)

쯔쯔가무시증은 질병매개체 밀도와 활성도의 영향이 큰 감염병으로, 감시이후 2013년에 점정을 보였으나 ’14년 감소했다. (’94년 238건 → ‘13년 10,365년 → ‘14년 8,130건)

제4군감염병 중 해외유입에 의한 뎅기열이 가장 많으며, 진드기에 의한 라임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도 지속 발생하고 있다.

뎅기열은 모두 해외유입에 의한 발생으로 주로 동남아시아(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여행객에 의해 발생했다. (’13년 252건 → ‘14년 165건)

국외유입사례인 유비저, 치쿤구니야열은 여행객인 내국인에서 각각 2명과 1명씩 신고됐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중국에서 지난 2011년 원인 바이러스가 처음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는 2013년 5월 첫 사례를 확인한 이후 2013년 총 36건(17건 사망), ’14년 총 55건(16건 사망)이 보고됐다.

해외유입 감염병은 지속 증가추세로 2009년까지 200명 내외로 신고되다가 2010년 이후 약 350명이 신고되고 있으며, 2014년에는 400건이 신고됐다.

2014년에 신고된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은 “뎅기열(41%), 말라리아(20%), 세균성이질(10%), 장티푸스(6%), A형간염(5%), 홍역(5%) 등” 순이었다.

주요 유입 국가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인도, 중국, 캄보디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의 아시아 지역(전체 81%)과 ”가나, 적도기니 등’의 아프리카 지역(17%)이 많았다.

질병관리본부는 감염병 감시연보를 보건정책의 기초자료, 학술연구 등 다양한 목적의 자료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책자 및 전자파일 형태로 제작해 관련 보건기관, 의과대학 도서관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

질병관리본부 양병국 본부장은 국가 감염병 감시사업에 참여한 의료기관 및 단체에 감사를 표시하며, 감염병 관리와 감시를 위해 앞으로도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신고와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이 연보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다운로드 위치: (http://www.cdc.go.kr) ☞ 감염병관리 ☞ 감염병감시 ☞ 감염병감시연보]에서 열람 가능하며 감염병웹통계시스템(http://is.cdc.go.kr/dstat)에서도 신고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