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이 최근 24세의 폐동맥 판막 역류가 있는 팔로사징 환자에게 3D 프린팅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모델과 체외 모의 순환 장치를 통해 경피적 폐동맥 판막 삽입술 최적화에 성공했다. 이 치료법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우심실 유출로(우심실에서 폐로 가는 혈관인 폐동맥 입구)에서 최적의 경피적 폐동맥 스텐트 판막의 크기 및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도와줘 경피적 폐동맥 판막 삽입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피적 폐동맥 판막 삽입술은 가슴 절개를 하지 않고 대퇴정맥을 통해 인공 폐동맥 판막을 넣어 폐동맥 협착이나 역류를 개선하는 최소 침습 치료법이다.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구성돼, 각 부분 사이에 혈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돕는 4개의 판막(대동맥 판막, 폐동맥 판막, 삼첨 판막, 승모 판막)이 있다. 이중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있는 ‘폐동맥 판막’은 우심실이 폐로 혈액을 뿜어낸 이후 뿜어낸 혈액이 우심실로 돌아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판막이 열리고 닫히는데 이상이 생기는 게 폐동맥 판막 질환이다. 팔로사징(Tetralogy of Fallot)과 같이 선천적 우심실 유출로 기형이 발생해 폐동맥
인하대병원 신경외과 김경민 교수가 최근 ‘효산 학술상’을 수상했다. 효산 학술상은 대한신경외과학회가 선정하는 최우수 학술상에 해당한다. 이번 김 교수의 수상은 대한신경외과학회 제17차 서울·경인·강원·제주지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이룬 성과다. 김 교수는 ‘뇌종양 수술 전 계획 수립 단계에서 3D 프린팅 모델의 임상적 유용성과 종양 절제 범위의 변화 및 유발 요소를 분석한 연구’를 발표했다. 그동안 뇌종양 수술에는 2차원 영상 기반의 MRI 사진을 활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보편적으로 활용돼 왔다. 그런데 MRI 영상은 직관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어 평면의 뇌 MRI 사진을 여러 장 본 뒤, 이를 합쳐서 3차원의 모양을 머리 속으로 상상하고 그려야 했다. 이러한 과정에는 수술하는 의사마다 상당한 연습이 필요하며 개인 차이도 존재한다. 하지만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면 수술 전부터 환자의 뇌와 종양을 실제와 유사한 3차원적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직관적으로 종양의 위치와 주변의 중요 뇌 구조물을 인지한 상태에서 안전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김 교수는 “연구를 통해 뇌종양 수술 영역에서 3D 프린팅 모델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기술적,
혁신의료기술을 통한 발전을 도모하는 충북 지역 기관들의 기대와 역량이 엿보였다. 베스티안재단은 제17회 의료기기 혁신 세미나 ‘충주방문세미나’를 10월 11일, 충주시청 남한강 회의실과 줌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했다. 의료기기 혁신 세미나는 충북지역 의료기기산업 발전을 위해 교육부 지역혁신사업(RIS) 재원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제17회 세미나는 충주시와 충북바이오헬스산업혁신센터, 정밀의료·의료기기 사업단(교통대) 공동 주최로 이뤄졌다. 고려대학교 강태건 교수가 좌장을 맡고, 충주 소재의 의료, 산업, 연구기관을 대표해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고순영 병원장, 한국교통대학교 3D프린팅센터 박성준 교수,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정재욱 단장이 발표를 진행했다.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고순영 병원장(소화기내과 전문의)은 ‘의료 혁신 기술에 대한 이해’ 발표에서 “의료 혁신 기술은 환자 치료 및 생존율 향상, 업무 효율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개인적으로 혁신적인 의료기기 도입을 위한 절차에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고 병원장은 핵심적인 의료 혁신 기술로 전자건강기록, 원격의료, 첨단의료영상, 헬스케어 AI, 3D 프린팅, 로봇, 웨어러블 장치 및 원격 모니터링, 사물
건국대병원 안과 신현진 교수팀이 안와골절 수술에서 기존에 육안으로 임플란트를 재단하는 방식을 벗어나 3D 프린팅 기반의 안와골절 임플란트 가이드를 이용한 수술법이 안와용적 회복에 유의미한 유용성을 보였다고 밝혔다. 안와골절(Blow out fracture)은 안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인 안와(orbit) 주변 뼈에 생기는 골절이다. 특히 안와의 안쪽과 아래쪽은 뼈가 얇에 골절에 취약하다. 안와에 골절이 발생하면 안와의 용적이 증가하면서 안구가 함몰되고, 심한 경우 골절된 뼈 사이로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 끼이면서 물체가 둘로 보이는 복시가 발생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는 안와 내 조직을 본래 위치로 복원시키면서 골절 부위에 인공보형물(임플란트)를 넣어 재건한다(안와골절 정복술). 문제는 안와가 직선보다는 곡선과 굴곡진 형태를 띄고 있어, 환부의 형태와 딱 맞게 재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임플란트가 환부에 잘 맞지 않을 경우, 수술 후에도 안구 함몰이 남을 수 있고,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 임플란트에 눌리면서 오히려 복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신현진 교수는 애니메디솔루션(대표 김국배)를 통해 제공받은 3D 프린팅 기반의 안와골절 임
두경부 재건 전문의들이 3D 프린팅 수술 모델을 활용한 환자 맞춤형 하악재건술에 관해 노하우를 공유하고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난 3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2023년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춘계학술대회가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많은 회원이 역할을 가지고 참석할 수 있도록 기초와 임상 분야를 나눠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획됐으며, 특히 참가자가 직접 하악재건술 3D 수술 시뮬레이션을 체험할 수 있는 ‘재건위원회 핸즈온 워크샵(Hands-On of 3D Printing-Guided Mandible Reconstruction with Fibula)’은 일찍이 사전등록이 마감될 정도로 참가자들의 높은 기대를 느낄 수 있었다. 하악재건술 핸즈온은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 솔루션 소개(시안솔루션 서안나 대표) △환자 맞춤형 하악재건술 가이던스 임상 사례 소개(강북삼성병원 백정환 교수) △3D 버추얼 플래닝(시안솔루션 정영진 소장) △3D 프린팅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수술(백정환 교수, 삼성서울병원 정만기 교수, 최나연 교수) 순으로 진행됐다. 시안솔루션이 개발한 맞춤형 의료기기 설계 소프트웨어인 리컨이지 올쏘(Reconeasy Ortho)로 직접 하악재건술을 위한 맞춤
건국대병원 안과 신현진 교수팀이 환자 맞춤형 수술 3D 프린팅 전문기업 애니메디솔루션(대표 김국배)와 마이크로-CT(Computed Tomography)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사근 활차(trochlea of superior oblique muscle)의 표준 모델을 구현, 3D 프린팅으로 활차 임플란트 시제품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SCI급 국제 학술지인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의 2023년 3월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마이크로-CT 이미지 기반의 상사근 활차의 3D 프린팅 및 향후 응용(3D printing from micro-CT images of the trochlea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and its future applications)이다. 앞서 신현진 교수는 이번 연구의 기초가 되었던 외안근 구조에 대한 기초 연구로 2018년 미국안과학회서 베스트 포스터를 수상했으며, 이번 연구로는 2022년 대한안과학회 제128회 학술대회서 학술상을 받은 바 있다. 눈은 외안근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움직인다. 외안근 중 상사근
전남대학교병원 융합의료기기 산업지원센터(센터장 윤택림)와 대전보건대학교(총장 이병기)가 최근 3D프린팅 기술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3D프린팅 산업 활성화를 위한 이번 협약식에는 윤택림 센터장과 대전보건대학교 이병기 총장, 이정화 부총장, 이인학 기획조정실장, 이중원 HRD사업단장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식에서 대전보건대학교는 융합의료기기 산업지원센터에 구축돼 있는 30여 종의 장비를 견학하고, 맞춤형 3D프린팅 시제품 제작 지원 및 장비 활용, 학생들에 대한 현장실습 등 양 기관 간의 업무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윤택림 센터장은 “앞으로 대전보건대학교의 3D모델링 교육 등 의료 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병기 총장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양 기관이 지속적으로 물·인적 자원과 정보를 교류, 서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융합의료기기 산업지원센터는 지난 2017년 산업통상자원부 ‘차세대 정형외과용 생체이식 융합의료기기 산업지원센터 구축’ 사업으로 선정돼 산업통상자원부와 광주시의 지원을 받아 광주 지역 내 정형외과 관련 기업 육성을 목표로 센터, 장비 구축 등 인프라를 구축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