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런(대표 신동훈)이 이달 10일부터 15일까지 하와이에서 진행되는 국제자기공명의학회(ISMRM) 2025에 참가하고 연구 초록 4편을 발표한다. ISMRM는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국제 MRI 학회로, 매년 다양한 국적의 의료진 및 연구자 수백 명이 모여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다. 휴런은 지난해 ISMRM 챌린지에 참가해 국내 최초로 finalist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휴런은 이번 ISMRM 2025에서 MRI를 통한 파킨슨병 관련 연구를 총 4편 발표한다. △파킨슨병 진단 평가를 위한 뉴로멜라닌과 나이그로좀 자동분석 △파킨슨병 진단 도구에서 딥러닝 기반 정합법의 활용 △NM-MRI 및 SMwI 영상의 템플릿 구축 파이프라인 개발 △복합 스윈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향상된 SMWI 재구성 가속 연구 등이다. 휴런은 이번 연구 발표 및 ISMRM 참가 등의 성과를 통해 MRI 기반의 파킨슨병 진단을 위한 국제 협력 연구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싱가포르와 대만을 시작으로 파킨슨병 솔루션의 해외 수출 국가를 늘려, 가시적인 사업 성과를 올리도록 전사의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신동훈 휴런 대표는
㈜휴런(대표 신동훈)의 혈관 조영 CT 기반 응급 뇌 대혈관 폐색 분석 솔루션 휴런CTA(Heuron CTA)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등급 의료기기 허가를 획득했다. 휴런CTA는 혈관 조영 CT(CT Angiography) 영상을 기반으로 응급 뇌 대혈관 폐색 발생 여부를 분석하고 분류하는 AI 솔루션이다. 뇌 대혈관 폐색은 빠른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초응급 질환으로, 얼마나 빠르게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크게 달라진다.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과 환자 선별, 빠른 치료 가능 여부와 범위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휴런CTA는 육안으로 파악하기 힘든 좌우 반구의 혈관 밀도(Vessel Density)를 비교하고 시각화해, 의료진이 폐색 여부와 정도를 보다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2D 및 3D 형태의 뇌혈관 지도를 구현해 제공함으로써, 빠르고 정밀한 치료 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진단 효율성과 정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MRI보다 접근성이 뛰어난 혈관 조영 CT만으로 분석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작은 규모의 지역 응급실부터 실제 뇌졸중 시술·수술
㈜휴런(대표 신동훈)이 지난 17일부터 18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에서 열린 2025 대한응급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했다. 휴런은 이날 부스 전시를 통해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Heuron StroCare Suite™)와 휴런CTP·CTA(HeuronCTP·HeuronCTA)등을 선보였다.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는 비조영 CT만으로도 3분 이내에 뇌출혈 또는 응급 뇌 대혈관 폐색을 선별하고 ASPECTS 점수를 자동 산출하는 AI 솔루션으로, 지난해 보건복지부로부터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된 뒤, 6월부터 전국 의료기관 응급실과 응급의료센터 등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이날 부스 전시를 통해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를 접한 응급의학과 전문의 및 의료진 등은 “시간이 생명인 응급실에서, 비조영 CT만으로 뇌졸중을 빠르게 가려내고 진단에 도움을 준다는 점은 매우 큰 무기”라며 “의료기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관심을 표했다. 신동훈 대표는 “우리나라 응급의료의 최전선에서 애쓰는 의료진들에게 직접 휴런의 솔루션을 소개할 수 있어 의미 깊은 시간이었다”며,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가 응급의학과 의료진의 부담을 줄이
㈜휴런(대표 신동훈)이 최고사업책임자(CBO, Chief Business Officer)에 문영선 이사를 선임했다. 문영선 이사는 지난 2023년부터 휴런의 제품 및 임상 마케팅팀(Product & Clinical Marketing) 이사로 재직하며 휴런 솔루션의 임상적 가치를 높이고 잠재 고객을 발굴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또 의료 AI 기술의 시장 확장과 제품의 임상적 신뢰도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기획하고 실행하며 회사의 성장에 앞장섰다. 문영선 이사는 을지대학교 의료공학과를 졸업한 뒤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지멘스 헬시니어스에서 엑스레이 및 자기공명 영상 Application Specialist로 9년간 근무했다. 이후 의료AI 기업 루닛으로 자리를 옮겨 임상 마케팅을 총괄하면서 의료 AI 솔루션의 임상적 유효성과 시장 가치를 강화하는 데 주력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 산업 전반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갖추고 있으며, 특히 의료 AI 기술의 임상 적용과 사업 전략 수립에 탁월한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휴런은 문영선 이사의 오랜 진단 영상 의학 장비 실무 경험과 높은 영상의학 및 의료 AI 사업 이해도를 바탕으로
㈜휴런(대표 신동훈)이 싱가포르 종합병원의 파킨슨병 권위자 찬링링(Chan Ling Ling) 교수를 의학 자문위원(Clinical Advisor)으로 영입했다. 찬링링 교수는 신경두경부영상의학의 세계적 석학으로 특히 파킨슨병 연구에 있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싱가포르 종합병원 선임 컨설턴트 겸 임상과학자 ▲듀크-NUS 의과대학 교수 ▲싱헬스(SingHealth) 듀크-NUS 학술 의료센터 연구 부위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찬링링 교수는 그간 200편 이상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으며 연구자의 학문적 성과와 영향력을 나타내는 H지수(H-index)가 37에 달하는 등 학술계에서 탁월한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는 연구자 겸 의사다. 찬링링 교수는 자문위원으로 합류하기 전부터 휴런의 파킨슨병 솔루션 휴런IPD(Heuron IPD)와 휴런NI(Heuron NI)를 직접 사용하고 경험하며 그 가치를 인정해왔다. 또한 그간 휴런의 솔루션을 활용한 연구를 다수 진행하며 휴런의 연구개발을 돕고 솔루션의 임상적 가능성을 지원해왔다. 지난 13일에는 조선팰리스에서 진행된 휴런의 ‘파킨슨 리더스 포럼’에서는 연자로 참여해 국내 신경과 및 영상의학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싱
㈜휴런(대표 신동훈)이 파킨슨병 솔루션인 휴런NI(Heuron NI)로 올해 세 번째 대만 TFDA 인허가를 획득했다. 이로써 휴런이 보유한 대만 인허가는 총 4개에 달한다. 휴런NI는 파킨슨병 병소를 가시화하는 AI 솔루션으로 MRI만으로 나이그로좀 영역의 부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한다. 또한 흑질과 나이그로좀 영역에 대한 가시성을 최대로 끌어올려 의료진의 쉬운 판독을 지원하는 솔루션이다. 나이그로좀 영역은 부피가 감소한 경우 도파민 신경세포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높아 파킨슨병 조기 발견과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지표로 사용된다. 휴런은 기존 총판 계약을 마친 대만의 대형 의료기기 유통사 Chilli Enterprise 및 Progressive Group, Inc.(PGI)와 협업해 빠르게 대만 전역에 휴런NI 솔루션을 공급하고 매출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휴런은 이번 휴런NI의 대만 인허가 획득에 앞서 지난해 8월부터 올해까지 또다른 휴런의 파킨슨병 솔루션인 휴런IPD(HeuronIPD), 알츠하이며병 솔루션인 휴런AD(HeuronAD), 응급 뇌졸중 선별 솔루션인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Heuron StroCare Suite™)의 인허가를
㈜휴런(대표 신동훈)과 지멘스 헬시니어스가 오는 13일 조선팰리스 로얄챔버홀에서 ‘파킨슨 리더스 포럼(Parkinson Leaders Forum) - 파킨슨병 진단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파킨슨병 진단과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휴런IPD(Heuron IPD)와 휴런 NI(Heuron NI) 등 휴런의 파킨슨병 진단 보조 솔루션을 활용한 임상 경험과 연구 결과 등을 공유하기 위해 개최된다. 휴런 신동훈 대표(신경과 전문의)와 이아름 의학부문 상무이사(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좌장을 맡고,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김응엽 교수,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서종현 교수, 싱가포르 종합병원(Singapore General Hospital) 링링 찬(LingLing Chan) 교수, 암스테르담 대학병원(Amsterdam University Medical Center) 일론 월러트(Elon Wallert) 교수 등 국내외 파킨슨병 선두자들이 연자로 나선다. 신동훈 대표는 “파킨슨병은 치료제가 따로 없는 만큼 AI 솔루션을 활용한 보다 빠른 조기 진단이 환자 예후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이번 포럼이 임상 현장에서 활발히 활
㈜휴런(대표 신동훈)이 최근 일본 도쿄에서 원격 영상 진단 기업 닥터넷(Doctor Net Inc.)과 총판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식에는 휴런의 박찬익 부사장 겸 CBO와 닥터넷 Hasegawa Masako 대표 등이 참석했다. 닥터넷은 일본 최대 규모의 원격 영상 진단 기업으로, 의료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해 원격 진단 영상 분석 서비스와 클라우드 기반 의료데이터 시스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휴런은 비조영 CT 기반 응급 뇌졸중 선별 솔루션인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Heuron StroCare Suite™)를 일본 전국 병원 및 의료기관 등에 유통·판매하게 됐다. 또한 양사는 올해 내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가 일본 내 인허가를 획득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휴런 스트로케어 스위트는 지난해 4월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 결과’ 고시를 통해 같은 해 6월부터 국내 응급의료센터 등에서 활용되며 수요가 바르게 증가하고 있다. 임상 현장에서 대 뇌혈관 폐색 환자 진단 보조 및 선별에 탁월한 성능과 효과를 보인다는 국내 평을 발판 삼아 일본 진출을 이뤄낸 것. 신동훈 휴런 대표는 “이번 닥터넷과의 협약은
㈜휴런(대표 신동훈)이 최근 파킨슨병 솔루션 휴런IPD(Heuron IPD)로 싱가포르 인허가를 획득했다. 휴런IPD는 MRI를 기반으로 파킨슨병을 진단 보조하는 AI 솔루션이다. 기존 핵의학 검사가 필요했던 진단 방식을 보완해 경제성과 접근성이 좋고 방사선 노출 부담이 적은 3.0T MRI만으로 나이그로좀 영역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파킨슨병이 진행되면 도파민 신경세포가 손상을 입는데, 이때 나이그로좀 영역에 소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나이그로좀 영역의 변화는 파킨슨병 진단을 위한 주요 바이오마커로 활용된다. 휴런IPD는 싱가포르 보건과학청(Health Sciences Authority, HSA)로부터 Class B 등급을 획득했으며 이에 따라 올해 싱가포르 전국 병원 및 검진센터 등에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휴런은 싱가포르 내 저명한 파킨슨병 연구자 및 유수의 의료기관·연구소 등과 협력해 임상 근거 확보를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지난 해에는 파킨슨병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싱가포르 종합병원(Singapore General Hospital)의 링링 찬(LING LING CHAN) 교수 연구팀 주도록
㈜휴런(대표 신동훈)이 지난 8일 부산에서 열린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NIS 2025)에 참가했다. 휴런은 이날 부스 전시를 통해 응급 뇌졸중 선별을 위한 비조영 CT 기반 AI 솔루션인 ‘휴런스트로케어스위트(Heuron StroCare Suite™)를 선보였다. 지난해 보건복지부로부터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된 휴런스트로케어스위트는 실제 전국 병원에서 뇌졸중 의심 환자의 신속한 선별과 진단 보조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솔루션이다. 또한 이날 휴런 박찬익 부사장 겸 CBO는 ’선별 AI 솔루션을 통한 허혈성 뇌졸중 치료 시작 시간 단축 노력(Effort for Reducing Ischemic Stroke Treatment Initiation using Triage AI Solution)‘ 발표를 진행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휴런은 휴런스트로케어스위트가 허혈성 뇌졸중, 즉 뇌경색 의심 환자를 분류하는 것에 도움을 줘 실제 치료 시작 시간을 단축하고 환자 예후를 향상시킨다는 점을 의료진 및 관계자들에게 알렸다. 또한 향후 치료 대상 환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연구 개발과 임상 근거 확보 노력에 동참을 요청했다. 신동훈 휴런 대표는 “이번 학회 참가를 통해 휴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