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학술 포털 ‘키메디’가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인 ‘국경없는의사회’에 후원금을 전달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후원은 키메디가 지난달 실시한 공익 캠페인의 결과로 이뤄졌다. 키메디는 지난 7월 의사 회원 가입자 수 3만 명 달성을 기념해 회원들의 성원에 보답하는 의미로 국경없는의사회에 후원금을 전달하는 공익 캠페인을 진행했다. 의사 회원이 키메디 홈페이지에 접속해 3만 회원 돌파 축하 메시지를 남기면, 키메디가 참여 메시지 수에 따라 일정 금액을 기부하는 방식이다. 국경없는의사회는 무력 분쟁, 전염병, 자연재해 등으로 생존의 위협에 처한 사람들을 위해 긴급구호 활동을 펼치는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로, 키메디는 코로나19 이후 질병과 재해로 더욱 고통받는 이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전하고자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약 보름간 진행된 이번 캠페인에는 630명의 키메디 의사 회원이 참여했다. 캠페인에 참여한 한 회원은 키메디에 “의사 회원 3만 명 돌파를 축하한다”며 “코로나19로 급변하는 시기에 의료 콘텐츠 활성화에 일익을 담당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키메디는 국경없는의사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키메디는 지난 2년 전부터 국경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안영근)이 군부의 폭압에 항거하는 미얀마 국민과 의료인들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며 후원에 적극 나섰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야전병원을 방불케 했던 전남대병원은 군사 쿠데타 발생 후 민주화 열망을 불태우고 있는 미얀마 국민들과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이 되고 있는 의료진을 응원하고자 전 직원의 뜻을 모았다. 전남대병원 본원을 비롯해 화순전남대병원, 빛고을전남대병원, 전남대치과병원 직원 1340명의 정성을 모은 총 3560여만원의 성금을 마련했으며, 26일 미얀마광주연대인 (재)5·18기념재단에 전달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성금은 시민불복종운동인 CDM 파업에 참여해 180여명이 기소되고 치료할 권리를 보장해달라고 군부에 촉구하는 미얀마 의료인들의 용기 있는 행동과 부상자 치료과정서 겪은 심리적 고통을 공감하며 마련됐기에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전남대병원은 당시 군부의 무자비한 진압에 따른 수많은 부상자들을 밤새도록 치료하면서 희생을 최소화했다. 당시 계엄군의 발포 이후 병원은 사상자로 가득했으며, 초응급 수술은 밤낮없이 진행됐고 계엄군의 병원을 향한 사격도 있어 사실상 전남대병원은 야전병원과 다를 바 없었다. 하지만 단 한 생명이라도 더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