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반 넘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다 보니 지역별 전담병원으로 코로나19 확진환자를 이송하거나 선별진료소 업무를 보는 등 방역 최전선에 있는 공무원들과정신건강의학과내원 환자들의 정신건강 관리에 ‘적색등’이 켜졌다. 충북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주가원·이정환 교수 연구팀(울산의대 안명희·이주희·정석훈, 충청북도정신건강센터 김은정, 성신여대 서수연)은 선별진료소에 근무하거나 지역별 코로나19전담병원으로 확진환자를 이송하는 등의 코로나19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들 9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코로나19 감염이 이들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며 소진과 스트레스, 이른바 ‘코로나 블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을 제안했다. 설문조사 결과, 여성과 연차가 낮은 공무원에게서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안에 더 취약했다. 이는 감염에 대한 우려가 더 많고, 경미한 신체증상을 더 민감하게 받아들임에 따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기혼 공무원은 미혼보다 높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보였는데, 이는 자신의 보호뿐만 아니라 자녀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의 안전까지 신경 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해 연구팀은 공무원의 심리적 회복탄력성이 중요
바이오헬스 분야의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제언이 제시됐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의 경험을 토대로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새로운 감염병 등으로 인한 충격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과제가 도출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바이오헬스 산업의 회복탄력성 강화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재난정책 등에서 활용되는 회복탄력성(Resilience) 개념을 활용, 코로나19 등 사회·경제적 충격에 대비한 지속가능한 회복 역량(Resilience)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 아젠더를 도출하고, 세부 추진 방안을 제시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은 여러 가지 숙제를 남기고 있다. 신종 감염병으로 인한 판데믹 상황에서 의료기관과 의료인력 운용이 한계점에 직면하기도 했고, 장기간 대응해 온 의료 종사자의 감염 및 병원 폐쇄, 의료진의 번-아웃(Burn-out) 등 의료 인력에 대한 보호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에 따른 의료자원의 감염병 집중으로 인해 응급상황이나 시급한 치료에 대해 진료가 지연되기도 했고, 의료기관의 방문이 제한되면서 환자모집, 모니터링 등의 임상연구에 차질이 발생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