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병원과 서울대병원 발달장애인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연합이 오는 17일 오후 1시 코엑스 콘퍼런스룸 308호에서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국제 PACT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인하대병원 이정섭 센터장(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 전체 심포지엄의 좌장을 맡고, PACT 치료의 권위자인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캐서린 알드레드 박사가 직접 참석해 강연을 하며 이후 순서에서는 국내에서 PACT의 활용법에 대해 논한다. 심포지엄의 주제인 PACT(팩트, Pediatric Autism Communication Therapy)는 자폐아동의 비대면 의사소통 치료법을 말한다. 맨체스터대학교가 2~11세 자폐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개발했다. 자폐아 치료를 의료진 또는 치료자 중심에서 부모 중심으로 전환시키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자폐아동의 부모가 치료에 직접 참여해 그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 전문 인증교육을 이수한 치료진과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 6단계 매뉴얼에 따라 아동이 친숙한 보호자와 일상생활 속에서 상호작용하면서 의사소통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존의 ABA(행동분석치료) 등의 치료법들은 일주일에 1~2시간가량 치료자가 제공하는 제
세브란스병원이 발달장애인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를 본격 운영한다. 세브란스병원은 최근 보건복지부로부터 2023년 발달장애인 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로 지정되면서, 13일 세브란스병원 우리라운지에서 개소식을 진행했다. 발달장애인 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는 발달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진료과목 간 협진체계를 구축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자해, 공격 등 행동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의료기관이다. 보건복지부는 일상생활에 곤란을 겪고 있는 발달장애인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고자 발달장애인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사업을 운영해 왔다. 본 사업은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발달장애인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의료접근성 강화, 행동문제 치료 등을 통해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내 안정적 정착을 목표로 한다. 세브란스병원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포함한 발달장애에 대한 풍부한 진료 경험과 우수한 전문가 인력, 소아전문병원인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운영을 통한 통합적인 의료서비스 제공 능력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올해 단독 지정됐다. 세브란스병원 소아정신과는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전문 인력을 필두로 매년 소아정신과 전문의를 교육해 배출하고 있으며, 임상심리전문
충북대학교병원(병원장 최영석)은 지난 17일 행동발달증진센터(센터장 손정우)가 ‘대한무역진흥공사(코트라, KOTRA)’의 후원을 받은 소셜벤처 ‘돌봄드림’으로부터 기부물품을 증정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기부물품 전달식의 후원 자금은 발달장애인의 치료를 후원하기 위해 지난해 말 코트라 임직원들의 기부로 조성되었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통합 솔루션 개발사인 돌봄드림은 이번 후원을 통해 충북대학교병원 발달장애인 행동발달증진센터에 돌봄조끼 HUGgy(아이에게 안아주는 느낌을 줄 수 있는 공기주입조끼)를 8벌 기부했다. 손정우 센터장은 “발달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및 관련 연구 등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센터에서도 여러가지 치료기술과 보조기기 도입에 관심을 가지던 중 돌봄드림을 알게 되어 기쁘고 앞으로 유의미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싶다”고 밝혔다. 돌봄드림의 김지훈 대표는 “돌봄드림 입장에서도 많은 발달장애인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임상 실험을 포함해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공동 연구 및 물적인적 자원 지원을 약속드리겠다”라고 말했다. 돌봄드림은 기부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국내 다수의 발달 장애 관련 기관에 기부물품을 전달하는 등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