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찾아간 대한종양내과학회 항암치료의 날 기자간담회에서, ‘현명한 암 환자를 위한 6가지 수칙’이 공개됐다. 수칙 중에는 ‘마음 건강도 살피세요’, ‘부작용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이야기하세요’가 포함돼 있었다. 앞서 “1년간 소셜 미디어에 있는 암 관련 단어의 언급량을 분석한 결과, 암 환자들이 신체·질병적 어려움(52%)만큼이나 많은 정서적 어려움(42%)을 겪고 있지만, 환자 관리 측면에 있어서는 생활 습관(74%)에 비해 내적 관리(9%)에 대한 언급이 적었고 이로 추론했을 때 환자들이 정서적 측면에서 필요한 도움을 받고 있지 못하다”는 발표 뒤에 나온 내용이었다. 이를 위해 학회는 다학제 진료에 있어 정신의학과 진료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안하기도 했지만, 현실적으로 항암 치료와 함께 정신의학과 진료를 병행하기도 쉽지 않고, 수가 문제 등으로 적용은 막막한 부분이 있다고도 말했다. 알다시피 암 뿐만 아니라, 모든 질병은 신체적 어려움과 동시에 크고 작은 정서적인 어려움을 동반한다. 반대로 정서적인 어려움이 신체적인 질병으로 이어지기도 하고, 정신 질환은 우리나라의 주요 질환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가 어느새
대한종양내과학회(이사장 안중배)와 대한항암요법연구회(회장 장대영)는 ‘제5회 항암치료의 날 기자간담회’에서 항암 소셜리스닝 데이터 분석 결과와 현명한 암 환자가 기억해야 할 6가지 수칙을 발표했다. 대한종양내과학회 안중백 이사장은 인사말에서 “환자들이 정말 궁금해하는 것을 듣기 위한 소셜리스닝 데이터 분석을 준비했다. 이를 통해 실제 환자들의 고민과 인식을 엿볼 수 있었으며, 학회는 환자들과 더욱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소셜리스닝 데이터 분석은 소셜 미디어에서 주요하게 언급되고 있는 이슈와 고민을 알기 위한 목적으로 암, 항암치료, 환자 관리에 대한 최근 1년 네이버 블로그, 카페, 지식인, 다음 블로그, 유튜브 댓글에서 수집된 데이터 16만 9575건을 통해 이뤄졌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내용이 분석됐는데, 가장 많이 언급되는 암의 종류는 유방암-폐암-대장암 순이었으며, 환우회 암 카페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가 수집됐다. 이어 각 암의 연관어로는 항암, 수술이 공통적으로 언급됐고 암의 특성에 따라 증상(유방암), 담배(폐암), 내시경(대장암) 등 연관어가 달라졌다. 진단 후 환자가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총 약 2만900건의 데이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