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연구팀의 논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충남대학교병원은 내분비대사내과 강예은 교수 연구팀(이비인후과 구본석 교수, 의과학과 이성은 연구교수)이 세계적인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impact factor: 16.6)’에 논문을 게재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 및 게제된 논문은 ‘다중 오믹스 분석을 통해 미분화 갑상선암에서 미토콘드리아 단일 탄소 대사 경로의 역할 규명(Unraveling the role of the mitochondrial one-carbon pathway in un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by multi-omics analyses)’이라는 주제의 논문이다. 강예은 교수팀은 충남대학교병원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함께 추진한 시스템산업거점기관 지원사업(유전자의약산업진흥 유전체 분석시스템 구축 사업)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융합연구단 김선규 박사 연구팀과 함께 진행하면서 대규모 유전체 데이터를 생성했다. 또한, 대사체 데이터와 단일세포 전사체 등의 다중 오믹스를 지놈인사이트 수석 과학자 박성열 박사 연구팀과 함께 생성 및 분석하고
양산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연구진이 연구한 논문이 미국폐경학술지(Menopause) 매스미디어에 2024년 1월호 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은 가정의학과 연구진(제1저자 이새롬 교수, 교신 저자 이상엽 교수)이 공동으로 진행한 'The association between reproductive period and handgrip strength in postmenopausal women: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폐경기 여성에서 가임기와 악력의 연관성: 전국단면조사)'라는 주제의 논문이 미국폐경학술지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가임기가 짧은 폐경기 여성이 가임기가 긴 여성보다 손의 악력이 약하다는 사실을 대규모 단면조사를 통해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폐경기를 맞이한 여성들의 건강에 초점을 맞추어 가임기와 악력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며 근육의 양과 근력이 감소하는 근감소증이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단순한 현상이 아닌 중요한 보건학적 이슈로 인식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미국폐경학술지(Menopause)는 에스트로겐이 근기능
고려대학교 안산병원(병원장 권순영) 비뇨의학과 박재영 교수가 미국비뇨의학회 공식 저널이자 SCI 저널인 Journal of Urology®의 편집위원에 연임됐다. 박재영 교수는 한국인 최초로 Journal of Urology® 편집부 위촉으로 2022년부터 2023년까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년간 편집위원으로서의 활동이 탁월해 2024년부터 2026년까지 향후 3년 동안 연임하게 됐다. 박 교수는 Journal of Urology®에 투고 되는 각종 비뇨의학과 관련 기초 및 임상 연구 논문에 대해 심사위원 선정 및 게재 여부 결정, Journal of Urology® 편집위원회 회의 참석 등의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Journal of Urology®는 1902년 창립된 미국비뇨의학회 공식학술지로, 2022년 Journal Impact Factor (인용지수)는 6.6이다. 박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 동 대학원에서 의학과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2008년도부터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근무중이다. Journal of Urology® 편집위원 외에도 대한비뇨의학회 공식 저널(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
세종충남대학교병원(원장 권계철)은 충남대학교병원 의료진과의 공동연구 논문이 국제 저명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12월호에 게재됐다고 12월 18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심정지 후 통합 치료를 받은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한 최선의 전략’이란 제목으로 발표됐으며,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신경과 김은영 교수, 충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박정수 교수, 강창신 교수가 함께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심정지 생존자들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검사로 뇌파 및 뇌 영상검사의 조합을 사용해 환자의 예후를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예측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세종충남대학교병원과 충남대학교병원은 지역사회 심정지 환자들에게 최상의 치료 결과를 위해 내과, 신경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등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는 신경과와 응급의학과, 영상의학과의 협업으로 일궈낸 성과여서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은영 교수는 “세종충남대학교병원 개원 이후 지역의 응급의료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충남대학교병원과 협력 연구를 통해 지역의 응급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영남의대 영문학술지 ‘JYMS’가 국제학술지에 등재됐다. 영남의대는 영남대 의대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JYMS)가 Emerging Sources Citation Index(ESCI)에 등재됐다고 26일 밝혔다. ESCI는 클래리베이트(Clarivate)사에서 만든 데이터베이스로서 세계적 권위를 갖고 있는 SCIE 등재 전, 후보군 성격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2023년부터 ESCI 저널에도 저널 영향력 지수(Journal Impact Factor, JIF)가 부여돼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클래리베이트사는 저널 인용 보고서(Journal Citation Reports, JCR)를 발행하는 글로벌 분석기업으로서 학술지의 내용, 국제적 다양성, 동료평가(Peer Review), 국제적 편집 규정 준수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ESCI 등재 여부를 판단한다. ESCI에 수록된 저널은 향후 약 2년간 학술지 피인용 등에 관한 평가와 엄격한 선정 기준을 거쳐 SCIE 등재 여부가 결정되므로 이번 ESCI 등재는 영남대 의대 영문 학술지인 JYMS가 세계적 수준의 전문 학술지로 인정받은 데에 큰 의의
대한뇌졸중학회 학술지가 미국 뇌졸중학회 학술지에 이어 뇌졸중 분야에서 세계 2위에 해당하는 학술지로 발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뇌졸중학회는 학회 공식 학술지 Journal of Stroke (JoS)의 2022년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IF)가 8.2로 발표됐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IF는 세계 뇌졸중 분야 학술지중 2번째로, 미국 뇌졸중학회 학술지인 Stroke (IF 8.3) 다음으로 높은 수치이며, 불과 0.1의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대한뇌졸중학회의 JoS가 명실공히 뇌졸중 분야 학술지에서는 세계 최고의 수준임이 확인된 셈이다. 2013년부터 대한뇌졸중학회에서 발간한 영문 학술지 JoS는 뇌졸중 분야에 대한 기본 개념부터 최신 지식, 연구동향 등 뇌졸중 치료와 예방과 관련된 주요 지식을 발표하고 공유하며 뇌졸중 발전을 견인해온 대표적인 의학 저널이다. 또한, 연간 국내 연구자뿐 아니라 미국, 독일, 중국, 캐나다 등 세계 뇌졸중 주요 전문가들이 투고한 논문도 600여 편에 달한다. JoS는 이렇게 국내외에서 투고된 논문에 대해 공정하고 꼼꼼한 심사과정을 거쳐 연간 50여편의 양질의 뇌졸중 관련 논문을 발간하고 있다. 대한뇌졸중학회 김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신경외과 오재상 교수가 연구한 논문이 SCI 등재 학술지인 ‘Biomaterials research’에 출간됐다. 연구 논문 제목은 ‘Albumin-binding photosensitizer capable of targeting glioma via the SPARC pathway’로, 뇌종양 중 가장 흔하고 예후가 좋지 않은 난치성 질환인 뇌신경교종의 SPARC pathway를 조절하는 새로운 항암 프로토콜을 개발해 뇌신경교종을 치료하고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연구다. 특히, 치료가 어렵고 재발이 뇌신경교종 환자에게 새로운 신나노 치료의 계기를 열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오재상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미개척지인 신나노 물질을 병행한 항암치료로 지금도 어려워하는 뇌신경계질환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수행했다. 오재상 교수는 “새로운 암세포 발달 기전을 밝혀 새로운 항암 프로토콜을 통해 난치성 뇌질환의 치료가능성을 보았으며, 의미 있는 결과로 향후 난치성 뇌신경교종 환자를 위해 임상시험을 통해 희망을 주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Biomaterials research’는 대한생체재료
엑소시스템즈는 최근 디지털 바이오마커 기술을 활용한 ‘근신경계 기능평가’에 대한 연구결과를 관련 분야 최고 수준의 국제학술지인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s’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최근 근신경계 질환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와 더불어 인구 고령화로 인한 노인성 질환의 발생 증가로 근신경계 질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제약사들은 근신경계 질환을 대상으로 한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다. 임상 연구 과정에서 환자들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근신경계 기능평가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 기존의 근신경계 기능평가는 주로 보행이나 근력 등을 측정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는데, 그 과정이 노동집약적이고 다양한 상태의 환자에게 일관된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특히 중추신경계 환자 등의 경우 일반 환자들과 인지능력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객관적인 기능평가가 더욱 어려워진다. 엑소시스템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신경계의 기능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MFI(Muscle Function Index) 기술을 개발해 주목
인공지능 의료 솔루션 개발 기업 크레스콤(대표 이재준)이 인공지능 손목 골절 자동 검출 및 분석 솔루션인 ‘MediAI-FX’가 세계적인 과학 저널 출판기관 MDPI (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Diagnostic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영상의학과와 정형외과 교수진이 참여했다. 크레스콤의 MediAI-FX는 손목 골절 부위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골절 확률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으로 요골(Radius), 척골 경상돌기(Ulnar Styloid) 골절을 동시에 분석할 뿐만 아니라, 주상골(Scaphoid)까지 판독 가능하다. 주상골은 특히 골절을 발견하기 어려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골절 발견이 늦어지면 손목 기능 저하와 골괴사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초기 방사선 검사에서 이상을 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MediAI-FX를 통해 요골(Radius), 척골 경상돌기(Ulnar Styloid), 주상골(Scaphoid) 골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으며, 높은 정확도와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원명 교수가 최근 개최된 대한정신약물학회 공식 영문학술지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CPN) 창간 20주년 기념식에서 공로상을 수상했다. 박 교수는 국내 정신의학계에서 영문학술지가 전무하던 2003년 CPN 창간을 주도했다. 2012년 이사장 취임 후 SCIE 등재를 학회 최우선 학술사업으로 선정해 재임 기간인 2015년에 SCIE 등재를 이뤄내는 등 국내외 정신의학분야 최고의 학술지로 성장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CPN 창간 20주년 공로상'을 수상했다.박 교수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대한정신약물학회 이사장을,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정신약물학회 상임집행위원장, Korean Bipolar Disorders Forum(KBF) 대표,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프로젝트 총괄위원장 및 성인 ADHD TF 총괄위원장을 맡고 있다. 또한, 우울증 교과서, 양극성 장애 교과서, 임상신경정신약물학 교과서와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지침서를 대표저자로 발간하는 등 국내 정신의학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