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FR 폐암 차세대 표적치료제, 3세대 치료제比 2.6배↑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4세대 표적치료제가 1~3세대 치료제 내성 환자 유래 전임상 모델에서 최대 183%의 암세포성장억제율(TGI)을 기록했다. 연세암병원은 폐암센터 조병철, 연세대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윤미란 교수 연구팀이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차세대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4월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4세대 표적치료제 ‘BI-4732’ 효과를 전임상 단계에서 확인하고자 ▲엑손 19 결손 ▲T790M ▲C797S 삼중 돌연변이가 발생한 환자 유래 세포주를 동물에 이식한 후 BI-4732를 투여했다. 그 결과, 암세포성장억제율은 143~183%에 달해 오시머티닙 대비 최대 2.6배의 효과를 자랑했다. 또, 삼중 외에 돌연변이 중 두가지를 가지고 있고, 이중 돌연변이 세포주 실험에서도 오시머티닙과 비슷한 수준의 항종양 효과를 입증했다. 특히, 중추신경계 전이 암세포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가 중추신경계 전이를 보이며, 초기 세대 표적치료제는 혈액뇌장벽을 통과하는 능력이 떨어져 전이 종양에 효과가 좋지 않은데, 오시머티닙은 탁월한 중추신경계 침투 효과로 1차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