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의료데이터 연구환경을 위한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가 개소했다. 보건복지부는 24일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개소식에서는 지역별 안심활용센터를 소개하고 운영계획을 공유했으며, K-CURE 포털을 통해 K-CURE 암 공공 빅데이터를 신청해 안심활용센터에서 활용하는 전 과정을 시연했다.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는 연구자가 공공데이터와 병원의 임상데이터를 연구 목적으로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해 마련된 물리·기술·관리적 보안 대책을 갖춘 폐쇄분석 공간이다. 보건복지부는 연구자들이 의료데이터는 물론, 공공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활용할 수 있도록 권역별로 5개의 안심활용센터를 지정했다. 안심활용센터로 지정된 곳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중앙센터, 서울), 계명대학교동산의료원(대구),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원주), 충남대학교병원(충남), 국립암센터 등이며 올해 6월부터는 암 공공 빅데이터(K-CURE, 국립암센터)의 데이터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는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를 유관 공공기관으로 확대하고, 지역별 안심활용센터를 추가 설치하는 등 안전한 의료데이터 연구환경을 마련하고 기관 간 협력을
정부가 권역별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최근 ‘2022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 구축 지원사업’을 공모했다. 이번 사업은 보건의료 데이터의 민감성·특수성을 고려해 연구자가 K-CURE, 공공기관 보유 데이터를 연구목적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권역별 의료데이터 안심활용센터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업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안심활용센터는 원격계정형과 폐쇄분석형으로 구분해 연구목적 및 데이터 민감도에 따라 차등해 이용방법 제공하며, 기존에 공공기관과 주요 병원 등이 운영 중인 인프라의 상호인증 및 지정제 도입 등을 통한 데이터 공동 활용을 추진한다. 원격계정형은 연구자 자기 공간 및 개인 PC에서 원격접속해 분석 후 결과 반출하는 형태를 말하며, 폐쇄분석형은 연구자가 지정된 물리적 공간에 방문해 분석 후 결과 반출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폐쇄분석실 구축 ▲데이터 개방 ▲안심활용센터 운영 ▲포털 운영 등의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폐쇄분석실 구축은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수행기관 중 권역별 안심활용센터 구축 지원을 통한 폐쇄분석실 확보해야 하며, 데이터 개방의 경우 안심활용센터가 설치된 의료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