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성 “의약품 신종 리베이트 이대로 괜찮은가”
그간 제약사와 의사 간 발생하던 리베이트가 도매업체와 병원 사이에서도 발생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병원들은 의약품을 제약사로부터 직접 납품받기도 하지만, 의약품을 직접 관리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중간에 도매업체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병원들은 도매업체의 49% 지분을 가지고 있으면 수의계약을 통해 일감을 몰아주고 있는 것이다. 병원에 직접 의약품을 납품할 수 없는 제약사는 도매업체의 선택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절대적 ‘을’의 위치에서 도매업체에 납품 계약을 맺게 된다. 도매업체는 이러한 제약사들에게 싼 값에 약품을 공급받고, 병원에는 비싸게 팔아 수익을 극대화 하고 있는 것이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의약품공급내역보고자료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에 납품하는 일반 도매업체는 연평균(2017~2019) 3.5%의 수익을 낸 반면, 병원이 4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도매업체의 수익은 무려 연평균 13% 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례로, A병원 계열의 경우 4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도매업체는 제약사로부터 상한금액 대비 13.4%의 할인된 금액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