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0~6세) 층에서 수족구병 유행이 최근 10년간 가장 큰 규모로 돌고 있어 주의가 당부된다. 질병관리청은 영유아(0~6세) 층에서 수족구병이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생함에 따라, 영유아가 있는 가정 및 관련 시설의 소독 등 수족구병 예방수칙 준수를 7월 29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영유아(0~6세)에서 외래환자 1000명당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은 7월 3주(7.14~7.20) 기준 78.5명으로, 과거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2019년(7.14.~7.20. 77.6명)보다 환자 수가 증가했다. 수족구병 발생 연령은 18세 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0~6세 78.5명/1000명 ▲7~18세 18.2명/1000명으로 모두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최근 3~4년 동안 수족구병의 유행이 크지 않아 지역사회 내 집단면역력이 낮아지면서, 면역력이 약하고 개인위생이 취약한 영유아를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질병관리청이 판단이다.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수족구병은 아직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가
5월 2주 기준 영유아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은 8.4명으로 1개월 전인 4월 3주(4.4명) 대비 4.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영유아(0~6세)에서 한 달 사이에 수족구병 환자수가 약 2배 증가했다고 밝히며, 영유아가 있는 가정 및 관련 시설에서의 위생수칙 준수를 5월 22일 당부했다. 수족구병은 이름처럼 손·발과 입안에 물집이 생기는 비교적 흔한 급성바이러스성 질환으로, 5세 이하의 영유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5월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해 6월~9월 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수족구병의 원인 바이러스는 장 바이러스(엔테로 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로 세부 종류가 많고, 또 엔테로바이러스 71형 감염에 의해서도 수족구병이 발생할 수 있어 이전에 수족구병에 걸렸어도 다시 걸릴 수 있다. 수족구병은 ▲환자의 침, 가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비말감염 ▲피부의 물집에 직접 접촉을 통한 접촉감염 등을 통해 감염될 수도 있지만, 환자가 만진 오염된 물건을 만져서 전염되는 경우도 많아 개인위생이 취약하고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 영유아(0~6세)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성을 보인다.
한달 새 영유아(0~6세)에서 수족구병 발생률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109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수족구병 의사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영유아(0~6세)의 경우 한달 전(15주차)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2023년 연령별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에 따르면 영유아에서의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외래환자 1000명당)은 15주(4월 9~15일) 4.0명 → 16주 5.0명 → 17주 7.5명 → 18주 11.0명 → 19주 13.8명 순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18주부터는 10명이 넘어간 것으로 집계됐다. 질병청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2022년도에 3년만의 계절적인 유행이 있었다”라고 밝히며, 올해도 예년과 유사한 시기에 발생 증가가 확인됨에 따라,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유사한 수족구병 유행이 예상됨을 전했다. 한편, 수족구병은 입 안, 손, 발에 수포성 발진을 나타나는 것이 주된 증상이며,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위장관증상(설사, 구토)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나, 수막염, 뇌
질병관리청이 수족구병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15일 최근 영유아에서의 수족구병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211개 표본감시기관에서의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2022년 25주(6월12~18일) 1.7명, 26주(6월 19~25일) 2.6명, 27주(6월 26일~7월 2일)에 5.4명, 28주(7월 3~9일)는 10.3명으로 1주가 지날 때마다 약 2배씩 늘어나고 있었다. 이는 코로나19 유행 이전 대비 낮은 수준이나, 과거 2년 대비 높은 발생율로 질병관리청은 봄부터 가을까지 수족구병이 주로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환자의 발생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질병관리청 백경란 청장은 “수족구병은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인 만큼 집단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에서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위해 환자 접촉 시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환자 관련 물품을 소독해야 하며, 환자가 완전히 회복한 후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하며,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