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와 비뇨의학과병원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1회 비뇨의학과 병·의원 공동 심포지움’이 지난 4월 23일 제주 메종글래드 호텔에서 개최됐다. ‘비뇨의학과 병·의원 공동 심포지움’은 진료협력체계 강화를 통해 국내 비뇨의학과가 처한 어려움을 타개하는 동시,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한 의료 환경을 환자들에게 제공하고자 개최된 심포지움이다. 제14대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 조규선 회장은 “1차, 2차, 3차 병원 간의 의료 전달체계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신속하고 빠른 결정과 치료를 통해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제공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고 개최 포부를 밝혔다. 이어 비뇨의학과 병원위원회 김종현 회장은 “개원의와 봉직의 간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더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서로 간의 충분한 소통을 통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개회사를 전했다. 심포지움 개최를 축하하기 위해 방문한 대한비뇨의학회 이상돈 회장은 “첫 개최를 축하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개최를 통해 병원과 의원이 함께 상생하며 윈윈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길 기대한다”며 축사를 전했다. 심포지움은 총 세 가지 세션으로 나뉘어 진
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가 로봇수술 1000례를 달성했다. 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는 2013년에 첫 로봇수술을 시작한 이후 지속적인 수술실적 향상과 발전을 거듭하면서 지난 10일을 기준으로 1000례를 달성했다. 부·울·경 지역에서는 최단기간에 달성한 실적이다. 비뇨 기관에는 많은 혈관과 신경이 몰려있어 섬세한 수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비뇨의학과에서 시행 중인 로봇수술은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신우요관암 등 고난도 수술의 비뇨기암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비뇨기암의 로봇수술은 주변 장기와 신경, 혈관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종양을 제거할 수 있고, 비뇨기 기능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비뇨기암에 효과적이고 최적화된 수술이다. 더욱이 비뇨기암에서는 골반 뼈 안쪽까지 카메라가 들어가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다. 최소절개로 출혈이나 감염의 위험이 줄어들어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도 빠르다. 합병증이나 후유증을 예방하는 효과 역시 탁월하다. 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하홍구 교수는 “비뇨기 기관의 위치적 특성과 최근 환자 수의 증가로 로봇 수술의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40대 이후라면 정기적으로 복부초음파를 받아보는
동국대일산병원(병원장 이해원) 비뇨의학과 김형석 교수가 환자의 비만도 및 수술 관련 수혈 여부 등의 임상학적 인자도 신장암 수술 환자의 예후와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신장암은 전립선암, 방광암과 함께 3대 비뇨기암 중 하나로, 국소 신장암의 경우 부분 혹은 완전 신절제술을 표준 치료로 시행하고 있다. 신장암 수술 환자의 예후는 일차적으로, 종양의 병기 또는 악성도를 나타내는 종양 등급 등에 의해 결정되지만, 환자의 비만도 및 수술 관련 수혈 여부 등의 임상학적 인자들 또한 신장암 수술 후 환자 예후와 관련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고는 해외에서는 꾸준히 발표되었으나, 국내 데이터로는 그 관련성 확인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비뇨의학과 김형석 교수는 국내 신장암 환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신장암 수술 후 환자의 예후와 관련된 임상학적 인자들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수술을 받은 국내 비전이성 신장암 환자 2천 300여 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신장암 수술과 관련해 시행된 적혈구 수혈은 수술 후 환자의 불량한 생존율과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수혈을 받은 환자군에서만 따로 분석을 시행한 결과 수혈량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