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백일해 감염 시 중증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인 1세 미만 영아 보호를 위해 임신부, 동거 가족(부모, 형제, 조부모 등) 및 돌보미 대상 백일해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백일해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11월 12일 밝혔다. 이번에 발생한 백일해 첫 사망 사례는 생후 2개월 미만 영아로 백일해 1차 예방접종 이전이며, 기침과 가래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을 내원 후 백일해 양성이 10월 31일 확인됐고, 입원 치료를 받아오다가 증상 악화로 11월 4일 사망했다.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는 올해 11월 1주 기준 총 3만332명의 환자(의사환자 포함)가 신고됐으며, 11월 2일 기준 7~19세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13~19세가 45.7%(1만3866명)를 차지했으며, 7~12세가 42.0%(1만2725명)으로 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의 87.7%(2만6591명)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0~6세의 경우 전체 환자의 3.3%(1,008명)으로 8월 이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1세 미만 영아도 10월 초에는 주당 2~4명의 신고를 보이다가, 10월 말 12명까지 신고됐
코로나19를 비롯해 백일해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등의 감염병 유행이 확산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입원환자 수가 증가하고, 백일해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도 동시에 크게 유행하고 있어, 여름철 실내 환기를 포함한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를 7월 26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의 제4급 표본감시 감염병 전환 이후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표본감시기관(220개소)을 대상으로 입원환자 현황을 감시 중이다. 올해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2월 1주에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했으나, 6월 4주부터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 4주 동안 주간 입원환자수가 3.5배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전체 입원환자 수(1만1069명)의 64.9%(7179명)을 차지했으며, 이어 ▲50~64세 18.5%(2052명) ▲19~49세가 10.2%(113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입원환자 수 증가와 함께 코로나19 병원체 검출률도 증가하는 추세로, 7월 3주 기준 검출률(17.0%)이 6월(6.4%) 대비 10.6%p 증가한 것이 확인됐다. 코로나19의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을 보면, 그간 유행하였던 JN.
질병관리청이 ‘2024 파리하계올림픽·패럴림픽대회’ 참가시 감염병·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2024 파리 하계올림픽·패럴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단과 방문자들에게 프랑스 및 유럽 지역의 주요 감염병 정보와 예방수칙을 7월 16일 안내했다. 최근 프랑스와 유럽에서는 호흡기 감염병인 홍역·백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올림픽 개최지인 프랑스 파리에서는 현지의 기온 상승에 따른 모기 증가로 뎅기열 등 모기매개 감염병과 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도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2024 파리올림픽·패럴림픽대회 감염병 대응 계획’을 통해, 올림픽 개최 지역의 감염병 위험평가와 함께, 주의가 필요한 감염병에 대해 현지를 방문하는 국민들이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특히, 홍역·백일해 등 호흡기 감염병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A형 간염 ▲홍역(MMR)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Tdap)에 대해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거나 추가접종이 필요한 경우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또한, 뎅기열과 같이 모기가 옮기는 감염병을 방지하려면 모기 기피제를 비롯해 밝은색 긴팔 상의와 긴바지 등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많은 국가로
“최근 크게 유행하고 있는 ‘백일해·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주의하세요!” 질병관리청은 최근 백일해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이 크게 유행함에 따라, 유소아 대상 백일해 백신 접종(총 6회)이 적기에 이루어지도록 교육 당국과 학부모의 협조를 당부하고,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에 대한 유행주의보를 발령한다고 6월 21일 밝혔다.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는 환자수가 4주 동안 3.2배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13~19세가 65.6%(117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7~12세가 27.2%(485명)로 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의 92.8%(1656명)를 차지했다.지역별로는 경기(477명, 26.7%) > 경남(467명, 26.2%) > 인천(210명, 11.8%) > 서울(110명, 6.2%)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6월 15일 기준 누적 환자 수(의사환자 포함)는 2537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전 백일해가 크게 유행했던 2018년도 연간 발생 환자 수(980명)를 이미 2.5배 넘어선 상황이다. 영유아의 백일해 예방접종률은 95% 이상(1세 97.3% 초등학교 입학생 96.8%)으로 높아, 유행이 지속되는 상
백일해가 최근 10년간 동기간 대비 최다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4월 24일 기준 올해 백일해 환자가 365명(의사환자 포함)으로 전년 동기간(11명) 대비 환자수가 33.2배 증가했고, 최근 10년 간 동기간 대비 최다 발생이라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12세 이하 어린이가 216명(59.2%)으로 가장 많았고, 13~19세에서 92명(25.2%), 60세 이상 32명(8.8%)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교육시설 중심으로 집단발생이 보고된 경남 182명(49.9%), 경기 56명(15.3%), 부산 47명(12.9%)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최근 백일해(DTaP) 예방접종률은 초등학교 입학생 DTaP 5차 96.8%, 중학교 입학생의 Tdap(또는 Td) 6차 82.5%로 확인된다. 한편,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발생하는 제2급 법정 감염병으로, 콧물이나 경미한 기침으로 시작해 발작성 기침으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기침할 때 공기중으로 튀어나온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면역력이 없는 집단에서는 1명이 12명에서 17명을 감염시킬 만큼 전파력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플루엔자 의사환자가 최근 4주간 1.6배 증가했으며, 특히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으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돼 주의가 필요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수행하는 의원급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표본감시(196개소)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감시 결과에 따르면, 12월 2주에 외래환자 1000명당 61.3명으로 최근 5년간(’19~’23년) 최고 수준이 각각 ▲2019년 49.8명 ▲2020년 2.8명 ▲2021년 4.8명 ▲2022년 60.7명인 것을 고려하면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한 것을 보여줬다. 연령별 의사환자는 13-18세(133.4) > 7-12세(120.1) > 19-49세(78.9) > 1-6세(49.5) > 50-64세(34.5) > 65세이상(15.3) 순으로 나타나 7~18세 학생 연령층이 타 연령 대비 높은 발생을 보였다. 또한, 병원급 입원환자 표본감시(218개소) 결과에 따르면 12월 2주 입원환자수는 1047명으로 집계됐으며, 연령별 입원환자 비중은 65세이상(40.3%) > 50-64세(15.8%) > 19-49세(12.7%) > 7-12세(11.9%) > 1-6세(9.6%) >
“‘발작성 기침’ 백일해 대한 추가 접종 서두르세요!” 올해 백일해 환자가 83명(2023년 11월 4일 기준, 의사환자 포함)으로 2022년 동기간(25명) 대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질병관리청이 백일해 예방접종(DTaP)을 누락했거나 추가 접종해야 하는 어린이의 적극적인 예방접종을 9일 당부했다.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발생하는 제2급 법정 호흡기 감염병으로, 발작성 기침(Whooping cough)을 특징으로 하며, 환자가 기침 또는 재채기할 때 튀어나온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 주로 늦은 여름에서 가을철 발생이 많다. 2023년 11월 1주(11월 4일) 기준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백일해 전수감시 결과에 따르면 올해 누적 발생 건수는 83명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유행 이전(’19년 496건, ’20년 123건) 대비 낮은 발생 수준이나, 2023년 주간 평균(1.8명) 대비 최근 5주(10월 1일~11월 4일) 동안 주간 평균 8.6명을 기록하는 등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12세 이하 어린이가 58명(69.9%)으로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 11명 > 60∼69세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