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도입 이후 병원약사들의 업무 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약류의 조제·복약 상담 업무에 추가 가산이 필요하다는 제언 등이 제기됐다. 2024년도 한국병원약사회 춘계학술대회가 ‘의료기관 마약관리 강화를 위한 병원약사의 역할’을 주제로 6월 22일 코엑스 컨벤션센터 3층 오디토리움에서 개최됐다. 이날 정지은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의 ‘의료기관 마약관리 업무에 대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우선 정 교수는 의료기관 약사 정원은 연평균 1일 입원 환자 수와 외래 환자의 원내 조제 처방전 매수 등을 고려해 비교적 합리적으로 결정되는 반면에 마약류 관리자의 인력 기준은 업무량과 관련이 없는 의료기관 내에 마약류 취급 의료업자 수 기준으로 되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지적했다. 또한, 2018년에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NIMS)이 도입된 이후 2019년 충북대병원 약제부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입고-조제-반납에 소요되는 업무가 마약류 안전 관리 강화와 상관없이 약사 1인당 2.5시간의 추가 업무가 발생했음을 보고한 점을 강조하며, 병원 약사들에게 업무 부담을 가중시킨 것을 꼬집었다. 특히, 정 교수는 마약류통합관리
국민의힘 서정숙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한국병원약사회가 주관하며, 대한병원협회가 후원하는 ‘2023 한국병원약사회 정책토론회’가 12월 12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국민의힘 원내부대표 서정숙 국회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의 개회사와 한국병원약사회 김정태 회장 인사말 및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국회의원의 축사 등으로 시작된 이번 토론회는 고려대 보건대학원 윤석준 원장이 좌장을 맡고, 한국병원약사회 남궁형욱 수석부회장이 사회를 맡아 진행된다. 토론회 주제는 ‘환자안전과 사회안전을 위한 의료기관 마약 관리 강화 방안’이며, 한국병원약사회 정경주 부회장(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약제팀장)이 ‘의료기관 마약 관리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지는 패널토론에서는 대한병원협회 송재찬 상근부회장과 한양대 약학대학 정지은 교수,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정성훈 과장이 참여해 한국병원약사회 정경주 부회장과 토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