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내분비내과 홍은경 교수가 제35대 대한내분비학회 이사장에 2025년 1월 1일자로 취임한다. 임기는 2026년 12월 31일까지 2년간이다. 대한내분비학회는 1982년 설립된 이후 40년 넘게 내분비 호르몬 및 질환에 대한 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 의학발전과 건강 증진에 공헌하고 있다. 현재 1600여명이 넘는 회원이 등록돼 있으며, SCIE급 국제학술지인 ‘Endocrinology and Metabolism(EnM)’과 교과서 ‘내분비대사학’을 발간하고 있다. 홍은경 신임 이사장은 “현대인의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골다공증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으로 일컫는 내분비대사질환의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대한내분비학회의 활발한 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 국민들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향후 내분비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선도하는 학회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홍은경 이사장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내분비당뇨갑상선센터장, 내분비내과 분과장, 내과 과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대한당뇨병학회와 부회장과 대한내과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또한 2015년에는 최고 보건의료인 100인(Top 100 Health Pr
APAC 컨센서스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아태지역 당뇨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권고안이 학술대회에서 소개됐다. 혈당 변동성의 세밀한 관리를 위한 CGM의 필요성과 지속 사용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지난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개최된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CGM 가이드라인과 APAC Consensus 권고안에 따른 CGM의 사용’에 대해 알아보는 런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의 발표는 조선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류영상 교수가 맡았다. 먼저 류영상교수는 최근 당뇨 혈당측정에 있어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혈당을 측정하게 되면 공복혈당이나 당화혈색소를 주로 측정하는데 일반적인 측정방식으론 혈당 변동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고, 당화혈색소 자체가 평균값이기 때문에 고혈당이나 저혈당 등 세밀한 변동성을 파악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것. 때문에 최근 연속혈당측정기(CGM)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미국에서도 ADA 2023년 가이드라인을 통해 CGM이 인슐린 주사치료를 하는 환자에게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게 됐다. 특히 CGM은 일시적으로 사용이 단절될 경우 당화혈색소가 악화될 수 있어, 지속적 사용이 중요하다. 류 교수
이오플로우의 서종옥 마케팅본부장이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학연산심포지엄에 참여해 차세대 인슐린펌프 개발의 비전과 방향성을 발표하며 의료진의 관심을 당부했다. 그는 패치형 인슐린 펌프와 AID 기반 기술이 당뇨 관리의 새로운흐름을 선도할 것이라며, 향후 발전될 기술들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밝혔다. 서 본부장에 따르면 세계 인슐린 주입기 시장은 약 40조원규모, 인슐린 펌프 시장은 약 6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거대한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존재감은 미미한 실정으로, 때문에 국내 기업의 진입에 대해 기대가 커지고 있다. 서 본부장은 “현재 인슐린 주입기 시장에서 ‘패치형 인슐린 펌프’가 성장세”라며“특히 AID(Automated Insulin Delivery) 기반인슐린 펌프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고 설명했다. 또 CGM 시장도 연간 16조원 규모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30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서 본부장은 한 다국적제약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들이고정된 인슐린 투여 시간이 생활에 불편을 준다고 응답했으며, 약33%의 환자가 월 1회 이상 인슐린 투여를 건너뛴다고 답변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피네레논은 SGLT-2 억제제와 병용 시 고칼륨혈증 발생률이 단독 사용보다 낮아, 두 약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CKD 환자들에게 추가적인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소개했다.지난 31일부터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가 개최된 가운데, 학술대회 첫날인 31일 종근당이 후원하는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최연경 교수는 ‘Clinical experience in optimizing treatment strategies for CKD in T2D’를 주제로 ‘케렌디아(성분명 피네레논)’의 임상적 혜택에 대해 소개했다. 이를 위해 최 교수는 FODELIO-DKD, FAGARO-DKD 연구를 통합한 FIDELITY 연구에 대해 설명했다. FODELIO-DKD 연구는 주로 만성신장질환에 집중한 반면, FAGARO-DKD 연구는 심혈관계 사망률 및 치명률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다. 최 교수는 “FIDELITY 연구에서 피네레논 투여 후 4개월 뒤 평균 36%의 알부민뇨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약 4년간 평균 30% 정도로 지속됐다. 이는 CKD 진행을 늦추기 위한 적절한 알부민뇨 감소 기준을 충족시키는 결과”라며, CKD
대한내분비학회가 10월 31일부터11월 2일까지 호텔 인터불고 대구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Everything about Endocrinology’라는주제 아래 당뇨병과 비만, 지질, 갑상선, 골대사, 뇌하수체, 부신및 생식 등 내분비대사 전 분야를 아우르는 지식의 장이 될 예정이다. Plenary lecture와 Presidentiallecture를 비롯해 다양한 심포지엄에서 각 분야의 저명한 국내외 연사들의 강연을 마련됐다. 대한내분비학회 정윤석 이사장은 “이번 학술대회가 회원들의 학문적 교류와발전, 친목을 도모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회원여러분의 건강과 건승을 기원하며, 본 학술대회에 적극적인 참여와 많은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대한내분비학회에서 주최하는 The 12th Seoul International Congress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in conjunction with the 43rd Annual Scientific Meeting of the Korean Endocrine Society(이하 SICEM 2024)가 4월 11일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시작해 13일에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세계 각국의 내분비학의 권위자들과 활발한 학문적 교류를 목표로 매년 성장하고 있는 SICEM은, 이번 SICEM 2024에서 총 32개국 1488명의 국내외내분비 전문가와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또한 초록은 총 652편이 접수돼 SICEM 역사상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으며, 당뇨병, 비만, 갑상선, 골대사, 뇌하수체/부신 등의 다양한 내분비학의 연구를 논의하는 55개 세션 (심포지엄 20개, 해외 주요학회와의 조인트심포지엄 5개, 기조강연 4개, 특별심포지엄 6개 등)으로 진행됐다. 국가와 분야의 경계를 넘어 하나의 내분비학을 의미하는 ‘One Endo’를 주제로 개최된 SICEM 2024에서는 저명한 석학들을 기조강연의 연사로 초청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난 한 해를 전세계를 뜨겁게 달궜던 GLP-1 제제와 국내 제약사가 개발해 주목받고 있는 SGLT-2 억제제 신약이 학술대회에서 주목됐다.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대한내분비학회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 프로그램 중에서는 GLP-1 제제와 SGLT-2 억제제에 대해 조명되는 시간이 마련됐다. 조선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류영상 교수는 ‘새로운 강화된 SGLT2 억제제 통합 분석’을 주제로 설명했다. 류 교수는 대웅제약의 당뇨약인 SGLT-2 억제제 ‘엔블로(성분명 이나보글리플로진)’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류 교수는 먼저 “최근 2건의 무작위대조 임상3상 연구에서 이나보글리플로진 0.3mg과 다파글리플로진 10mg를 비교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이나보글리플로진은 다파글리플로진과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각 연구의 참가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으며, 혈당강하 효과 비교 시 더 많은 수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류 교수는 신장기능을 기반으로 2형당뇨환자에서 이나보글리플로진 0.3mg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
환자 맞춤형 당뇨치료 전략 중요하게 여겨지는 가운데, SGLT-2 억제제, DPP-4 억제제 등 다양한 계열에 대한 병용요법에 대해 주목되고 있다. 최근 대한내분비학회가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 가운데,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전재한 교수는 환자가 약물을 선택하는 기준을 부제로, ‘당뇨병 맞춤형 치료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먼저 전 교수는 “새로운 당뇨병 약제가 등장하고 있지만, 당뇨병 환자 중 목표 혈당을 달성한 성인 당뇨병 환자의 비율은 24.5%에 불과해 ‘개별적인 환자 맞춤형 혈당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혈당강하제 선택 시, HbA1c뿐만 아니라 환자의 인슐린 분비능, 당뇨병진행단계, 환자의 생리학적 특성과 동반질환이 고려돼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2024년 ADA 가이드라인이 고혈당환자에서 환자 조절을 위한 초기 병용요법과 체중조절에 대한 목표설정과 환자맞춤형 혈당 관리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춰 최근 임상현장에서도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약제 선택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이다. 대표적으로 전 교수는 혈당조절목표(저혈당위험도)에 따라 DPP-4 억제제 또는 메트포르민/TZD/SGLT-2억제제/G
대한내분비학회가 4월 11일부터 13일까지 국제학술대회인 SICEM 2024를 워커힐 호텔에서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One Endo’를 주제로 개최돼 내분비학 및 신진대사 분야의 현재 과제와 놀라운 발전이 조명될 전망이다. 특히 4개의 공동 심포지엄이 준비됐는데, ESROC-KES 세션에서는 갑상선 질환의 복잡한 미묘한 차이를 탐구하며, JES-KES 세션에서는 젊은 내분비학자를 소개될 전망이다. 또, AFES-KES 세션은 아시아인의 관점에서 당뇨병을 탐구하며, ENDO-ESE-KES 세션은 크롬친화세포종과 부신경절종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Peter Tontonoz(캘리포니아 대학교, 미국 로스앤젤레스) 교수는 콜레스테롤 수송에 중점을 둘 것이며 Matthias H. Tschöp(독일 뮌헨 헬름홀츠) 교수는 비만에 대한 다중 수용체 약물을 탐구할 예정이며 Susan Mandel(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교수는 갑상선을 전문으로 강의에 나설 예정이다. Natalie Sims(호주 멜버른 대학교) 교수는 골세포와 뼈 구조에 대한 통찰력을 공유할 예정이다. 학회는 “SICEM 2024는 다양한 복합 내분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