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난치성 강박증 환자들에게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으로 입증됐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팀(장문영 임상강사)이 2017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난치성 강박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을 시행한 후 치료 반응과 부작용을 평가한 연구 결과를 7월 26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환자들의 강박 증상의 변화를 강박장애의 심각성 평가 도구로,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의 빈도와 심각도 측정해 환자의 증상 평가하는 ‘예일-브라운 강박증 척도(YBOCS)’를 통해 평가했으며,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에 대한 반응이 좋은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간의 특징을 비교했다. 환자의 임상적 특성은 ▲성별 ▲나이 ▲발병 연령 ▲입원 횟수 ▲자살 시도 이력 등 다양한 변수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10명의 난치성 강박증 환자 중 50%가 완전 반응(치료 후 35% 이상의 YBOCS 점수 감소)을 보였으며, 20%는 부분 반응(치료 후 20~35%의 YBOCS 점수 감소)을 보였다. 완전 반응은 환자의 강박 증상이 상당히 호전되어 일상생활에 큰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의미하고, 부분 반응
국내 연구진이 조현병 전단계 및 초기 조현병 환자의 미세한 뇌조직 변화를 질감 분석을 통해 포착했다. 일반 뇌영상 분석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이 미세한 변화는 조현병 조기 진단의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분당서울대병원 문선영 교수팀이 뇌자기공명(MRI) 질감 분석을 조기 조현병 환자들에게 최초로 적용해 뇌조직을 분석한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과거 정신분열병으로도 불렸던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및 행동과 같은 증상과 사회적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대표적인 중증 정신질환이다. 발병과 함께 회백질 감소 등 다양한 뇌조직의 변화가 발견된다. 시간이 갈수록 인지기능이 떨어질 수 있어서 조기 발견과 발병 직후 4~5년간 치료가 매우 중요한데, 조현병 전단계에서 초기에 일어나는 뇌 변화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팀은 ▲초발정신증군(조현병 초기 단계, 101명) ▲정신증 고위험군(조현병 전단계, 85명) ▲대조군(147명)의 MRI 영상을 바탕으로 조현병과 관련된 뇌 영역에 대한 질감 분석을 실시해 영역별 회색질 부피·두께와 질감 특성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질감 분석(Texture analysis)이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의료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됐다는 말이 나온다. 디지털헬스케어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며, 결국 원격의료 환경은 필연적인 만큼 전문가 합의가 시급하다.” 한국원격의료학회 권준수 부회장(서울의대 정신건강의학과)은 30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국제 병원 및 의료기기 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21)에서 개최된 ‘지속가능한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을 위한 스마트 의료의 미래’ 주제 세미나에서 이 같이 말하며 전 세계적으로 원격의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논의를 우리나라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 부회장은 “대면진료 관련 부분이 죽고 이제는 비대면 쪽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디지털의료는 압축적으로 발전했는데, 의료의 디지털 전환이 코로나 때문에 가속화됐다는 말이 나온다”며 “하지만 아직 원격의료 도입에 진통을 겪고 있고 우리나라도 규제 문제로 논의할 것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와 함께 산업계 발전은 활발히 이뤄지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도 원격의료 확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미국 원격의료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갖춘 ‘텔라닥’을 포함해 원격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