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 해 동안 수집·등재·분양한 병원체자원 현황 등이 공개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2023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를 발간했다고 6월 20일 발표했다. 2023년 한 해 동안 신규 병원체자원 1558주(391종)을 수집했고, 730주(314종)를 병원체자원 보존·관리목록에 등재했으며, 보건의료 연구자 등에 3352주(177종)를 분양했다. 병원체자원은 진단 기술 연구 활용으로 가장 많이 분양됐고,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속)과 살모넬라균(Salmonella 속) ▲진균은 칸디다균(Candida 속)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Betacoronavirus 속)가 주로 분양된 것으로 집계됐다. 2023년 연보에는 지난 한 해 확보한 병원체자원 및 분양 현황이 상세하게 소개됐으며, 분야별 병원체자원 전문은행과 관련된 정보를 비롯해 ▲시행계획 수립 ▲병원체자원 ▲정보시스템 개선 등에 대한 소식을 담고 있다. 또한, 보유 병원체자원 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패널자원 및 대체균주 개발과 분양 자원 활용성과 등이 수록돼 있다. 한편, ‘2023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연보’는 책자 및 전자파일로 국내 관련 기관에 6월
국내 최초로 실제 생물안전3등급 시설 내부를 그대로 재현한 교육시설이 마련됐다. 질병관리청은 27일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생물안전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생물안전3등급 실습교육시설’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생물안전3등급 실습교육시설은 고위험병원체 등 인체 위해성이 높은 감염성 물질을 다루는 생물안전3등급(BL3) 연구시설의 관리자와 사용자 및 유지보수 관계자 양성을 위한 교육시설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백신‧치료제 개발 등을 위하여 BL3 연구시설의 활용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했고, 관련 연구 및 이용자의 확대로 생물안전 실습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됐다. 이에따라 BL3 연구시설이 지속 증가해 왔으며, 규제 개선을 통해 생물안전 연구시설이 없는 개인이나 민간사업자도 사용계약을 통해 생물안전 연구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또한, 지난 코로나19 유행상황에서 BL3를 보유한 기관과 협력해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BL3 민간연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총 43건(’20∼’23년)의 BL3 연구시설 공동활용을 지원한 바 있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에는 지원대상 병원체를 코로나19 이외의 전 감염병 병원체로 확대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병원체자원 분양을 통해 감염병 연구 및 보건의료사업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은 2023년 분양자원 수요 동향 및 분양 현황을 8일 발표했다.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국가 생명 자원의 하나인 병원체자원을 수집·관리·분양하고, 감염병 관련 분야 연구개발 및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 따르면 2023년도에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분양·제공한 자원은 ▲세균 1835주(138종) ▲진균 70주(20종) ▲바이러스 726주(19종) ▲파생물질 721건 등 3352주(177종)이며, 총 389기관에 분양됐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109개 기관에 706주(바이러스 및 핵산형태) 분양된 것으로 집계됐다. 자원 활용 목적을 보면 진단기술 연구가 67.1%(2249주) 가장 많았고, 백신·치료제 연구가 17.5%(586주)였으며, 교육 10.9%(366주) > 정도관리 3.6%(122주) > 기타 0.9%(29주)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관 중 산업체 등 민간영리기관 59.6%(1998주)로 가장 많이 활용했고, 다음으로는 대학 및 비영리기관 24.3%(816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주 신규 세부계통 2주를 분양한다.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최근 국내에서 새로 분리된 코로나19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주 신규 세부계통 2주 ▲BA.2.75의 하위 세부계통으로 2월초 현재 국내 코로나19 검출률 50%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인 ‘SARS-CoV-2 GRA: BN.1, #NCCP 43439’ ▲재조합변이인 XBB의 하위 세부계통으로, 2월초 현재 미국 내 우점종 ‘SARS-CoV-2 GRA: XBB.1.5, #NCCP 43440’를 20일부터 분양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규 변이주를 포함해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 받을 수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병원체자원은 총 66주이며,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내 ‘병원체자원 온라인 분양창구’를 통해 분양을 신청하면 병원체자원을 분양받을 수 있다. 분양 신청 시 ▲분양신청 공문 ▲병원체자원 분양신청서 ▲병원체자원 관리·활용계획서 ▲시설·장비 보유 증명서 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분양 받은 기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취급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실험실 생물안전 가이드‘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한
지난 2022년 한 해 동안 총 510곳의 기관에 4925주(161종)의 병원체자원이 분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2022년 분양자원 수요 동향 및 분양 현황’을 30일 발표했다. 지난 2022년도에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보건의료 연구 및 산업체 등에 분양 ·제공한 자원은 ▲세균 2080주(143종) ▲진균 109주(24종) ▲바이러스 1038주(20종) ▲파생물질 1698건 등 총 4925주(187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2021년) 대비 23.5% 증가한 수치이며,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243개 기관에 1677주(바이러스 및 핵산 형태) 분양됐다. 자원 활용 목적별로는 진단기술 연구(77%)와 백신 및 치료제 연구(13%)로 많이 활용됐고, 진단기술 연구(50.5%)와 교육용(13.6%) 목적은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백신 및 치료제 연구(16.8%) 및 정도 관리(10.2%) 목적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분양 신청 기관별로는 전년 대비 국공립연구기관과 산업계는 각각 91.3%와 28.8% 증가한 반면, 대학 및 비영리기관은 2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국공립연구기관은 진단기술 연구 목적
국립보건연구원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생물자원은행 운영업무 수행이 국제표준(ISO 20387:2018)에 적격하다는 인정을 획득했다. 질병관리청은 국립보건연구원이 설치·운영하는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이 국내 최초로 국가 표준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생물자원은행 운영기관(KS J ISO 20387:2018)으로 인정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생물자원은행 운영의 일반 요구사항인 KS J ISO 20387:2018 운영 규정은 자원은행의 품질관리 요구사항과 자원은행의 적격성, 공평성 및 일관된 운영 등에 관한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규정한 국제 규격으로, 생물자원 및 관련 정보와 데이터의 수집, 준비, 보존, 시험, 분석, 분양과 관련된 활동 전체 과정이 포함됐다. 병원체자원의 국가 책임기관인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병원체자원의 수집·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국내외 병원체자원은행 네트워크를 구축해, 병원체자원의 확보, 자원화, 관리, 분양업무 등 수행 및 병원체자원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2022년 현재 병원체자원전문은행 수집 네트워크는 10개 기관이 참여 중이며, 분양 가능 자원은 세균, 진균,
2025년까지 유용 병원체자원 약 1만 3000주 이상 확보와 병원체자원 분양 활용 자원수를 연간 약 4000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의 첫 번째 종합계획이 수립됐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생물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 공유에 관한 국제적 협의(나고야의정서) 발효 이후, 국내 병원체자원에 대한 주권 강화 및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활용 촉진을 위해 2일 제1차 병원체자원관리종합계획(2021~2025) 및 2021년 시행계획을 수립·공포한다고 밝혔다. 병원체자원 책임기관인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보존가치가 있는 병원체를 수집해 병원체자원 보존·관리 목록에 등재·공개하고, 연구자 및 보건의료 산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분양하고 있다. 연간 병원체자원은 약 2400여주를 수집하고 있고, 7월 현재 등재 자원은 7235주이다. 병원체자원은행은 연간 500여개 기관에 세균 및 바이러스 약 3000주를 분양하고 있으며, 코로나19 바이러스 339기관에 1615주를 분양했다. 2017년 제정된 ‘병원체자원법’에는 5년마다 병원체자원관리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공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그동안 병원체자원 관리 전반에 대한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