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유방암·대장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K-CURE 암 공공 라이브러리 활용 경진대회가 개최된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해 10월 16일부터 12월 7일까지 이 같은 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K-CURE 암 공공 라이브러리’는 국립암센터가 ‘암관리법’에 따라 정부와 공공기관이 보유한 암환자 정보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격 및 검진 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이용청구정보, 통계청의 사망 정보 ▲중앙암등록본부의 암 등록자료 등을 연계한 198만명 규모의 빅데이터로, 이번 대회에서는 위암·유방암·대장암 빅데이터를 활용하게 된다. 이번 경진대회는 학생 등 청년들이 공공 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데이터 분석 및 연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으며, 이를 위해 대회용 목적에 한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 면제와 데이터 신청 절차 일괄 수행하는 등 데이터 활용에 필요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안전한 데이터 분석환경도 제공한다. 암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에 관심이 있는 학생 등은 개인이나 팀 단위로 참여할 수 있으며, 경진대회 누리집(https://kcurecontest.com)을 통해 대회 정보를 확인하고, 활
‘도약 인공지능(JUMP AI) 2023’을 주제로 신약개발 인공지능(AI) 경진대회가 개최된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월 7일부터 9월 25까지 ‘신약개발 인공지능(AI)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본 경진대회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공동 기획해 주최했으며, 인공지능(AI) 신약개발에 관심 있는 연구자와 개발자 및 학생이 새로운 주제와 데이터를 활용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신약개발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에 도전토록 함으로써 인공지능(AI) 신약개발 대전환을 가속화 할 경진대회라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경진대회에서 ‘화합물 대사안정성 예측모델 개발’에 활용될 데이터는 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관계부처가 육성 중인 14대 바이오 소재 클러스터의 합성화합물 분야 한국화합물은행에서 독자 생산한 신뢰도가 높은 고유 연구소재 특성 데이터로서 본 경진대회를 위해 처음으로 개방해 연구자들에게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관련 새로운 고가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본 경진대회와 관련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화합물 데이터의 안전한 공유 및 믿고 쓸 수 있는 데이터 활용 등’에 대한 아이디어 공모전도 개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이 지난 14일 ‘제22회 질 향상(QI)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회는 코로나19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서울백병원 유튜브 채널을 이용, 비대면으로 간소하게 진행됐다. 특히, 발표 도중 돌발 퀴즈 시간을 마련해 정답을 맞힌 참가자에게 상품을 주는 등 깜짝 이벤트도 진행돼 눈과 귀를 즐겁게 했다. 사전 QPS 위원 심사와 경진대회 심사위원 점수를 통해 수상팀이 선정된 이번 대회는 ‘투석간호사의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를 발표한 인공신장실·중환자실(AKICU)이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어, ‘Mammotome CP 개발’을 주제로 발표한 외과의 ‘가슴이 두근두근’ 팀이 최우수상에 선정됐으며, 정형외과와 6층 병동이 함께한 ‘무릎팍 도사’ 팀의 ‘Meniscus tear CP 개발’이 우수상을 차지했다. 아울러 의무기록실, 회복실·마취통증의학과(따뜻하게 지켜주세요), 약제부·원무부·내과·신경과·비뇨의학과·보험심사실·의료정보실·11층 병동(팔방미인) 연합팀이 장려상에 선정됐다. 대상에는 100만원 상금과 상장, 최우수상 50만원, 우수상 30만원, 장려상에는 20만원의 상금이 수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