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환경에서 다양한 문화적 특성이 있는 외국인 환자들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듈이 개발됐다.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나현주 부교수(교신저자), 서울성모병원 간호부 신미진 간호사(제1저자), 간호대학 김수정 조교수 연구팀이 외국인 환자들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모의실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방문하는 외국인 환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적 역량과 공감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추세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또한 2012년 중동 국가들과 의료 협약을 맺었고 꾸준한 환자 수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나현주 교수팀은 아랍에미리트 출신 환자들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횡문화 간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과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구체적으로 53명의 한국인 간호학과 학생들(통제군 26명, 실험군 27명)에게 프로그램을 시행했고, 시뮬레이션 중에 2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14개 팀이 지중해성 빈혈로 면역결핍증상을 가진 7살 아이의 엄마를 대상으로 감염관리와 예방교육을 실시하게 했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간호학과
서울대병원 간호본부는 오는 30일 오후 2시 코로나19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포럼은 코로나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주제는 ‘서울대병원 간호부문 코로나19 환자 간호시스템 구축과 미래 정책 제안: 경증에서 위중증 환자 간호까지’이다. 최전선에서 코로나19와 맞서 싸운 서울대병원 간호본부의 실무경험과 이를 기반으로 한 통찰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심포지엄은 기조강연과 세션1, 2로 구성됐다. 기조강연은 이경이 서울대병원 간호본부장이 맡았다. 경증환자부터 위중증 환자까지 코로나19 환자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소개할 계획이다. 세션1은 코로나19 환자 간호시스템 구축을 주제로 ▲코로나19 환자 현황 및 간호실무(김문숙 내과간호과장) ▲코로나19 환자 간호인력관리 및 향후 정책 제안(김은혜 특수간호과장) 순으로 진행된다. 코로나19를 대응하며 구축한 간호시스템 사례를 공유한다. 세션2는 패널토론으로, 다양한 보건의료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미래 간호정책을 논의한다. 김병관 서울대병원 진료부원장이 좌장을 맡아, 심미영 병원중환자간호사회 회장, 이상민 대한중환자의학회 기획이사, 조성현 서울대 간호대 교수, 양정석 보건복지부 간호정책과장, 신성식 중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