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부가 심각한 잇몸 질환이 있을 경우 조산아 출산 위험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이유로 일찍이 출산시켜야 할지는 아직 판단할 수 없다 는 보고가 나왔다. 알라바마 버밍감 소제 알라바마 대학의 죠퍼트 (Alice R. Goepfert) 박사 연구진은 의료원에서 분만한 139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잇몸 질환이 심한 임산부가 정상 임신부보다 조산 할 위험이 3배 높게 나타났다. 잇몸 질환은 치아에 형성된 치석에 기생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서 감염된다. 가벼운 염증에서 잇몸 출혈에 이르는 증세와 심한 경우 치아가 빠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잇몸 질환이 있을 경우 조산, 저 체중아 출산, 태아 성장 제한 기타 임신 합병증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잇몸 질환이 심장 마비 발작 위험을 유발한다는 보고도 이전에 있었으며 이는 잇몸 질환 세균이 혈액에 침입하면 신체 각 부위에 염증을 유발하고 태반에까지도 악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출산 시에 잇몸에 번진 세균과 상부 요로 염증 감염 지표와는 관련성이 없다고 이들은 설명하고 있다. 잇몸 질환 병균이 태반을 자극하여 조산을 유도하는 것으
당뇨병이나 심장 질환으로 진전되는 각종 대사 성 질환이 증가가 미국에서는 계속되고 있다. 대사 성 질환이란 고혈압, 고 혈당 및 콜레스테롤, 비만 등 심 혈관 질환과 제 2형 당뇨 병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 질병관리청 (CDC)의 포드 (Earl S. Ford) 박사 연구진은 국가 건강 영양 평가 조사 (NHANES) III (1988-1994)에 참여한 20대 남녀 6,436명과 1999-2000년 NHANES에 참여한 1,677명을 대상으로 역학 조사하였다. 대사 성 질환은 다음 3종의 질환이 있을 경우로 정의하였다. 즉, 비만, 트리그리세라이드 상승, LDL의 저하, 고혈압, 공복 시 혈당 증가. 나이를 고려하고서도 이들은 대사성 질환의 증가가 여성은 23.5% 남성은 2.2% 증가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여성의 증가는 고혈압, 비만 및 고 트리그리세라이드에 기인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를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영양을 개선하고 적절한 신체적 운동이 절대 필요하다 고 이들은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의료 관계자들이 이러한 질환 예방에 체중 조절이나 적절한 운동 실시 등에 적극적인 협조가 요망된다 (자료
고 농도의 1-취화 프로판 (1-BP) 증기를 장기간 흡입할 경우 심한 신경 손상을 유발한다 고 10월 5일 토론토에서 개최되고 있는 미국 신경 학회 연차 회의에서 유타 대학의 매저시크 (Jennifer J. Majersik) 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1-BP는 미국,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는 산업용 용매로 오존 파괴 화학물질의 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연구진은 쿳숀 용 접착 포말 생산 공장에서 일하며 1-BP 증기를 분무 접촉 작업 중에 수개월 노출된 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모두 신경 손상을 입어 발, 다리 및 근육이 쇠약해지고 경련을 일으키는 증세를 보였다. 5명은 보행이 어려웠고 가장 심하게 손상 받은 사람 가운데 2명은 노출 후 15개월만에 단 최소의 기능만이 회복되었고 아직도 보행에 도움이 필요하였다. 다른 3명은 계속 만성 신경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용매를 사용하고 그친 1일 후에 공장에서 채취한 공기 검체에서 1-BP가 130ppm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는 미국 환경청 기준 25ppm 안전 기준을 윗 돌았다. 공장의 공기 환기가 잘 되지 못해서 1-BP 농도
지난 10년간에 걸쳐 노인 심장 환자를 치료하는 풍선 수술이나 관상동맥 우회 수술 등은 증가 일 로에 있으며 수술 결과도 놀랍게 개선되고 있다 고 노스 캘로라이나 더햄 소제 듀크 임상 연구소의 피터슨 (Eric D. Peterson) 박사 연구진이 분석 발표하였다. 이들은 심장 풍선수술이나 우회 수술 등 심장 혈류 재생 치료를 받은 20만 명 이상의 성인에 대한 자료 분석에서 1991-1999년 사이에 75세 이상 노인 시술 환자의 수가 10%정도 증가했다. 또한 사망률은 모든 시술 환자에게서 획기적으로 감소하였다. 혈관 재생 시술에 관련된 병원 내에서의 사망 위험은 풍선 수술에서는 10년 생존 당 약 1%정도, 우회 수술에서는 약 2%정도 상승하였다. 75-85세 사이 발생한 이러한 위험 증가가 치료를 저해하는 요인은 되지 않는다 고 이들은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위험성은 85세가 넘으면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험 요인으로 나이만이 유일한 고려사항은 아니며 많은 요인을 각 개인에 따라서 강조해야 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자료: American Heart Journal, Sept
급성 심장 질환 환자에게 수혈할 경우 1개월 이내에 사망하거나 심장 마비 발작을 일으킬 위험이 3배 높게 나타났다. 이유는 아직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심장 수술 과정에 사용되는 혈액은 흔히 산소를 몸의 조직으로 전달해주는 일에 도움을 주는 아산화 질소와 같은 물질이 소실되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또한 수혈 혈액은 염증을 증가시키고 경색된 동맥을 더 수축시키며 이로 인하여 심장의 혈액 펌핑을 어렵게 만든다 고 보고 있다. 하여간에 전반적으로 24,000 명 이상을 상대로 한 3개의 연구 보고에서 수혈한 심장 환자가 30일 이내에 사망과 심장 발작 발생 율이 29%인데 반하여 수혈하지 않은 경우는 10%에 그쳤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수혈한 환자에서는 사망 위험이 8%인데 반하여 수혈하지 않은 환자의 사망 위험은 3%이었다. 수혈은 출혈이나 적혈구 감소에 의한 빈혈 환자에게 실시한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350만 명의 환자에게 혈액 1200만 단위가 수혈되고 있다. 수혈 방법은 심장 환자에게 통상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항 응고제를 투여하고 더 침습적인 방법으로는 막힌 동맥을
미국 콜롬비아대학의 58세 리차드 액셀 (Richard Axel) 박사와 시애틀 소재 후레드 허치슨 암 연구 센터의 버크 (Linda B. Buck) 박사가 코 안에 후각 감작 단백질이 후각을 어떻게 뇌로 전달하는 가에 대한 추적 연구로 지난 10월 4일 2004년 노벨 의학상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스톡홀름 카로린스카 연구소의 노벨상 심사 위원회 한손 (Goeran Hansson) 회장은 인간의 감각 가운데 하나를 발견한 업적에 상을 수여하게 된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고 선발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버크 여사는 노벨상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해 본 일이 없었다고 말하고 흔히 사람들이 당신은 노벨상을 받을 거야 라고 말할 때 자신은 그렇게만 되면 매우 영광이라고 생각해 왔다 고 수상 소감을 술회하였고 액셀 박사는 버크 박사와 노벨상을 공유하게 된 것은 매우 기쁘고 심심한 영광이라고 말하고 수상에 놀랐고 매우 행복하다 고 피력하였다. 자신의 연구가 앞으로 많은 과학자들에게 예컨대 말라리아를 전파하는 모기를 쫒기 위한 방충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991년 액셀 박사와 버크
낮에 하품하거나 운전 중 졸리거나 밤에 코를 크게 고는 사람은 수면 무 호흡 환자일 수 있다. 수면 무 호흡 증은 심장 질환과 기타 심각한 질환을 야기하며 자동차 사고를 야기할 위험이 7배 높게 발생한다. 수면 무 호흡 증은 잠자는 동안 목구멍 근육이 일시적으로 무너져 10-30초 동안 호흡이 멈추어지는 증세로 한시간에 10회 이상 숨을 쉬려고 잠에서 깨어나 매 아침 기상 시 뇌가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로하게 느끼게 된다. 미국에는 약 1800만 명이 수면 무 호흡 증 환자로 추정하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진단 받지 못하고 있다 고 국립보건원은 예상하고 있다. 환자들이 밤마다 숨쉬려고 애쓰는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며 가족이 코 골다가 숨이 막히는 등의 증세를 말하지 않으면 본인은 결코 알지 못하고 또한 의사를 찾지도 않는 실정이다. 수면 무 호흡 증은 중년 남성에게서 가장 흔한 증세이나 아동들도 편도나 인두 선이 비대해지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비만할 경우 무 호흡 증 위험이 높아진다. 가족 가운데 기도가 좁고 무 호흡 증이 있는 경우도 무 호흡 증세 위험이 높다. 매년 미국에서는 무
지중해 식 음식 즉, 식물성 기름, 견과, 생선이 풍부한 음식이 심장 병 및 당뇨병 뿐 아니라 담석 형성을 사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고 켄터키 렉싱튼 소재 켄터키대학 병원의 정 지차이 (Chung-Jyi Tsai) 교수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지난 14년간 추적 연구한 결과 식물성 기름 즉, 불포화 지방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할 경우 담석 형성 위험을 거의 1/5로 감소시킨 효과를 확인하였다. 담석증은 미국인 4명 가운데 1명이 이들의 생전에 발생하며 담석증은 복통 구토를 야기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기도 한다. 이들 연구진은 45,756명의 남성 치과의사, 채식주의자, 시력 측정사, 정골사 및 족병 치료사를 대상으로 1986-2000년 간 식생활 습관과 의료 병력을 추적하였다. 그러나 여성에게도 동일하게 해석 적용되는지는 알 수 없다. 담석 형성이 남녀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14년간 추적 조사 연구 기간에 2,323건의 새로운 담석증이 발병되었으며 불포화 지방산을 섭취하는 집단가운데 최고 1/5은 최저 1/5보다 담석 형성 위험이 18% 낮게 나타났다. 최고 집단은 불포화 지방
토마토 붉은 색깔을 나타내는 성분인 리코펜 합성 물질과 비타민 E를 생쥐의 전립선 증식에 병용 투여한 결과 종양의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고 화란 로텔담 소제 에라스무스 의료원의 림펜스 (Jacqueline Limpens) 박사 연구진이 제네바에서 개최하고 있는 학회에서 주장하고 있다. 이들 연구진은 인간의 전립선 암 세포를 주입한 생쥐를 대상으로 합성 리코펜을 저 및 고 용량을 단독 혹은 비타민 E와 병용 투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리코펜 저 용량에 비타민 E와의 병용 투여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종양의 증식을 투여 42일째에 73%로 감소시켰다. 현재 인체 실험도 진행 중에 있다고 한다. 따라서 리코펜과 비타민 E 병용투여가 전립선 암 예방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전립선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리코펜이 풍부한 채소나 과일 즉, 토마토, 파파야, 핑크 그레이프 및 워터 멜론과 비타민 E가 풍부한 맥아 유, 날 곡, 망고, 녹차, 견과 및 올리브 유를 섭취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2004.10.03.외신부 medienglish@medifonews.com)
대장암 환자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임크론 시스템 회사 제품인 에르비툭스 (Erbitux) 투여환자가 여드름 같은 피부염이 발생하는 것은 오히려 이 약물의 치료 효과가 발현되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벨지움 루벤 소제 가스투이스버그 대학의 캇셈 (Eric Van Cutsem) 박사 연구진이 제네바에서 개최되고 있는 분자 표적 및 암 치료에 대한 EORTC-NCI-AACR 심포지움에서 보고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2회의 화학요법 치료에 실패한 말기 장암 환자 346명을 대상으로 상피 성장 인자를 억제시켜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에르비툭스 (cetuximab)와 irinotecan을 병용치료 하였다. 87% 환자에게서 피부염이 발생하였으나 가장 심각한 염증이 있는 환자들은 생존기간의 중위 수는 13개월로 나타난 반면 약간의 염증 반응을 보인 환자의 생존 기간은 4.9개월이었다. 피부염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의 생존 기간 평균은 2.1개월이었다. 이는 피부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날수록 생존 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연구진은 이 약물의 피부 염증 반응과 약의 반응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려고 한다. (2004.10.02.외신
관절 신경통 약 비옥스가 심장 마비 발작과 뇌졸중 부작용 위험을 배가시킨다는 연구 보고가 나온 후 지난 9월 30일 발매회사인 머크 제약회사는 이의 시판을 회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시장 가치로 250억불이 손실을 볼 것이며 회사의 주가는 27% 하락하였다. 비옥스는 1999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약 8400만 명이 관절염 신경통에 사용하고 있으며 머크 제약회사의 매출 4위를 기록하고 있는 제품으로 작년에는 25억 5000만 불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소위 COX-2 억제제로 알려진 신경통 진통 소염제로는 화이자의 세레브렉스 놀바티스 회사의 프렉시지 (Prexige)가 이 계통의 약으로 알려졌다. 세레브렉스와 기타 유사 약물은 아직 심 혈관 손상을 유발하지 않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비옥스의 시판 회수는 다른 여타 계열의 약물에도 검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고 예견하고 있다. 미국 FDA는 다른 COX-2 억제 소염 진통제도 조사 대상으로 주시하고 있다. 조기 임상 실험에서 심장 마비 발작이나 뇌졸중에 대한 위험성이 높게 나타난 후 비옥스에 대한 염려는 수년간 쌓여 왔던 것이다. 그러나 머크회사는 약
딸아이들의 여가 시간을 보내는 양태는 이들의 부모들이 어떻게 행동하는 가에 따라 그대로 닮는다고 한다. 특히 8-10세 여아인 경우 엄마의 활동 선택에 그대로 추종하는 반면 아빠의 활동이 성장한 딸의 활동에 영향력을 많이 끼친다고 한다. 펜실배니아 유니버시티 파크 소제 펜실배니아 주립대학의 멕헤일 (Susan M. McHale) 박사 연구진의 조사에서 아이들의 활동에 엄마가 영향을 미치게 하나 아빠가 매우 중요하다 고 지적하였다. 딸들이 계속 고집하고 있는 행위들은 아버지의 흥미 거리에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딸아이들은 부모들이 다른 성의 상대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엄마가 스포츠에 관심을 보이면 딸들은 아버지가 어떤 활동을 하든 간에 스포츠를 더 좋아한다는 것이다. 이들 연구진은 8-15세 사무직 종사 중산층 가정의 300 명의 소녀를 대상으로 2년간 추적 조사하였다. 매년 한번 소녀들을 접촉하여 여가를 어떻게 지냈는지를 질문하였다. 결과, 소녀들의 활동에 대한 흥미는 13세가 될 때까지는 소년들과 마찬가지로 스포츠 등을 좋아하다가 17세에서는 감소되었다. 한편 인형이나
운동하기 전 수일 혹은 수준 전에 정기적으로 스트렛칭을 실시할 경우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고 캐나다 퀘백의 몰티머 데이비스 경 유대 종합 병원의 쉬리어 (Ian Shrier) 박사가 주장하고 있다. 운동하기 전에 손상 예방으로 스트렛칭을 권유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트렛칭이 실제 손상 위험 예방에 도움이 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운동 기능 발휘에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23개 연구 보 문을 고찰한 결과 22개 보 문에서 운동 전 실시한 스트렛칭이 실제 운동 결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농구 선수의 기술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4개의 연구 보 문에서 스트렛칭이 달리기 속도를 개선시켰다한다. 그러나 정기적인 스트렛칭이 아니고 운동 전 급작스런 스트렛칭은 운동력이나 높이 뛰기 등에 개선효과는 없었으며 달리기 속도에 대한 결과도 오히려 역작용을 보였다. 그러나 9개 연구 중 7개 연구에서는 정기적으로 스트렛칭을 할 경우 운동 기능 발휘에 개선 효과를 보였다. 높이 뛰기, 달리기 속도와 힘을 개선시켰으며 아무도 정기적인 스트렛칭이 운동 기능 발휘 개선에 저해
목소리로 그 사람의 섹스 활동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고 뉴욕 포우킵시 소제 바사르 대학 (Vassar College)의 휴즈 (Susan M. Hughes) 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남녀 목소리가 높은 매력 점수를 나타낼 때 목소리 매력 점수가 낮은 사람보다는 성 관계 배우자가 더 많고 첫 성 경험 나이가 젊다는 것이다. 이처럼 각개인의 목소리가 성 관계 가능한 상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노출시킨다는 것이다. 이들 연구진은 무명의 남녀 149명의 녹음 된 목소리를 5 등급으로. 즉, 매우 매력적이지 않은 것에서 매우 매력적인 목소리로 분류하였다. 평균 6명의 남자와 6명의 여자 목소리를 평가하였다. 참가자들의 어깨, 허리, 둔부 기타 성 경력에 대한 여러 가지 자세한 사항을 평가하였다. 이들이 성 경력에 대하여 평가하는 목소리를 비교할 때 남녀의 목소리가 반대 성 평가 자들에 의해서 매우 매력적이라고 판단할 경우 이들은 목소리가 매력적이지 않은 사람보다 성행위를 처음 실시한 시기가 더 젊었을 때이었고 많은 성 상대자가 있으며 많은 성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소리 매력이 여성에 있어서
영국에서 중년, 화이트칼라 사무원들의 당뇨 병 발병 위험 요인으로 사회적인 지위가 문제라 고 런던 대학의 쿠마리 (Meena Kumari) 박사 연구진이 조사 분석하고 있다. 사회 심리적 요인으로 직업적 긴장, 낮은 사회적 보호와 우울증이 심 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인정한 바 있으나 이러한 요인이 당뇨병 유발 관련성은 아직 연구 확인된 바 없었다. 이들 연구진은 1985-1988년간에 35-55세 되는 총 5,950명의 남성과 2,680명의 여성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균 10.5년의 추적 조사 결과, 이들 가운데 약 4%가 당뇨병으로 진단 받았다. 위험 요인은 고용 등급과 관련이 있었다. 즉, 지시를 받는 사무 업무와 사무 보조 등급의 남자 9%와 여자 7%가 당뇨병인 반면 업무를 지시하는 사무 집행 등급의 경우 남자는 3% 여자는 2%에 그쳤다. 여자가 아니고 남자 가운데 다른 당뇨병 발병 위험 요인 즉, 인종, 가족 역, 체중, 육체적 활동 및 혈압 등을 고려하고서도 고용 등급이 당뇨병 발병 관련성에 획기적인 위험요인으로 확인된 것이다. 남자들의 위험성은 높은 “노력 대가에 불균형”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