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올바이오파마(공동대표 정승원, 박수진)가 ‘2025년 국가산업대상’의 연구개발 부문에서 2년 연속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국가산업대상’은 산업정책연구원이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공동 후원하는 시상으로, 기술혁신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에게 수여된다. 한올바이오파마는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과 시장성을 동시에 인정받으며, 국내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와 국가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특히 자사 중심의 연구개발(R&D)을 넘어, 전략적 오픈콜라보레이션(Open Collaboration)을 통해 글로벌 기술 생태계를 선도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최근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뮤노반트(Immunovant)에 기술이전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Batoclimab)’과 HL161ANS를 통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바토클리맙은 지난 3월 중증근무력증에 대한 임상 3상 결과에서 경쟁사 대비 우수한 효능을 보이며 효능, 안전성, 편의성 모든 면에서 HL161ANS가 동 계열 최고 치료제, 일부 적응증에서는 계열 내 최초 치료제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입증했다. HL161ANS는 지난해와 올해 초
한국유씨비제약(대표이사 황수진)은 자사의 인터루킨-17A,17F 이중 억제제인 빔젤릭스(성분명: 비메키주맙) 오토인젝터주가 최근 파리에서 열린 ‘2025 파마팩 어워즈(Pharmapack Awards)’에서 ‘환자 중심 디자인(Patient-Centric Design)’ 부문 디자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파마팩 어워즈’는 제약을 비롯한 동물약품, 생명공학 기업의 포장 또는 약물 전달 솔루션 분야에서 우수성이 인정되는 제품에 부문별 상을 수여하는 시상식이다. 지난 1997년부터 시작해 현재 75개국 3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는 행사로 발전했으며, 매년 재료와 디자인, 기술에서 진정한 혁신을 보여주는 제품들을 공개, 전시하고 있다. ‘2025 파마팩 어워즈’의 시상은 ‘의약품 배송 및 기기 혁신’ 부문, ‘패키지 혁신’ 부문, ‘스타트업 혁신’ 부문, ‘에코 디자인’ 부문, ‘환자 중심 디자인’ 부문, ‘올해의 여성’ 부문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눠 진행됐다. 빔젤릭스 오토인젝터주 패키지는 이 중 환자 또는 보호자의 안전과 경험 및 순응도를 개선한 디자인에 상을 수여하는 ‘환자 중심 디자인’ 부문에서 디자인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뒀다. 이 상은 충족되지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병원장 송현) 산부인과 김암 석좌교수가 건강한 임신·출산 환경 조성과 의학 발전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종근당 존경받는 병원인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김암 교수는 지난 16일 오후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종근당 존경받는 병원인상 시상식에서 병원인 부문 상을 받았다. 김 교수는 고령·고위험·다태 임신 및 조산, 태아 치료 분야 국내 최고 권위자로, 1983년 산부인과 전문의 자격 취득 후 현재까지 남다른 소명 의식으로 여성 건강 증진과 안전한 출산을 위해 헌신했다. 특히, 대한주산의학회장,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장으로 우리나라 주산의학이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올해부터 대한산부인과학회장을 맡아 활발한 사회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수상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환자들을 돌본 의정부을지대병원 모든 직원이 함께 이룬 성과”라면서 “‘건강한 임신과 안전한 분만은 하늘이 주신 축복이자 대한민국의 희망’이라는 신념 아래 모든 임신부가 행복하게 아기와 만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편, 종근당 존경받는 병원인상은 대한병원협회와 병원신문, 종근당이 공동 제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중환자외상외과 박훈성 교수가 지난 4월 10일부터 11일까지 부산 BEXCO에서 개최된 국제 학술대회 ‘28th International Congress of Korean Society of Acute Care Surgery’에서 Yu AWARD(YOUNG SURGEON AWARD)를 수상했다고 17일 전했다. Yu AWARD는 외상중환자외과 분야의 발전에 공헌할 젊은 연구자 1인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박훈성 교수는 이번 수상을 통해 해외 중환자실 및 외상센터 연수 기회를 얻게 됐다. 박훈성 교수는 경기북부 권역외상센터에서 근무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중환자외상외과 및 서울시 중증외상최종치료센터에서 근무하며 외상환자와 외과계 중환자 치료에 힘을 쏟고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수상은 큰 격려이자 책임으로 다가온다. 앞으로도 임상과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다케다제약(대표이사 박광규)은 김미승 신임 항암제사업부 총괄(Head of Oncology Business Unit)을 4월 15일 자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신임 김미승 총괄은 20년 이상 국내외 제약 및 의료 분야에서 항암제를 중심으로 마케팅, 메디컬, 학술영업 등 주요 기능을 두루 수행해온 전문가다. 특히 혈액암과 고형암 치료제의 제품 전략 수립과 실행 전반을 주도하며, 부서 간 협업과 성과 창출에 강점을 보여왔다. 김 총괄은 최근까지 암젠 코리아의 항암제사업부 총괄을 맡아 신제품 도입과 브랜드 성장 전략을 이끌며 환자 중심의 접근 방식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역량을 바탕으로 치료 접근성 확대에 기여해왔다. 그 이전에는 다양한 다국적제약사의 항암제사업부에서 마케팅, 메디컬 및 영업 직무를 수행하며 시장 진입과 성과 창출을 주도했다. 또한, 삼성서울병원과 국립암센터에서 임상 약사로 재직하며 환자 치료 현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현장 기반의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김 총괄은 중앙대학교에서 약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후 성균관대학교와 인디애나대학교 켈리경영대학원이 공동 운영하는 글로벌 Executive MBA 과정을 이수하며, 복합적인
*3급 승진급여기준과장 윤병철
대한신경외과학회(이사장 김긍년, 회장 김대현)는 우리나라 최고의 혈관부문 신경외과 의사에게 주는 '봉생김원묵기념학술상' 올해 수상자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이시운 교수를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상은 우리나라 초기 신경외과 분야를 이끌었던 봉생(奉生) 김원묵 박사의 뜻을 기리기 위해 대한신경외과학회가 2009년 제정한 후 매년 춘계학술대회에서 혈관 부문 최우수논문에 시상해왔다. 올해로 17번째다. 이시운 교수가 주목한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은 특별한 원인 없이 뇌혈관의 내벽이 두꺼워져 혈관이 막히는 난치성 희귀질환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 호발한다. 이번 연구는 양측 비출혈성 모야모야병 환자 174명을 대상으로 한쪽 뇌 반구에 혈관재건술을 시행한 후, 수술을 하지 않은 반대측 병변의 악화 및 진행 가능성과 그에 대한 예측 인자를 분석하였다. 평균 45.3개월간 추적한 결과, 전체의 32.8%에서 반대측 병변이 악화되었으며, 연간 악화률은 7.7%였다. 특히, 비만(BMI ≥ 25)인 경우 연간 악화률은 12.1%로, 정상체중군의 4.0%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술 후 체중과 고지혈증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근
아주대병원(병원장 박준성) 신경외과 노성현 교수팀이 지난 3월 22일, 대한척추골다공증연구회 제12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최우수학술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노성현 교수와 윤제휘 임상강사가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척추질환 환자에서 악력과 척주 주변 근육량 간의 상관관계 연구” 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연구팀은 성인 척추 수술 환자 133명을 대상으로 악력(hand grip strength, HGS)과 다양한 허리 근육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것으로, 악력이 척추질환 환자의 근육기능을 평가하는 유효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연구 결과, 척주 주변 근육(paraspinal muscle)과 악력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대요근 근육량이 악력과 가장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성현 교수는 “악력을 통해 특정 허리 근육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척추 질환의 진행 예측 및 치료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는 중요한 발견”이라며, “이번 연구성과가 임상 현장에서 환자의 맞춤형 치료 계획 수립과 재활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의료대응지원과장△서기관 최종희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혈액제제 ‘알리글로(ALYGLO)’가 제106회 ‘IR52 장영실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IR52 장영실상’은 신기술 제품과 기술혁신 성과가 우수한 연구 조직을 발굴 및 포상해 기업의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개발자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한 시상제도이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및 매일경제 주관하에 총 52주 동안 매주 1개 제품을 시상하고 있다. 이번에 수상한 제품은 ‘알리글로’로 선천성 면역결핍증에 사용하는 정맥투여용 면역글로불린 10% 제제이다. GC녹십자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제품으로, 국내 신약 중 8번째로 FDA 허가를 받았다. GC녹십자는 면역글로불린 정제 공정에 독자적인 기술 CEX 크로마토그래피(양이온 교환 색층 분석법)를 도입하면서 제품의 안전성을 극대화했다. 해당 기술은 혈전색전증 발생의 주원인이 되는 혈액응고인자(FXla)등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번 ‘IR52 장영실상’ 수상으로 알리글로 개발의 기술력과 혁신성을 다시 한번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GC녹십자 관계자는 “혈액제제는 대규모 설비 투자와 생산 경험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공급 부족 현상이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안과 한동진 교수가 지난 4월 12일 해운대백병원에서 열린 ‘대한성형안과학회 춘계 증례토의’에서 ‘우수증례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한동진 교수는 이번 학회에서 위눈꺼풀에 발생한 메르켈세포암종(Merkel cell carcinoma)의 진단 및 치료 사례를 발표했으며, 현장 투표를 통해 우수증례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한동진 교수는 “눈꺼풀에 발생한 메르켈세포암종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경부 림프절을 통해 빠르고 공격적인 전이가 되는 암으로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환자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며, “앞으로도 희귀 안과 질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한국룬드벡이 지난 1일 한국 법인 설립 이후 23년 만에 최초 외국인 최고경영자(CEO)로 브래드 에드워즈(Brad Edwards)를 선임했다. 브래드 에드워즈 신임 대표는 쉐링플라우(Schering-Plough), 화이자(Pfizer), 샤이어(Shire), 다케다(Takeda) 등 다양한 다국적 제약회사에서 근무하며 약 25년 동안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쌓았다. 최근에는 싱가포르에서 다케다의 혈장 유래 치료제(plasma derived-therapies) 신규 시장 발굴 책임자로 근무했다. 평소 희귀질환 분야에 관심이 많았던 브래드 에드워즈대표는 지난 2014년 희귀(특수)질환 전문제약사 샤이어로 이직 후, 샤이어의 풍부한 희귀질환 포트폴리오를 통해 많은 경험을 쌓았다. 이후 다케다가 샤이어를 인수한 후, 그는 다케다 호주와 뉴질랜드의 총괄 책임자로 임명됐으며, 산업 협회 이사회 멤버로서 호주에서 환자들의 희귀질환 치료제 접근성 개선을 위한 외부 정책 환경 형성에 기여한 바 있다. 이번 신임 대표 선임을 통해 룬드벡은 그의 폭넓은 경험과 희귀질환 분야에서의 깊이 있는 지식이 현재 한국룬드벡의 신경계 희귀질환(Neuro-rare) 분야로의 확장을 준비하는
*15일, *빈소 서울대병원, *발인 4월17일, *(02)2072-2091
대한병원협회(회장 이성규)와 종근당(대표이사 김영주)이 공동으로 제정해 시상하고 있는 ‘종근당 존경받는 병원인상’ CEO부문에 유태전 인봉의료재단 이사장이 선정됐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은 종근당 존경받는 병원인상은 CEO부문과 병원인 부문으로 나눠 선정위원회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해 오고 있다. 병원인 부문에는 김암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의무원장, 박현미 가천대학교 길병원 기획조정실장, 신동욱 차의과학대학 구미차병원 기획실장, 이진섭 세브란스병원 경영지원팀장, 서영권 청주효성병원 임상지원부 이사 등 5명이 수상자로 선정됐다. CEO 부문에 선정된 유태전 이사장은 검찰 의료 자문위원과 국가배상심의위원으로 약 40년간 법질서 확립에 노력했으며, 민주평화통일 자문위원으로 활동을 해 왔다. 또한 30년 이상 국제 라이온스협회(총재 역임)에서 헌신적인 봉사활동을 했다. 유 이사장은 의료계 전문지인 의계신문 회장으로서 올바른 의료정책 및 의학정보 제공을 통해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했다. 유태전 이사장은 전국중소병원협의회장, 서울특별시병원회장, 대한병원협회 임원 및 회장 등을 역임하며, 병원 의료서비스 산업 발전과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및 재정 안정화에도 크게 공헌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대장항문외과 김혜진, 최규석 교수팀이 지난 4월 4일부터 6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58차 대한대장항문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비디오 학술상(Best Video Award)’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김혜진·최규석 교수팀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Optimal strategies to minimize the risk of anastomotic leakage: Prerequisites for safe anastomosis”를 주제로 직장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인 ‘문합부 누출’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술 전략을 소개하였다. ‘문합부 누출’은 수술 후 약 5~20%의 비율로 꾸준히 보고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보호 장루를 일시적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장루 자체로 인한 합병증, 삶의 질 저하, 추가 수술에 대한 부담 등 다양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문합부 누출의 다양한 위험 인자 중에서도 수술 중 조절 가능한 기술적 요인(modifiable technical factors)에 주목하여, 로봇 수술 기반의 문합부 강화 전략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