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세 여성 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심와부 둔통, 소화불량 발생하였다. 본 내과에 내원 전 타 내과 의원에서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상 위궤양(조직검사 양성)으로 진단되었다. 궤양 치료로 처음에는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1개월 전부터 구역질이 생기고 식욕부진, 소화불량이 발생하였다.내원 시 vital signs은 정상이고 이학적 검사상 특이소견 없었다. 초음파 검사상 우하복부 종괴가 발견되어 복부 CT를 의뢰하였다. ▶ Abdomen CT 소견1. Cecum에 4.7×3.3 cm 크기의 intraluminal mass가 보이고 pericolic infiltration은 저명하지 않다.2. Cecum에서 발생된 GIST으로 추정된다.▶ 복부 수술로 맹장에서 발생한 GIST로 진단되었다.
84세 남성 환자로 심와부 둔통과 소화불량을 주소로 내원했다. ▶ 급성 충수염과 충수 주위 농양을 의심하여, 개복수술을 시행1. 수술1) 맹장과 충수돌기를 둘러싸고 있는 국한성 농양이 관찰되고 있다.2) 충수돌기의 근부와 인접한 맹장벽의 천공성 병변이 보인다.3) 충수돌기는 종대되어 있고 맹장벽의 부종이 관찰되고 있다.2. 수술명1) 충수돌기 절제술 2) 맹장 천공 부위의 봉합3. Surgical pathology report1) The gross specimen consists of an appendix measuring 3.5 cm in length and 1.0 cm in maximum diameter.The serosa of the appendix is markedly congested, thickened and covered by patchy fibrinopurulent exudate.2) Appendix, appendectomy : Cystadenoma, mucinous and serosal abscess.
35세 남성 환자로 내원 3일 전부터 소량의 연변과 제부 주위 둔통이 발생하여 인근 의원을 방문하여 장염 진단 하에 약물치료를 하였으며, 내원일 오전부터 하복부 통증으로 발전하였다.내원 시 vital signs은 정상이고 하복부 압통이 있으나 국소적 압통보다는 범위가 넓고 우하복부에서 방광 주위까지 퍼져 있었다. ▶ laparoscopic appendectomy 시행1. 수술 소견1) severe necrotic change on appendiceal tip 2) intact appendiceal base3) micro perforation on appendiceal tip 4) 7.5×2.0 cm size2. 수술 후 진단: Perforated appendicitis with periappendiceal abscess ▶ Surgical pathology report1. Gross: The specimen received in formalin is a product of appendectomy measuring 7.0 cm in length and 0.6 cm in diameter. The wall of appendix appear to be edemat
65세 여성 환자로 내원 1일 전부터 심와부 둔통, 소화불량 증세가 발생하였고, 내원일 오전부터는 하복부 경도 둔통으로 진전되었다. 내원 시 우하복부 경도 압통이 있었으나 심하지는 않았다. ▶ 진단: 급성 화농성 충수염(Acute suppurative appendic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