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들 축농증이라고 부르는 부비동염의 발생이 시기적으로는 3, 4월과 12월에 가장 많고 연령별로는 소아·아동 층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2년 기준 부비동염 전체 진료인원은 563만 8,380명이었으며 이중 9세 이하 소아·아동은 178만 2,654명으로 전체 진료인원의 31.62%를 차지하는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연령대별 인구수를 고려해 분석해보면 10만명당 9세 이하 진료인원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3만 9,869명, 3만 7,657명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정현 교수는 부비동염에 대해 “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9세 이하 소아·아동의 경우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약해 감기에 잘 걸리기 때문에 부비동염 또한 더 많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또한 “소아·아동의 경우 부비동의 입구가 성인에 비해 작기 때문에 코의 점막이 조금만 부어도 더 좁아지는 것도 소아․아동에게 많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부비동염’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대체로 3, 4월과 12월에 많고, 8월에 가장 적었다.
장정현 교수는 “부비동염은 감기의 영향을 받는 질환으로 환절기가 되면 감기에 더 많이 걸리기 때문에 3, 4월에 진료인원이 많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진료비는 외래와 약국의 비중이 크고 입원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2012년 기준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4,753억원이며, 진료형태별로 외래는 2,411억원, 약국은 1,933억원이었고, 입원은 409억원이었다.
2012년 ‘부비동염‘ 으로 인해 입원한 인원 중 9세 이하는 수술 진료보다는 비수술 진료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 입원 진료인원 중 수술 진료인원은 비수술 진료인원의 6%이고, 진료비는 11%인 반면 10대 이상 다른 모든 연령에서는 수술 진료인원이 비수술 진료인원보다 많았다.
장정현 교수는 “소아는 성인과 달리 코 안의 조직들이 성장하는 단계에 있으므로 수술적인 치료에 의해 조직의 발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수술에 의한 외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얼굴뼈의 성장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아는 수술 보다는 비수술 진료가 많다”고 말했다.
또한 “부비동으로 인한 심한 합병증이 있다면 연령에 관계없이 수술을 진행해야 하나, 일반적으로는 비강 구조의 발육이 완성되는 17세 정도 이후에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정현 교수는 ‘부비동염’ 의 원인, 치료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