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신약개발 정보제공 ‘제약산업정보포털’ 오픈

진흥원, 제약사 신약개발 및 글로벌 진출 도움 기대

보건산업진흥원이 제약업계에 보다 편한 정보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제약산업정보포털을 구축·오픈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고경화)은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과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신약개발 전주기 관련 정보를 한 번에 제공하는 제약산업정보포털(www.epharmakorea.or.kr)을 13일부터 오픈했다.

포털은 임상시험, 의약품 인허가, 해외시장 동향 등 신약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정보들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제약기업들을 위해 제작됐는데 신약개발 전주기에 걸친 정보와 해외시장 정보를 한곳에서 찾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정부차원의 실질적인 신약개발과 해외진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번에 오픈하는 포털은 임상시험, 의약품 인허가, 해외시장 동향 등 신약개발 전주기 필수정보를 ‘원 클릭’으로 모든 것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홈페이지에서는 ▲R&D정보 ▲비임상 및 임상 정보 ▲인허가(RA)정보 ▲약가정책 및 동향정보 ▲시장정보 ▲인프라 ▲공지 및 발간자료 등 신약개발을 위한 전주기 관련 자료들이 담겨있어, 신약개발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진출을 계획하는 제약기업들이 제약관련 각종 정보를 찾기 위해 수많은 정부기관 홈페이지와 국내외 사이트들을 오가는 번거로움 없이 국내외의 정확한 최신 정보들을 포털을 통해 빠르게 획득할 수 있다.

또 커뮤니티를 통해 개인이나 제약기업 간의 정보교류가 가능하도록 만들었으며, 특히 혁신형제약기업 전용메뉴 구성으로 혁신형제약기업의 소개와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보다 전문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진흥원 관계자는 “제약정보포털 오픈으로 신약개발 전주기 정보 인프라 강화와 사용자 중심의 체계적 정보서비스 채널이 구축되고 Open Innovation 실현을 위한 정보교류의 장이 마련되기를 바란다”며 “진흥원은 앞으로 포털의 활성화를 위해 가치 있는 최신정보 업데이트와 새로운 콘텐츠 개발에 힘쓰며 국내제약업계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최선을 다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진흥원 김삼량 보건산업진흥단장은 “지난해 예산 1억을 투입해 어렵게 만들었다. 진흥원 정보수집의 노력이 결집됐다”며 “올해는 예산이 3억으로 증액돼 고도화 작업 및 컨텐츠 확대 등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약산업 정보 수요조사 결과, 신약 전주기 정보 획득 시 전체 평균, 대·중·소기업 모두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가장 많이 획득하며, 전문지/간행물과 유료사이트 순으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정부포털은 식약청, 특허청, 심사평가원 순으로 나타났는데 정부포털 이용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워하며, 제공되는 내용이 단편적이어서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것으로 지적돼 정부포털에 대한 접근 경로를 일원화하고 콘텐츠 분류 체계 및 검색을 통해 사용자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 신약개발 시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는 신약 후보 물질 발굴 및 임상, FDA 승인 및 전임상, R&D 통향 및 비즈니스 파트너쉽 순으로 나타났는데 후보물질 발굴과 임상에 대한 콘텐츠 확보 및 신약개발 전주기 별 콘텐츠 확보를 통해 단계별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 구축시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로는 최신 해외 신약개발 동향, 해외 신약 허가정보, 국내 신약개발 동향, 해외 특허현황, 기술거래, 공동투자, 기업합병 등으로 나타나 포털 구축 후 콘텐츠 연계시 해외 정보 확보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신약 전주기 포털 구축을 통해 정보 접근 경로를 통합해 매체 별 콘텐츠에 대한 접근 및 활용을 단순화의 필요성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