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잇따른 의사 행정처분, 제약영업 더 얼어붙나

업계 대표 동아제약 리베이트 결과에 파장 확산 우려

단일 리베이트 사건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인 100여명의 의사가 사법처리 되면서 의약계 전반에 적지 않은 파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당회사인 동아제약은 업계 1위이면서 제약협회 이사장사로 대표성을 가진 업체인 만큼 충격의 여파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더구나 의료계가 리베이트 근절선언을 통해 영업사원 출입금지 움직임을 확산하는 상황에서 발표된 이번 결과로 얼어붙은 제약업계 영업환경이 더욱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반장 고흥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장)은 동아제약으로부터 불법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의료법 위반)로 김모(46)씨 등 의사 119명과 병원장 1명, 병원 사무장 4명 등 총 124명을 형사 입건했다고 10일 발표했다.

또 검찰은 쌍벌제 시행 이전 리베이트를 받아 면허정지 등 행정처분 대상이 되는 1,300여명을 관계부처인 보건복지부에 통보했다.

지난 2년간 의료계 리베이트 사건으로 기소된 208명과 행정처분 대상 6,100명 가운데 이번 동아제약 사건이 차지하는 비중만 기소 기준 50% 행정처분 기준 20%를 차지하는 대규모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선 영업현장에서는 검찰 조사가 시작된 지난해 말부터 의사들 사이에서 동아제약에 대한 거부감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상위제약사 영업담당자는 “현장에서 자주 마주치던 동아제약 영업사원들이 어느 순간부터 모습을 감췄다. 회사 내부에서도 상황의 심각성을 크게 느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처방약을 타 회사 품목으로 변경하는 사례가 나타나 회사의 신뢰도에 치명적인 타격을 받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건은 다른 회사도 아닌 제약업계를 대표하는 동아제약이 연루됐다는 점에서 우려감이 높다. 이같은 영업사원 거부 현상이 업계 전반으로 번지는 최악의 경우는 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렇게 결론이 난 상황에서 의료계로부터 비난의 대상이 된 회사 대표가 제약협회 이사장 자리에 더 머물수 있겠냐”며 “이번 일에 대해 동아제약이 책임있는 행동을 보여 업계 전체로 불신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동아제약 결과를 뒤이어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CJ제일제당의 의료인 처분결과도 발표될 예정이라 제약업계에는 악재가 겹치는 형국이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CJ제일제당이 266명의 의사들에게 45억원 상당의 리베이트를 뿌린 혐의를 적발하고 의사 100여명을 대상으로 소환조사를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