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맥스마빌’ 임상…한국인 최적 골다공증약 입증

유유제약, 국내 임상 5건 공개… 학계 긍정적 평가


“‘맥스마빌’은 한국인에 적합한 골다공증 치료제임과 동시에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약제다”

유유제약은 ‘맥스마빌 학술좌담회’가 연세의대 임승길 교수를 좌장으로 최근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열렸다고 4일 밝혔다.

맥스마빌정은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 5mg/day와 활성형 Vitamin D(Calcitriol 0.5㎍) 를 세계 최초로 복합한 개량신약으로 2004년 발매돼 올해로 10년이 됐다.

이번 좌담회에서는 맥스마빌정의 임상 연구를 주도하신 연구자 분들이 직접 참여해 임상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 논의 했으며 국내 신약 개발과 관련한 체계적이고 다양하며 동양인에게 적합한 약물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실시한 model case로서 학계의 주목을 얻었다.

정윤석 교수(아주의대, 아주대병원 내분비내과)는 한국인에서 1일 알렌드로네이트 5mg용량의 적정성 확인을 위한 PK Study에 대해 발표했는데, 알렌드로네이트 1일 5mg이 한국인에서도 일본인과 유사하게 효과와 안전성을 고려한 적절한 용량일 수 있음이 제시됐다.

원예연 교수(아주의대, 아주대병원 정형외과)는 알렌드로네이트와 칼시트리올 고정용량 복합제의 장기간 복용이 난소가 제거된 흰쥐의 해면골 미세구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발표했다.

이번 연구 결과로 알렌드로네이트와 칼시트리올의 경구용 고정용량 복합제의 장기간 투여가 해면 골 미세구조의 약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유미 교수(연세의대, 신촌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는 한국인의 초기 유방암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 아로마타제 억제제(aromatase inhibitor, AI)로 야기된 골손실에 대한 맥스마빌정의 예방효과에 대해서 발표했다.

연구결과, 맥스마빌정을 투여한 시험 군과 대조 군의 BMD 차이는3.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알렌드로네이트 5mg과 칼시트리올 0.5㎍ 복합제(맥스마빌정)를 사용하면 요추의 골밀도 감소를 예방 할 수 있다고 입증됐다.

박기현 교수(現 연세의대 명예교수, 안양샘병원 산부인과)의 ‘Sarcopenia and Osteoporosis : A hazardous duet in the elderly woman’에 대한 임상 결과는 유유제약의 하종렬 연구소장을 통해 소개됐다.

이번 연구에서 알렌드로네이트 5mg과 칼시트리올 0.5㎍ 복합제(맥스마빌정)는폐경 후 여성에게서 골밀도와 근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원 교수(순천향의대, 순천향대병원 내분비내과)는 폐경기 여성에서 장용성 제제인 맥스마빌정과 일반 알렌드로네이트 단일 경구 제를 투약 후 식도 및 상부위장관 점막변화에 대한 내시경적 변화에 대한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전체적으로 알렌드로네이트5mg와 칼시트리올0.5㎍ 복합 제(맥스마빌정)를 복용한 환자들에서 위와 식도의 점막손상이 더 드물게 경증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 맥스마빌정이 일반 알렌드로네이트보다 식도와 위장관 부작용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제제임이 밝혀졌다.

발표 후 panel discussion에서 참석자들은 발표된 논문들이 국내외 유수의 학술지에 게재 또는 게재될 예정이다.